2025년 2월 18일(화) 雨水
오랜만에 경기도 평화누리길 통산 26차 종주 겸 DMZ평화의 길 제3코스 역방향 혼트를 위해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포구로 달려갔습니다. 아시다시피 평화누리길 제3코스는 코스가 소폭 축소되었지만, 작년 9월 23일 전격 개통했었던 DMZ평화의 길 제3코스는 변경되기 전 평화누리길 제3코스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굳이 우회코스인 제3-1코스(통진성당 ~ 전류리포구)를 걸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어서 제3코스만 걷기로 했습니다.
두 개 길의 제3코스를 역방향 혼트하면서 찍은 폰카 사진들은 2~4장씩 콜라주로 묶어서 편년체로 나열하고 램블러 앱으로 측정한 12.1㎞ GPX 트랙을 구글 어스 3D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후첨하겠습니다.
경기도 평화누리길 통산 26차 | DMZ평화의 길 | 비 고 |
제4코스(행주나루길) | 2024.11.02 | 제1코스 | 2024.12.10 | |
제5코스(킨텍스길) | 2024.11.03 | 제2코스 | 2024.12.10 | |
제3코스(한강철책길) | 오늘 | 제3코스 | 2025.02.18 | 오늘 |
| | 제4-1코스 | 2024.11.02 | |
| | 제5코스 | 2024.11.13 | |
| | 제8코스 | 2024.10.08 | |
| | 제16코스 | 2024.11.30 | |
| | 제17코스 | 2024.11.30 | |
달성률 | 3/12 = 25.0% | 제28코스 등 | 2025.01.25 | 12/36 = 33.3% |
● 들머리 :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 전류리포구
● 날머리 : 김포시 하성면 가금로 4H클럽 마크
두루누비 앱 <코스 상세>에 3코스 애기봉입구에서 하성면 後平1里 마을까지는 민간인 통제구역이기 때문에 迂廻코스인 3-1코스를 선택해 이용하라고 되어 있지만 우리가 작년 초까지는 걸었던 평화누리길 제3코스(한강철책길) 그대로이기 때문에 조금 이해하기 힘들더군요. 그래서 ① 現 평화누리길 제3코스, ② DMZ 평화의 길 제3코스가 서로 갈리는 올댓스탬프 역방향 매칭률 46%에 해당하는 한강 철책(農路) 끝지점에서는 ①을 따라 걸었습니다.
그러므로 코스 변경 전의 시암리 - 연화사(蓮花寺) - 마조리 - 마근포리 구간은 생략하였습니다.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顚流里) 전류리포구는 시작점이죠.
경기도 평화누리길 제3코스(한강철책길) 順방향 종점 아치퍼걸러,
경기둘레길 제4코스(전류리포구 ~ 동패지하차도) 시작점 스탬프함,
DMZ평화의 길 제4코스(전류리포구 ~ 고양종합운동장) 시작점.
DMZ평화의 길 35개 코스, 510㎞ 全노선圖와 각 구간 거점센터. 지난 1월 25일 DMZ CAMP 정기걷기 때 麟蹄 제30-1코스 역방향 단체걷기 후 들렀었던 인제군 서화(리) Peace Village 거점센터도 보입니다.
DMZ평화의 길 제4코스(전류리포구 ~ 고양종합운동장) 종합안내판 기둥의 QR Code.
김포시 하성면 석탄리 804-17 소재의 석탄배수펌프장
석탄리 철새조망지에서 보는 오른쪽으로 예전 코스 변경되기 전에 漢江철책길 해병대 철책 옆으로 약 3.5㎞를 걸었었죠? 지금은 세로 철문으로 굳건히 막아 놨기 때문에 넘사벽이 되었습니다. 대신에 왼쪽 농로(農路)를 따라서.
한국鳥類보호협회 김포지부의 독수리 케이지 너머에 쇠기러기 떼가 논바닥에서 먹이활동하고 있습니다.
대대적인 수로(水路)공사가 완전히 끝났 지점입니다.
이 분기점에서 평화누리길 제3코스와 DMZ평화의 길 제3코스가 나뉩니다. 따라서
現 평화누리길 제3코스는 14㎞(예전 17㎞)
現 DMZ평화의 길 제3코스는 16.7㎞(변경 전 평화누리길 제3코스와 동일)과
관광농원 낚시터 [아리수].
관광농원 낚시터 [아리수] 갈림길.
하성면 후평1리 복지회관을 지나서
제조회사 상호(商號)가 아름답습니다. 나무(NAMU). 야적 제품명을 살펴 봤더니 MDF로 만든 현관 신발장(내부 서랍통)
도로 표지판에 → '연화봉로'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봐서 예전에 우리가 걷던 연화사(蓮花寺) 쪽으로 가는 듯.
노란 25번 버스가 이리로 지나갑니다.
식당 [토담]집과 하성면 마조리 보건소입니다.
김포 금성초등학교를 지납니다. 전남 나주(羅州)에 있는 학교명 같습니다.
↓ 인동(仁同) 張 씨 아무개의 묘역입니다.
김포 금성초등학교를 지나자마자 올댓스탬프 매칭률 70%를 달성하였죠.
예전에 마근포리 마을회관 쪽으로 걸어 갑니다.
현행 평화누리길 제3코스(평화누리 자전거길 제1코스)는 이곳에서 좌측으로 향하지만
마근포 스토리보드를 카메라에 담기 위하여(또 DMZ평화의 길과 마주치기 위하여) 한 블럭 더 간 다음에 좌측 농로 사이로 걸어갔습니다.
농장 이름이 예쁩니다. 호돌이 농원. 그 다음 오른쪽에는 해뜨는 농원.
DMZ평화의 길 바닥 사인과 개천 아래 리본.
DMZ평화의 길 '필수 경유지' O waypoint를 네번째로 찍었습니다.
※ 참고로 DMZ평화의 길 '따라걷기'에서는 코스별로 3개의 필수 경유지만 지나면 해당 코스 인증이 됩니다.
유명한 애기봉(愛妓峰) 농장 - 조선시대 관비(官婢) 이야기, 체험농장 꽃 石物 歷史
김포시 하성면 가금로 마을 4H클럽 비석이 있는 곳에서 길멎음하고 전류리포구로 복귀합니다.
오늘 아침 출근하는 아내가 챙겨준 바나나로 간식을 먹습니다.
오늘로써 코리아둘레길의 막내(개통) - DMZ평화의 길 스탬프는 12개를 획득했습니다. 유일무이한 4-1 支線코스 포함하여 36개 스탬프이니까 12/36 = 33.3% 달성한 셈이죠.
23번, 24번 버스의 위치를 확인해 보니 1시간은 넘어야 할 듯 하여 김포 콜택시(이음 앱)를 호출했더니 연세 지긋한 운전자인데, 하성 종점에서 친구 한 사람을 태워도 되냐고 해서 O.K! 했습니다. 조수석에 앉은 天安에서 오신 분.
전류리포구에서부터 하성면 가금리 4H클럽 비석까지 램블러로 측정한 12.1㎞의 GPX 트랙을 구글 어스 3D 동영상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끝.
첫댓글 대단하십니다.
평화누리길을 26차에 이르도록 걸으시는 정렬과 체력 자랑스럽습니다.
그동안에 기록을 책으로 여끄시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