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미국에 묻다
들어가며 丨 14
제1장 냉전과 제주도
제주도의 지정학적 가치 I 23
트루먼 독트린과 냉전의 형성 I 25
'동양의 지브롤터'와 유엔총회의 '군사기지설' 논란 I 32
유엔조위 필리핀 대표가 촉발시킨 논란 I 34
봉쇄전략의 구현 무대, 제주도 I 36
제2장 해방과제주도
제주도 주둔 일본군의 항복과 미군의 등장 I 47
민족해방운동의 유산과 해방 제주 I 51
독립투사 탄압한 친일 경찰의 제주도 부임 I 65
미군정, 친일 경찰과 모리배…부패의 결합체 丨 67
제주도의 인구 변동과 사회적 동요 I 71
제3장 5,10선거와제주도
미군정, "5-10 선거 성공은 핵심 과제” I 83
남한의 선거 결과와 미국의 평가 I 91
유엔조위의 제주도 사태 외면 I 94
제주도 5.10선거와 미군정의 감시 활동 I 96
제주도 선거의 실패와 유엔에서의 '제주도 선거' 발언 I 104
제4장 미국의 국면별 개입
제1국면(1947. 3~1948. 4): 미군정의 초기 실츠벅
38발의 총성과 미군정의 책임자 처벌 외면 I 115
극우 도지사의 우익 강화와 독재적 행태 I 126
박경훈 전 지사 기소를 둘러싼 미군정 내부의 이견 I 135
3・1절 발포사건 이후 경찰의 횡포와 반작용 I 139
군정장관 딘의 제주도 방문과 도지사 경질 건의 거부 I 142
제2국면(1948. 4-1948. 5): 4-3 무장봉기 발발과 미군정의 전략
잇단 고문치사사건과 4・3 무장봉기 발발 I 146
하지와 딘의 제주도 작전 명령 I 148
딘과 워드의 동시 시찰…국제문제화하는 제주도 사태 I 158
'평화협상'과 미군정의 전략 I 163
연대 참모의 폭로 “그들은 '무차별 사살 명령, 내렸다” I 172
“무초와 로버츠, '제주도는 전략적 요충지, 진압 필요 I 174
제3국면(1948. 5-1948. 10): 미군정의 대응과 정부수립
제주도 510 선거 이후 미군정의 전면 대응 I 177
브라운 대령의 제주도 파견과 무차별 검거 I 180
6・23 재선거의 무기 연기와 구겨진 미국의 '체면' I 188
강경 토벌과 연대장 암살사건의 상관관계 I 194
정부 수립 시기 미군정의 진압정책 I 198
제4국면(1948. 10-1949. 5): 초토화 그리고 재선거를 위한 정지즈업
여순사건의 여파와 제9연대장의 포고령 I 210
학살의 합법화와 미군의 적극 지원 I 213
송요찬의 '대게릴라전략'과 미군의 관심 I 228
'가혹한 탄압' 지시와 미 함정의 제주도 기항 배경 I 231
주한미사절단의 활동과 재선거를 위한 정지작업 I 235
이승만의 방문과 5.10 재선거, 주한미사절단의 인식 I 239
제5국면(1949. 5~1954. 9): 정부의 마지막 토벌과 미국의 인식
유엔한위의 형식적 제주도 시찰 I 247
무초의 제주도 사건 인식과 토벌대의 횡포 I 250
한국전쟁 발발과 미대사관 관리들의 시찰과 건의 I 255
미군 “미군. 미국의 영향력이 드러나선 안돼” I 259
트루먼과 미의회의 무관심의 이면 I 261
제5장 내가 만난 제주도 미군 고문관
사진 한장의 의미 I 269
고문관1 (1948. 5〜7): “제주도는 합법적 군사 작전지역 ” I 271
고문관2 (1948. 7〜9): “나의 임무는 반란 진압” I 277
고문관3 (1948. 9〜12): “나는 허수아비” I 285
고문관 기억에 대한 비판적 검토 I 290
나오며 I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