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및 절차
Ⅱ.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배경 및 선행 연구 분석
1.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수립
2. 국어과 교과목 설계 방안 수립
3. 국어과 내용 구성 개선 방안 수립
4. 국어과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 방안 수립
Ⅲ.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과정
1.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주요 추진 경과
2.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주요 쟁점
가. 공통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나.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Ⅳ.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의 주요 내용
1. 국어과 공통 교육과정 시안 개발의 주요 내용
가. 공통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중점
나. ‘듣기・말하기’ 영역 개발의 주요 내용
다. ‘읽기’ 영역 개발의 주요 내용
라. ‘쓰기’ 영역 개발의 주요 내용
마. ‘문법’ 영역 개발의 주요 내용
바. ‘문학’ 영역 개발의 주요 내용
사. ‘매체’ 영역 개발의 주요 내용
2. 국어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시안 개발의 주요 내용
가. 선택 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중점
나. ‘화법과 언어’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249
다. ‘독서와 작문’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라. ‘문학’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마. ‘주제 탐구 독서’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바. ‘문학과 영상’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사. ‘직무 의사소통’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아. ‘독서 토론과 글쓰기’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자. ‘매체 의사소통’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차. ‘언어생활 탐구’ 과목 개발의 주요 내용
Ⅴ. 결론
1. 요약
2.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1.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2022.12.09.)
2.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공청회 토론자 및 청중 의견
3. 2022 개정 중학교 성취기준의 학년별 배당(안)
4.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 신구 대조표
5. 2022 개정 국어과 고등학교 과목 재구조화에 따른 신구 대조표
6.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수 신구 대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