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동초(금은화)의 효능 및 음용과 활용법

인동이란 이름은 넝쿨이 살아서 추운 겨울에도 시들지 않기 때문에 생겼으며 금은화란 이름은 처음 피는 꽃이 흰색이지만 차차 노랗게 변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서로 떨어지기 싫어하는 쌍둥이 자매가 있었는데 언니는 금화(金花), 동생은 은화(銀花)라고 불렀다.
그런데 열병으로 두 자매는 연이어 죽게 되었는데 이들의 무덤가에 처음 필 때는 흰색이었다가 점점 노란색으로 변하는 덩굴이 자라났다.
그 후 마을에 두 자매에게 걸렸던 열병이 돌았는데 그때 마을 사람들은 그 꽃을 달여 먹고 낫게 되니 마을사람들이 이 약초의 이름을 '금은화(金銀花)'라고 불렀다고 전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甘寒]

금은화는 열을 내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있을 때 사용하며 염증에 좋아 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독, 장기의 염증, 농을 배출한다.
또한 이질, 열독으로 인한 피부 조직 괴사, 유선염 등에 사용한다.
대장염, 위궤양, 방광염, 인후염, 편도선염, 기관지염, 결막염 및 부스럼, 유행성 이하선염으로 인한 고열, 화농성 감염증 등에 응용한다.
-약리작용-
약리작용은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해열작용, 백혈구 탐식작용 증가, 중추신경 흥분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궤양 예방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작은 막대나 깔때기 모양을 한 꽃봉오리와 흔히 입술모양의 꽃이 섞여 있는 것으로 바깥 면은 황백색 또는 녹 백색이고 오래 저장한 것일수록 색은 진하다.
확대경으로 보면 엷은 갈색의 털이 밀생하고 꽃받침은 녹색으로 끝이 5 개로 갈라져 있고 갈라진 조각은 털이 있고 길이가 약 2 mm이다. 수술은 5 개로 황색이고 암술은 1 개이며 자방에는 털이 없다.
다른 이름으로 인동화(忍冬花), 이화(二花), 은화(銀花), 쌍화(雙花), 금화(金花), 금등화(金藤花), 금은등(金銀藤), 원앙등(鴛鴦藤), 로사등(鷺鷥藤), 노옹수(老翁須), 좌전등(左纏藤), 금채고(金釵股), 통영초(通靈草), 밀통등(蜜桶藤) 등이 있다.
-인동초의 효능 및 효과

1. 인동초의 효능
인동초는 종기, 이뇨, 감기, 관절통 등에 효능이 있다.
2. 인동초의 식용
인동초는 인동 꽃을 이용하여 건강차, 건강주로 이용한다.
3. 인동초의 약용
인동덩굴은 해열, 정혈, 소염, 진통 등의 약효가 있고, 금은화 꽃은 산열해독, 소종, 거농, 소염, 청혈, 이뇨,
살균 작용이 있어 열성병, 화농성 질환, 급만성 임질, 매독, 농양, 개선, 중독, 악창 등에 특효약이다.
복용방법
1. 종기, 악성부스럼, 매독 : 줄기, 잎, 꽃 등을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 1일 20~30그램 쯤을 달여서
식사 후 마시든가 차대용으로 마신다.
2. 땀띠 : 인동, 쑥, 삼백초를 넣은 물에 목욕한다. 창포를 넣으면 개선등에 효과가 있다.
3. 각기 : 고급주 1.8리터에 인동꽃 80그램을 넣고 약한 불로 데운 다음 약 30일 정도 두었다가 포대에
넣고 문질러서 빼낸다. 이것을 식사때 마다 소주잔으로 한잔씩 마신다.
* 인동주 만드는 방법 *
약효는 잎, 줄기에 있다. 잎은 채취하여 그늘에 말린다. 말린 잎 100g, 줄기150g을 소주 1.8리터에 넣고
3~4개월 밀봉 숙성한 후 찌꺼기는 버리고 냉암소에 보관한다.
하루 1~2회 소주잔으로 한두잔씩 마시되 장복해도 좋으나 치유되는 대로 복용을 중단한다.
감기, 관절통, 구토, 당뇨, 방광염, 부종, 설사, 소변불통, 숙취, 요통, 이뇨, 이질, 인후염, 임파선염,
토혈, 혈변 등에 효과가 있다. 꽃, 열매, 뿌리에 있다.
* 인동덩굴탕 이용하는 방법 *
덩굴 끝부분 20센티미터 가량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이것을 잘게 썰어 두세움큼 냄비에 삶아
그 물을 욕수에 섞어 목욕한다.
외상으로 인한 화농, 종기, 그리고 치질, 요통, 타박상 등에 효과가 있다.
인동 줄기와 잎에는 타닌, 로가닌, 프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소염, 항균, 해독, 해열등의
작용을 한다.
-궁합
같이 사용해도 좋은 약초 : 삼백초, 쑥, 창포(목욕용)
-문헌에서 말하는 인동초

1. 성지에서 말하는 인동초
줄기와 잎은 그늘에 말려 차로 대용하는데 널리 쓰인다.
약재로는 줄기와 잎, 꽃을 옹저, 매독, 루마질사 등에 인동의 약효 성분을 우려내어 마시면 효과가 있다.
2. 동의보감에서 말하는 인동초
인동초는 추웠다 열이 나면서 몸이 붓는 증상, 열독, 혈리 등에 쓰며, 오시를 치료한다.
또 조선의 민간에서는 이를 옹저때 열이 몹시나고 번갈증이 나는 증상, 감기때 땀을 내는 증상에 써서 表(표)를 풀어주는 효과를 많이 보고 있다.
-인동초를 이용한 먹거리
금은화차, 금은화주
-인동초의 주요 성분
인동의 잎에는 루테올린 이노시톨과 타닌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감기나
타박상을 고치는 약으로 쓸 수 있다.
인동초는 인동과에 속하는 사철 푸른 떨기나무로서 꽃 부분인 인동초(금은화) 및 인동등 부분으로 이루어 지며 성질은 차다.
주요 성분으로는 루리세린,플라보이드,탄닌,알칼로이드,루테루닌,이노시톨,사포닌,로니세린 및 루테오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폐경, 비경, 심경에 작용하며 해열, 해독 효과가 있다.
인동초의 생약적 효과는 검증하지 않았으나 억균적용, 면역부활작용, 소염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항아작용, 항바이러스 작용등이 있다고 밝혀져 있으며 Lonicerin Luteolin-n-rhamnoglucoside 등을 함유하여 전통적인 약제로서 세균성질환과 장염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간염치료, 황달, 수동을 치유하고 해열제와 보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루테오린 성분은 평활근에 작용하여 진경작용, 이뇨작용 등의 효험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동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중숙처리한 후 고형분을 제거한 추출액 상태로 사용하는데, 인동초 추출액은 약간 단맛이 있기는 하나 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
한방에서는 꽃을 따 그늘에서 말린 것을 금은화(金銀花)라 하여 해열, 해독, 이뇨, 종창, 창독, 종기에 쓴다.
잎이 달린 줄기도 인동등(忍冬藤)이라 하여 함께 쓴다.
성분은 꽃보다 줄기에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열매는 은화자(銀花子)라 한다.
성분은 로니세린(lonicerin)과 루테올린(luteolin), 그리고 약간의 탄닌(tannin)과 알칼로이드(alkaloid)가
들어있다.
따라서 이뇨, 경련 구제작용을 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민간요법으로는 인동덩굴을 달여 묽게 한 것을 차대신 마신다.
위암이나 위궤양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 신경통을 치료하고 기침을 다스린다고 하여 널리 쓰이는 약재이다.
한 때 인동덩굴을 무슨 보약인줄 알고 한 아름씩 걷어다 달여서 장기간 복용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또 인동을 오리와 함께 끓여 먹으면 좋다고 하여 성업 중이라고 한다.
흔히 일반인들은 금은화차(金銀花茶)라 하여 인동 꽃을 끓여 그 물을 마시는데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왜냐하면 인동 꽃은 약간의 독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약리학적으로는 인동을 포한한 로니세라 속 식물은 독초로 취급한다.
맹독을 가진 식물은 아니라도 독이 있으므로 장복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실제 어느 필자가 인동을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모 일간지에 쓰고 자신도 인동덩굴을 걷어다 차를 끓여 마시는 것이었다.
보다 못해 인동의 독성을 알려 주었더니 그 분은 지난 5~6년 동안 인동차를 마셨는데 감기 한번 걸리지 않았고 위장병까지 나았다며 큰 소리를 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인동차를 즐겨 마시던 그 분은 다음해에 간암으로 사망했다는 것이다.
겉으로는 건강한 것 같아도 오래 전부터 인동의 독성 때문에 간에 상당한 부담을 주었고, 결국 독성으로 황달을 앓고 있었던 것이다.
누가 무엇이 몸에 좋다고 하면 그것이 독이 있는 식물인지 아닌지도 모른 채 덮어놓고 먹고 보자는 사람들이 있다.
인동이 모 정치인의 인생역정을 닮았다고 하여 인동초 같은 사람이니 인동초의 승리니 하면서 떠들었던 때가 있었다.
급기야 얄팍한 상혼은 뛰어난 적응력을 발휘하여 인동을 건강식으로까지 취급하였다.
심지어 인동 꽃으로 떡을 쪄 먹고 인동 꽃을 넣은 인동빵을 만들어 축제까지 벌린 백화점도 있었다.
거의 모든 책에서도 인동 꽃을 끓여 차로 마시면 몸에 좋다고 하지만 독성 문제는 한 줄도 쓰지 않았다.
차를 즐기는 차인들조차 금은화차는 인동 꽃을 끓인 물이라는 것으로 알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에서 명차의 발열에 올려놓은 금은화차는 인동 꽃을 끓여 마시는 차가 아니다. 독이 있는 인동 꽃을 직접 끓여 그 물을 마시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해 주고 싶다.
□ 꽃을 먹기보다 향을 취하는 금은화차
금은화차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인동의 꽃을 차에 띄워 직접 향을 취하는 방법이다.
금은화차는 물론 인동 꽃으로 조제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인동 꽃을 직접 먹는 것은 아니고 그 향을 취해 차를 조제한 것이다.
먼저 질 좋은 녹차를 한지나 베보자기에 싼다.
미리 따다 놓은 인동 꽃을 사기그릇에 담고 그 속에 차주머니를 묻어 뚜껑을 닫고 하루를 재웠다가 꺼내 차를 우려내 마신다.
녹차에 인동꽃 향을 배게 하여 그 향을 취하는 방법이다.
연꽃 속에 차를 넣었다가 꺼내는 하화차(荷花茶)를 만드는 것과 같다.
자세하게 알아보면 좋은 녹차를 끓이고 8할 정도로 식힌 뒤 찻잔에 붓고 활짝 핀 꽃을 한두 송이 띄운다.
20~30분정도 지나 인동 꽃이 숨이 죽어 시들해 지면 꽃을 건져내고 마신다.
너무 오래 잔에 두면 천한 분향 냄새가 나고 일찍 건져내면 차향이 엷어 맛이 떨어진다.
또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신선한 인동 꽃을 따 밀폐된 용기에 넣고 미리 한자에 싸둔 녹차를 묻어둔다.
하루를 재웠다 이튿날 꽃 속의 차 봉지를 꺼내 미지근한 물에 우려내 마신다.
꽃을 넣는 용기는 유리그릇이나 도자기로 된 것을 쓰는 것이 좋다.
금속제 용기는 차와 꽃향기가 산화 과정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차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인동차는 여름에 마시는 차다.
따라서 인동꽃과 함께 녹차를 물에 우려낸 뒤 냉장고에 보관 차게 해서 마셔도 좋다.
아무리 좋은 약재라고 해도 병이 있는 사람이 치료를 위해 약을 써야지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된다.
특히 약재를 무슨 건강식으로 오인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이다.
인동은 항균작용이 있는 약재이지만 예방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하면 간장이나 신장에 장애가 올 수 있다.
약재는 반드시 한의사의 진맥과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