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본문제63장 해설-爲無爲 事無事 味無味 大小多少 報怨以德.
무위를 생활태도로 하고, 일없는 것을 일로 하며 맛없는 것을 맛으로 해 준다. 작은 것은 크게 하고, 적은 것은 많게 하며 원한은 덕으로 갚도록 해 준다. 어려운 일은 어려워지기 전에 손을 쓰고 큰일은 커지기 전에 해결해 준다. 세상의 어려운 일은 언제나 쉬운 데서 일어나고 큰일은 언제나 작은 데서 시작될 것이다. 그러므로 무위의 성인은 결코 큰일을 하려 하지 않으며 이리하여 큰 일을 이룩하는 것이다. 대체로 쉽게 하는 승낙은 믿기가 어렵고 쉽다고 생각 반드시 어려움에 부딪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무위의 성인은 쉬운 일도 조심하여 다루고 이리하여 조금도 어려운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爲無爲, 事無事, 味無味, 大小多少, 報怨以德.
위무위, 사무사, 미무미, 대소다소, 보원이덕.
圖難於其易, 爲大於其細.
도난어기이, 위대어기세.
天下難事, 必作於易, 天下大事, 必作於細.
천하난사, 필작어이, 천하대사, 필작어세.
是以聖人, 終不爲大, 故能成其大.
시이성인, 종불위대, 고능성기대.
夫輕諾必寡信, 多易必多難. 是以聖人猶難之. 故終無難矣.
부경낙필과신, 다이필다난. 시이성인유난지. 고종무난의.
*本文 第 六十三章 = 함과 함 없음과 일과 일없음과 맛과 맛없음과 큼과 작음 많음과 적음의 양비론적 의미(*나눔)가 있다 원망스럼을 갚대 덕으로써 하며 어려움은 그 쉬움에서 그려지고 큼은 그 가늘음에서 하여지고 천하 어려운 일 필히 쉬움에서 시작되고 천하 큰일 또한 필히 그 가늘음으로부터 일어난다 이래서 성인은 마침내 큼을 위하지 않는지라 그러므로 그 큼을 이루고 무릇 허락함을 가벼히 함은 그 믿음이 적어지고 쉬움이 많다하면 필히 어려움이 많아진다 이래서 성인은 오히려 어려워 여기는지라 그런 까닭에 마침내 어려움이 없다
* 하염없음으로 하고, 일없음을 일삼고 , 맛없음을 맛삼고, 크고 작고 많고 적고, 은혜를 갚는 거와 원망의 대처를 덕으로써 하고, [* 내게 잇속을 준 자에겐 그 잇속으로 갚으려들고 내게 해로움을 끼친 자에겐 가증스런 僞善(위선) 용서로 대처하던가 아님 그 보복 응징해 치우던가하는 것 따위를 報怨以德(보원이덕)이라 할 것이다]
어려운 난제를 그 쉽게 푸는 방법에서부터 도모하고, 큰 것을 위하려 들기를 그 미세함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라 [* 또는 어려운 난제는 그 쉬이 해결되는데서 부터 도모된 것이요, 소이 생겨난 것이요, 크게 된 것 역시 미세한 것으로 부터 시작된 것이라] 천하 어려운일 필히 쉬움에서 일어나고, 천하 대사 필이 미세한데서 부터 생겼다, 이래서 성인은 마침내 큼을 하려 들지 않는다
그러므로 잘 그 큼을 성사시킨다, 그러니까 성인이라는 작자라는 넘 들은 그 미세한 것으로부터 시발점을 삼는다는 것이라 마치 사졸 한 마리를 잘 움직여선 천하 장기판을 둘러 엎듯이 그런 계략을 쓴다는 것이리라 아주 흉악하고 간악하기가 말로도 형언키 어려우리라 성인이라 하는 괘씸한 넘들은 ..... 이것이 지식의 폐단이라 할 것이다 지금 내가 인용하는 句語(구어)들이 모두 도덕을 가르침에 위배되는 그런 말들 뿐이고 비틀어진 관찰로 가득 머리에 찼을 뿐이다
가볍게 대답하는 사람 치고 보면 필히 그 신용이 적다, 쉬운 게 많다하다 보면 필히 어려움이 많게되는 법이다 이래서 성인은 어려워 여기는 것처럼 한다 그러므로 마침내는 어려움이 없게된다
성인은 뭐 말라 비틀어진 성인이고 ?, 다 말 롱간 부리는 백성 혹세하는 간악한 생매장 해치울 넘들이지 .....
蘇註소주
聖人爲無爲 故無所不爲 事無事 故無所不事 味無味 故無所不味 其於大
성인위무위 고무소불위 사무사 고무소불사 미무미 고무소불미 기어대
小多少 一爾遇之而已 蓋人情之所不忘者怨也 然及其愛惡之情忘 則雖
소다소 일이도우지이이 개인정지소불망자원야 연급기애오지정망 즉수
報怨猶報德也 世人莫不畏大而侮小 難多而易少 至於難而後圖 大而後爲
보원유보덕야 세인막불외대이모소 난다이이소 지어난이후도 대이후위
則事常不濟矣 聖人齊大小 一多少 無所不畏 無所不難 而安有不濟者哉.
즉사상불제의 성인제대소 일다소 무소불외 무소불난 이안유불제자재.
* 소씨 주석하대,
성인은 함과 함이 없는지라 그러므로 하지 아니할바가 없고 일과 일없음이 있는지라 그러므로 일치 아니할바가 없고 맛과 맛없음인지라 그러므로 맛하지 못할게 없고 그 큼과 작음 많음과 적음에서 한결같이 만남을 길의 이치로 할 따름이라. 대저 사람의 정을 잊지 못하는 것을 원망함이나(*미련이 남음을 말함인지도....?) 그러나 그 좋아함과 미워함의 정에 밋쳐선 곧 비록 원망함 갚길 오히려 덕을 갚는거 처럼 한다 세상 사람은 큼을 두려워 하면서도 작음을 없신 여기며 많이 어려워 하면서도 적게 쉬워하지 아니함이 없다 어려움에 이르런 후에 헤어나길 도모하며 커진후에 그와 같이 될 때를 바란다 그러면은 일은 늘상 가즈런하지 못하리라
성인은 (*이와는 달름이라,) 크고 작음을 가즈런히 하고 많고 작음을 한결 같이하고 두려워 아니하는바 없고 어려워 여기지 않는 게 없는데 어찌 다스리지 못할게 있을 것인가? (*)은 역자부언임.
呂註여주
有道者其爲常出於不爲 故爲無爲 爲無爲 故事無事 事無事 故味無味 何
유도자기위상출어불위 고위무위 위무위 고사무사 사무사 고미무미 하
則 方吾之爲也 求其爲者不可得 則爲出於不爲矣 有爲則有事 爲而無爲
즉 방오지위야 구기위자불가득 즉위출어불위의 유위즉유사 위이무위
則事亦無事也 非徒無事也 雖味之而無味矣 味之者反覆尋繹之之謂也 道
즉사역무사야 비도무사야 수미지이무미의 미지자반복심역지지위야 도
之爲物 視之不見 聽之不聞 搏之不得 雖反覆尋繹之 復歸於無物而已矣
지위물 시지불견 청지불문 박지불득 수반복심역지 복귀어무물이이의
唯其如此 故可以大 可以小 可以多 可以少 多少擧在於我 而所謂怨者固
유기여차 고가이대 가이소 가이다 가이소 다소거재어아 이소위원자고
無常心 則不善者吾亦善之 德善 不信者吾亦信之 德信 而皆報之以德矣
무상심 즉불선자오역선지 덕선 불신자오역신지 덕신 이개보지이덕의
人之所難忘者怨也 而以德報之 則他不足以累其心矣 非徒然也 而圖難於
인지소난망자원야 이이덕보지 즉타부족이루기심의 비도연야 이도난어
其易 爲大於其細 以天下之難事 必作於易 天下之大事 必作於細 而我常
기이 위대어기세 이천하지난사 필작어이 천하지대사 필작어세 이아상
無作也 苟有所作 必於易與細而見之 則所謂知幾其神者是也 能得之於吾
무작야 구유소작 필어이여세이견지 즉소위지기기신자시야 능득지어오
心 則其推之於天下國家無難矣 是以聖人終不爲大 故能成其大 以爲大於
심 즉기추지어천하국가무난의 시이성인종불위대 고능성기대 이위대어
其細 而不爲大於其大故也 出諾 易也 復言難也 不愼重於出諾之際 則言
기세 이불위대어기대고야 출낙 이야 복언난야 불신중어출낙지제 즉언
難復矣 易而圖之則易也 難而圖之則難矣 不圖之於易圖之始 而圖之於難
난복의 이이도지즉이야 난이도지즉난의 부도지어이도지시 이도지어난
則難矣 此俗人之所以寡信而多難也 是以聖人由難之 故終無難 以難之於
즉난의 차속인지소이과신이다난야 시이성인유난지 고종무난 이난지어
其易 而不難之於難也.
기이 이불난지어난야.
*여씨 주석하대,
길의 이치를 가진자 그 함을 늘상 하지 않음에서 내는 고로 함과 함없음이다 함과 함 없는 지라 그러므로 일과 일없음이고 일과 일없음인지라 그러므로 맛과 맛없음이다 무엇을 바야흐로 내 한다 할것인가? 그 하길 찾는 자 바르게 얻지 못하면 함을 하지 않음에서 내리라 함을 가지면 일을 가진 것이요 하면서도 함이 없으면 일 역시 일 없음이니 도대체 (*다만 .*한낱) 일없지 않음이니 비록 맛을 보면서도 맛봄이 없는 거와 같으리라 (*맛 하면서도 맛없으리라),
맛이란 것은 반복 되거듭 돌아와서 찾음을 이름이니(*거듭 다시 맛을 음미 한다는 뜻임), 길의 생김 생김이 (*道之爲物=길의 됨됨이를 뜻함). 볼려 해도 보이지 않고 들으려해도 들을수 없고 쥐어 잡을려 해도 얻지 못함에 비록 반복해서 찾는다 하더라도 생김 없음에 거듭 돌아올 따름이리라 결론컨대 그 이 같은지라 그런 까닭에 바르게 큼인 것이고 바르게 작음인 것이고 바르게 많음인 것이고 바르게 적음인 것이니 많고 적음이 다 내게 있어서 이른바 원망이란 것이 실로 늘상한 마음이 없는지라 [(*원망의 진굳한 정처 (*머무는 곳)가 없다 )] 착하지 못한 것도 내 역시 착한 것으로 여기면 착한 게 덕성스러움이 되는것이고 믿없지 못한것일지라도 내 역시 믿어움으로 여기면 믿어움이 덕성스럼이 됨이라서 다 갚길 덕으로서 한 것이 됨이리라
사람의 잊기 어려운 것은 원망스러움일지라도 (*미련으로 붙들어 놓고자 하는것임) 덕으로써 갚는다면 다른 것이 넉넉히 그 마음을 얽어매려 들지 못하리라 한갓 그렇지 못함이라서 어려움을 그 쉬움에서 도모하고 큼 위함을 그 가늘음에서 함에 천하의 어려운 일 필히 쉬움에서 시작되고 천하의 큰일 필히 가늘음에서 일어나서 내 늘 상 만들음이 없음이다 실로 만들음 바 가짐에 구애되면 필히 쉬움과 더불어 가늘음에서 보아간다면 이른바 거의 신성함이란 것이 바로 이러함 것임인 줄 알리라 내 마음에서 잘 얻는다면 곧 그 천하국가에 미루어도 어려움이 없으리라
이래서 성인은 마침내 큼을 하지 않는지라 그러므로 잘 그 큼을 이루고 큼 위함을 씀을 그 가늘음에서 하고 큼을 그 큼에서 하지 않는지라 내고 허락함을 쉽게 함이나 거듭 어려움을 말하는 것은 내고 허락함의 사귐에서 삼가 신중치 아니하면 어려움이 거듭될 것을 말하게 될 것이라 (*거듭 어렵게됨을 말하게 될것이라) 쉬운데서 그리면 쉽고 어려운데서 도모하면 어려우리라 쉬운데서 도모치 않고 시작하는 그림을 어려운데서 부터 그리면 어려워지리라
이러함은 세상사람이 소이 미더움은 적고 어려움은 많음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래서 성인은 어려움을 말미암은지라 그러므로 마침내 어려움이 없다 어려움은 그 쉬움에서 하고 어려움은 어려움에서 아니 된다 즉 그 쉽다함에서 어려운 게 생겨지게되고 어렵다 함에서 어렵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朴註박주
爲乎無爲事乎無事味乎無味取其易也 大而辨於小多 而察於少有怨而報之
위호무위사호무사미호무미취기이야 대이변어소다 이찰어소유원이보지
以德謹其細也 爲無爲事無事簡也 味無味淡也 大小多少明也 報怨以德達
이덕근기세야 위무위사무사간야 미무미담야 대소다소명야 보원이덕달
也 簡淡也 故取易明達也 故謹細圖之於難 不如圖之於易 爲之於大不如爲
야 간담야 고취이명달야 고근세도지어난 불여도지어이 위지어대불여위
之於細 忽其易而不圖則終必至於難 忽其細而不爲則終必至於大 是以聖人
지어세 홀기이이부도즉종필지어난 홀기세이불위즉종필지어대 시이성인
常爲其小而不爲其大 故能成大圖其易而不圖其難 故終無難也 輕諾易於言
상위기소이불위기대 고능성대도기이이부도기난 고종무난야 경낙이어언
寡信難於行 猶難之雖事之易者 心猶難之未敢少忽也
과신난어행 유난지수사지이자 심유난지미감소홀야
* 박씨 주석하대.
함을 함 없음에서 하고 일을 일없음에서 하고 맛을 맛없음에서 함은 그 쉬움에서 취함인 것이다 큼을 작음에서 분변하고 많음을 적음에서 살피고 원망이 있어도 덕으로 서 갚으면 그 미세함을 삼가 조심함이다 [(*역자부언=공자 말씀은 이와 좀 다르니 제자 묻길 원망을 덕으로 갚으면 어떠합니까 함에 옳지 않나니라 만약상 원망은 덕으로 갚으면 네게 덕을 베푼 자에겐 뭘로 갚을고? (덕과 원망스런 것을 같은 격수로 논다 면 덕과 원망스럽다는 게 무슨 차등에 뜻일까?) 원망은 곧음(*헤아림 용서 또는 상응하는 응보)으로 갚고 덕은 덕 즉 은헤를 베풀음에 나역시 은혜로서 갚고자 노력함이 사람이 도리라 할것이다)]
함과 함 없음과 일과 일없음은 간결(간이)하다는 뜻이다 맛과 맛없음은 맑다 담백하다는 뜻이다 크고 작음 많고 적음은 밝다는 뜻이다 원망을 덕으로 갚는다는 뜻은 사무쳤다 즉 통달했다는 뜻이다 간결하고 담백하기 때문에 쉬운데서 취하게되고 밝게 통달하게 된다 또한 그러므로 미세함을(*미세 할제) 삼가 조심한다는 뜻이다 어려운데서 그림은 쉬운데서 그림만 못하고 큼에서 함은 미세함에서 함만 못하다 (*여자부언= 유추컨데 손으로 막을걸 가래로 막게 된다는 거와 같이 모든지 조짐을 봐서 적소에 대처하면 일이 크게 벌어져 어려움에 봉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미 일 크게 그려지면 대처하기가 어렵다는 뜻임)그 쉽다고 하여 소홀히 해서 그리지 않으면 (도모 즉 꾀하지 않으면) 마침내 필히 어려움에 이르고 그 미세하다하여 소홀히 여기고 빨리 대처하지 않으면 마침내 필히 큼에 이른다
이래서 성인은 항상 그 작음은 위하고(*작을 때 대처하고) 그 큼은 위하지 않는다 (* 그 크게 벌어진 다음 대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잘 큼을 그 쉬운데서 그려 이루고 그 어려움에서 그리지 않는지라 마침내 어려움이 없다 가벼히 허락하여 말을 쉽게 하면 미더움이 적어 실천하긴 어렵게되어 오히려 어려워진다 비록 일은 쉬운 것일지라도 마음에 오히려 어려운 듯이 여길 것이고 감히 작다고 소홀치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