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③ 도시/광역철도 대구지하철 1호선 승객수 상위 5개역의 승객수 변화(1997~2008)
1호선안심역 추천 0 조회 943 08.05.10 20:29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05.10 20:45

    첫댓글 중앙로의 아픔이 크네요 그리고 동대구나 대구역등의 성당못역도 서부정류장이 있죠 관문이 있는 역들이 많군요 상인역은 유난히 눈에 띄네요 동대구나 대구역은 2호선 개통이후 눈에띄게 늘었죠

  • 08.05.11 01:50

    동대구역은 고속철도 개통, 대구역은 롯데백화점과 롯데시네마 오픈이 승객증가에 큰 몫을 차지한 거죠-_- 2호선은 동대구역이나 대구역뿐만이 아니라 1호선 주요역에 전체적인 수요증가를 불러온거구요.

  • 08.05.11 02:56

    그렇긴 하지만 1호선만 있었을때와 2호선이 개통하고 할때와는 많이 다른것도 사실이죠 2호선 사시는 분들도 대구역이나 동대구역 이용할떄 지하철 많이 이용하신다는 얘기인데 1호선만 하나 있는 거와는 이런 관문 역활을 하는 역들은 수요가 노선이 하나 증가 할수록 상당히 증가 폭이 눈에 띄는건 사실이죠 동대구역에 고소철이 들어와도 1호선만 있었다면 승객 저정도는 아니었을겁니다

  • 08.05.11 02:48

    즉 2호선쪽에 사시는 분들도 동대구역이나 대구역을 갈때 지하철을 이용하므로써 승객 증가가 눈에 띄게 늘어다는 겁니다 왜냐하면 이 두역은 대구의 주요관문역이니깐요 만약에 아직도 1호선만 있다면 롯데백화점이나 고속철 덕은 좀 보겠지만 이정도는 아니겠지요 자기집이 성서인데 지하철이 아직 안간다면 동대구역에 내려서 지하철 탈까요 버스 탈까요 아무래도 버스 타겠지요 그런데 2호선이 가니 지하철을 탈 가능성이 많다는 겁니다 대구역도 마찬가지구요 그러니 승객증가가 2호선 덕도 상당하다는 겁니다 1호선 다른역들도 조금씩은 증가를 보였지만 유난히 증가가 눈에 띄는 역이 대구와 동대구라는 겁니다

  • 08.05.11 02:59

    아마 3호선 개통하면 동대구나 대구역은 유난히 다른역들보다 승객 엄청늘겁니다 3호선 주변에 사시는 분들도 평상시에는 버스로 대구역이나 동대구 갔다면 3호선 생기면 아무래도 도시철도 이용하겠죠 그러면 대구나 동대구 승객 상당히 눈에 띄게 유난히 증가 하는 건 시간 문제겠지요 그런 얘기라는 겁니다 물론 롯데와 고속철도 상당한 영향력을 키친건 사실이지만 말이죠^^ 제가 2호선 주변에 살아서 그 편리함 확실히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 08.05.11 12:42

    신교통수단이나 3호지선까지 만들어진다면 동대구역수요는 더 늘어날게 분명합니다.. 지산_범물쪽 수요가 버스대신 도철이용할테니깐요 ^ ^ 허나 신교통수단은 날아갔고 ^ ^; 3호지선도뭐..ㅎㅎㅎ 광역전철만 제발 쫌 만들어졌으면 하네요ㅎㅎ

  • 08.05.11 15:50

    열심히 얘기하셨는데..결국 그 말이 그 말일 뿐입니다. 지하철은 노선이 많아질수록 시너지효과를 내는 게 당연한 일이고 동대구역은 2호선의 영향보다는 고속철이, 대구역도 롯데백화점과 롯데시네마의 영향이 훨씬 큽니다. 2003년 롯데백화점이 개점하고 롯데시네마가 들어온 후 2004년 동대구역과 대구역의 승객이 별반 차이가 없는 거 보이시죠? 2005년 2호선이 개통하기 전부터 1년사이에 무려 만명이나 증가한 수치가 이를 반증합니다. 또 하나는 RH에 국철 대구역을 이용하는 승객이 대폭 증가하고 이에 따라 지하철대구역도 덩달아 승객이 증가했습니다. 이는 눈으로만 봐도 알 수 있죠.

  • 08.05.11 15:56

    버스개편과 환승제 도입 이후 지하철 동대구역 승객이 오히려 줄어든 것도 2호선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반월당에서 1호선으로 환승한 승객들의 절대다수는 중앙로역에서 하차합니다. 대구역이나 동대구역까지 가는 승객이 많지 않죠. 2호선의 최대수혜역은 대구역과 동대구역이 아니라 반월당과 중앙로입니다. 2004년~2005년 승객증가폭이 엄청나다는 사실도 고속철의 영향이 가장 크다는 사실을 뒷받침하죠.

  • 08.05.11 15:59

    그리고 3호선은 대구역과 동대구역에 별 영향을 못 줍니다. 생각해보세요 1호선과 환승역은 명덕이죠? 칠곡에서 명덕까지 환승 후 다시 동대구역으로 갈 승객이 몇이나 될까요? 버스도 많은데? 수성구쪽은 더하죠. 동대구역까지 범어로-동대구로 그 넓디넓은 도로에 버스가 줄창 다녀주는데 명덕까지 가서 환승할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지..대구역은 그나마 수성구쪽에서는 이용해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칠곡은 어림도 없죠.

  • 08.05.11 20:08

    제가 언제 대구역과 동대구역 승객증가에 롯데나 고속철이 아니라고 했나요? 2호선 영향도 무시할수 없는 입장이고 제입장은 오히려 2호선 덕이 터 크다는 얘기인데 그럼 아예 2호선 영향은 전혀 없었군요 그럼 2호선 주변에 사는 사람들이 롯데백화점 갈때는 버스 타고 가나 봅니다 물론 수성구 사는 사람들은 동대구가는데도 지하철 필요 없겠죠 그러나 오히려 더 수요가 많은 성서쪽은 그렇지가 않다는 겁니다 2호선 덕분에 증가한것도 무시할수 있는수준은 아니구요 당연히 네크워크화가 되며 승객은 증가 하갰죠 그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아닙니까? 그러나 대구역과 동대구는 관문이라 더 증가가 눈에 띈다는 얘기입니다

  • 08.05.12 02:13

    나도 2호선이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말은 한 적 없는데요? 찬찬히 다시 읽어보면 알 수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2호선보다 고속철과 롯데백화점, 롯데시네마가 크게 작용했다'라는 겁니다. 승객이 크게 증가했던 시점이 2호선 개통시점인지 고속철과 롯데백화점 오픈 시점인지만 살펴봐도 이해하시리라 믿겠습니다. 제 댓글이 면박 정도로 보였나 본데 다시 읽어보시길 권해드리는 바입니다. 아 그리고 3호선은 노선도부터 다시 보시구요. 과연 그렇게 생겨먹어서 수성구지역에서 동대구역을 오갈 때 지하철이 더 편할지는 그 때 판단해보시길.

  • 08.05.12 14:52

    예 님도 맞는 말씀이십니다 서로 그런 이유가 있겠지요^^ 어쨌든 승객 증가 하면 좋자나요^^ 앞으로도 더 증가 했으면 좋겠습니다

  • 08.05.10 20:56

    2003....

  • 08.05.10 22:43

    2003년의 압박이 심하군요..; 대구역은 KTX 개통이후 모든 일반열차의 정차로 승객수가 많이 늘었네요 ㅎㅎ

  • 08.05.11 00:54

    중앙로 지못미 ㅠ

  • 08.05.11 20:59

    2003년....중앙로 하나덕에 모든역이 계곡을;;

  • 08.05.12 14:51

    대구역의 상승이 눈에 띄네여.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