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가나 ICT산업, Wi-Fi의 혁명 | ||||
---|---|---|---|---|---|
작성일 | 2013-12-27 | 국가 | 가나 | 작성자 | 임채근(아크라무역관) |
--> -->
가나 ICT산업, Wi-Fi의 혁명 - 인터넷 사용자 360만 명(14.1%), ICT산업 지속적 성장 추세 - - Wi-Fi 시장 규모 약 1860만 달러 -
□ 개요
○ 가나 경제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는 10개국에 포함되며 아프리카에서 1인당 GDP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이는 경제 각 부문의 인터넷 활용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인식됨.
○ Internet World Stats에 따르면 가나 총인구 중 14.1%가 현재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음. 즉, 360만 명 이상의 가나인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중 약 절반 정도가 Facebook을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됨. 이 수치는 10년 전에 실질적으로 사용률이 0%였음을 감안할 때 시장이 놀라울 정도의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음을 나타냄.
○ 인터넷 사용자 수의 급증은 아크라 전역에 Wi-Fi 핫스팟을 설치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서비스 공급자들에 의해 주도됨. 2011년 보다포네는 아크라의 호텔 및 대학에 Wi-Fi를 도입하기 시작해 가나인들의 인터넷 접근성을 개선시키고 저렴한 가격에 빠른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하는 대형 Wi-Fi 네트워크를 구축함.
○ 그 결과, 미국에 기반을 둔 Ookla사가 2012년 5월에 발표한 글로벌 인터넷 스피드 보고서에 따르면 가나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로 자리매김함.
□ Wi-Fi시장 규모 및 수요
○ 시장 규모에 대한 공식적 통계(정부 및 유관 기관)는 없지만, 민간 조사기관의 평가에 따르면 1860만 달러 이상인 것으로 분석됨. - 현재 가나의 5개 주요 Wi-Fi 네트워크 사업자(Importer 및 Installer) * Commtech Solutions Limited (+233 244 071 114) * Digitech Solutions Ghana limited (+233 244 856 222) * Ecoband Networks limited (+233 302 258 797) * Billtech Company Limited (+233 244 707 601) * Dawuro Communications limited (+233 302 223 443)].
○ Wi-Fi 디바이스의 평균 가격은 제품의 특징에 따라 100~500달러 수준이며 대부분 미국, 중국, 핀란드 및 독일에서 수입되고 있음. 최근 가나는 많은 학교, 기업 및 정부부처가 전산화되고 있으며 일부 3차 교육기관(tertiary institutions)들은 원거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는데, 이는 인터넷 활용이 원거리 사이버 교육을 더 쉽게 만들고 있음. 가나 인터넷 확장 촉진 업무를 담당하는 Ghana Chapter of the Internet Society는 현재 지방 도시들의 인터넷 사용을 증가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음.
○ 단체 대부분과 개인들이 인터넷 연결을 위해 무선 라우터와 모뎀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Ethernet 등 케이블 네트워크 시스템에 비해 사용하기가 단순하고 쉽기 때문임.
○ 전자상거래(E-Commerce)의 큰 효용을 인식하게 돼 믿을만한 인터넷 연결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 기업은 자사의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있음. - 가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Wi-Fi 라우터 * Huawei E583C MIFI HSPA 3.5G WIFI Router + Antenna Slot * Netgear N600 Wireless Dual Band Router (WNDR3400v3) * Cisco-Linksys WRT120N Wireless-N Home Router * D-Link 802.11n compliant Xtreme N Gigabit Router (DIR-655) and others - 가나에서 영업 중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 Africanus.net - Internet Service Provider (www.africanus.net/) * Africa Online - Internet Service Provider (www.africaonline.com.gh/) * Broadband4U - Internet Service Provider (www.vodafone.com.gh/) * iBurst - Internet Service Provider (www.iburstghana.com) * Internet Ghana - Internet Service Provider (www.internetghana.com) * Network Computer Services (NCS) - Internet Service Provider * NetSAT Ltd - Internet Service Provider * RapidCloud - Internet Service Provider * Redline - Internet Service Provider * Zipnet - Internet Service Provider (www.myzipnet.com) * Wireless Ghana - Internet Service Provider
□ 수입 동향
○ 무역관이 접촉한 바이어 15개사 중 10개사의 Wi-Fi 주변기기 및 라우터 연간 수입량은 기업당 최소 20만 달러인 것으로 나타남.
○ 가나에는 라우터, 모뎀 등 인터넷 주변 기기를 생산하는 업체가 전혀 없어 현재 시중에 유통되는 모든 제품은 수입품이며 가장 큰 점유율을 확보한 제품은 중국의 Huawei사 제품임.
□ 투자 여건
○ 가나의 통신서비스 및 ICT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이 투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
○ 현재, 가나에는 2개의 대형 ICT 조립 기업이 있음(덴마크의 Zepto Ghana Ltd. 및 가나 기업 Rlg Communications). 따라서 품질 좋고 신뢰할 만한 Wi-Fi 시스템 및 장비를 제조하는 외국 기업의 가나 시장 진입 기회는 충분한 것으로 평가됨.
□ 진출 환경(정부 정책)
○ 이 분야는 정보통신부(Ministry of Trade, Industry), Private Sector Development 및 대통령 특별명령(Presidents' Special Initiative)에 의해 통제됨. 가나의 National ICT Development Policy는 2003년에 의회에 의해 승인돼 시행되고 있음.
○ 가나-인도 합작 프로젝트 Kofi Annan ICT Centre of Excellence는 성장하는 가나 ICT산업에 필요한 인적자원을 배출하는 책임을 맡고 있으며 Multi-Media Centre 또한, ICT산업에서 새로운 민간 기업을 육성한 후 향후 테마시의 Free Zone에 조성될 Technology Parks Business Centre에 입주시키기 위한 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정부는 또한 e-government initiatives를 이행하고 있으며, G2G, G2B 및 G2C 형태를 포함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책은 점진적으로 지방 정부로도 확산되고 있음.
○ Hand tools에 대한 수입관세는 10%, VAT 12.5%, National Health Insurance Levy가 2.5%이며, 추가로 항구에서 수입상품 가격의 0.5%에 해당하는 검사료와 1%의 ECOWAS Levy, 0.5%의 EDIF(Ghanaian Export Development and Investment Fund) 수수료가 부과됨.
□ 시사점
○ 현재 가나의 정보통신산업은 GDP의 2%, 세금 수입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4000명 이상의 직접고용과 100만 개 이상의 간접적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음. 실제로 인터넷 사용률이 1% 증가할 때마다 가나 경제 성장률도 1%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
○ 무선기술, Wi-Fi 라우터 등은 현재 가나 소비 시장에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장 상태는 인터넷 기기 조립업체 및 기업에 좋은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있음.
○ 최근 초고속 인터넷 연결과 고품질 Wi-Fi 기기 선호도가 늘고 있어 이에 따른 인터넷 관련 아이템의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통상산업부, 현지 언론 및 바이어 설문 등 코트라 아크라 무역관 종합 분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