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어가 뛰니 망둥이도 뛴다?
삼각화 전략은 진보와 보수, 좌파와 우파를 조합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원래는 양대 정치세력이 있는 상황에서 상대방 당파의 정책을 차용하거나, 상대방 당파의 쟁점 사안에 관심을 가져서 지지자 층을 빼앗아 오는 기법입니다.
말 그대로 '전략' 내지는 '기법'입니다.
다음을 상상합시다.
안드로메다 나라에 나치쓰 당과 파시스트 당이 있다고 합시다. 이 때 나치쓰 당과 파시스트 당 사이에도 지지자 층을 빼앗기 위한 삼각화 전략이 오갈 수 있습니다.
삼각화 전략을 사용할 국가 내에 어떤 성격의 당이 있냐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삼각화 전략은 이념을 조합한다는 취지가 아닙니다, 유권자들의 취향을 조합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현실 정책에 반영한다는 것입니다.
현실정치를 살펴 보면 미국에는 민주당과 공화당이 있으니까. 민주당과 공화당 사이에서 삼각화 전략이 오갑니다.
영국에는 노동당과 보수당이 있으니까, 양 당 사이에서 삼각화 전략이 오갑니다.
삼각화 전략은 본질적으로 좌파와 우파를 아우르거나 보수와 진보를 아우른다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삼각화 전략을 펼치는 정치적 마당 안에 현실적으로 좌파와 우파 혹은 진보와 보수가 있다면 양대 세력을 아우른다는 말입니다.
박형준 홍보 기획관은 마치 삼각화 전략이 본질적으로 진보나 보수를 아우르는 것처럼 호도해 놓았습니다.
삼각화 전략이란 원래 지지자 확보 전략을 말하는 겁니다.
...솔까말하여 표뺐기 전략인데, 민주적으로 여론을 수렴하는 측면이 강하니까 별 문제가 없다고들 합니다.
이명박과 한나라당은 늘 외국 지식을 수입해서 뚱딴지 처럼 왜곡해두고 아는 체를 합니다.
본질적으로 좌파와 우파를 아우르려 시도한 것은, 영국 엔터니 기든스와 토니 블레어가 추구한 '제 3의 길'입니다. 그런데 객관적으로 보면 노동당의 블레어가 보수당의 표를 빼앗고자 보수당적인 정책을 채택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제 3의 길도 삼각화 전략으로 볼 수 있다고, 주로 미국인들이 평가하곤 합니다.
이명박 측에서 관행적으로 진행된 꼼수를 되풀이 합니다. 좌파와 우파에 관련한 용어 혼선 전략의 일환으로, 국내 민주당계를 좌파라고 몰아 세우다가, 이제는 미국 민주당까지 좌파적이라 평가하고 있습니다. 덧붙여 진상을 따지면 미국 민주당 내 소수파가 좌파 경향이 있지만 절대 다수가 우파 경향이지요.
이명박과 한나라당...상습적인 구라를 또 치고 말았습니다.
차라리 쫌 솔까말 하지.... 왜 유식한 척을 하며 지능적 왜곡을 일삼는지...젬병할?
*******************************************************************
아래는 이명박 정권을 대변하는 박형준 홍보기획관의 발언 입니다.
이런 문제를 '홍보기획관'이 발언했다는 것조차, 단지 말만 앞세워 물타기를 한다고 보여 줍니다.
" "안이 박형준 홍보기획관의 발언입니다.
-는 가상대화 정도
"불필요한 이념논쟁을 하자고 (이 대통령이) 중도 강화론을 제기한 것이 아니다"
"클린턴 정부가 우파 정책을 선별적으로 수용한 것이나, 공화당의 부시 정부가 온정적 보수주의를 내건 것이나, 사르코지 프랑스대통령이 우파 정책의 토대 위에서 좌파정책을 일부 받아들인 것이나 모두 삼각화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까 클린턴 행정부가 우파가 아니라 원래는 좌파적인데, 우파적인 정책을 수혈 했다고 보는군요.
그러면 오바마도 좌파라 불려도 좋겠습니까?
미국은 실상 민주당과 공화당의 양당체제 입니다. 그렇다고 하여 민주당을 좌파라고 보면 상당히 곤란할 면모가 많을듯 합니다.
물론 삼각화 전략이 유권자 중 경쟁 당파 지지층을 잠식하는 전략이지, 이념 논쟁에 관련한 것은 아닙니다.
"정책의 유연성을 갖고 (중간층을) 포용해 나가겠다는 뜻이지 우파의 원칙을 버리겠다는 뜻이 아니다"
"지난주 발표된 한미동맹 공동비전에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원칙에 입각한 평화통일에 이르도록 한다'는 문장이 처음으로 들어갔는데 이보다 더 우파로서 확고한 입장이 어디 있느냐"
-결국 이전 입장과 별 변화가 없다는 뜻이군요.
"그렇지 않다. 실제로는 부자 정부인데 부자 정부가 아닌 것처럼 보이겠다는 것이 아니라 실체가 부자 정부가 아닌데도 부자들을 위한 정부로 왜곡돼 있으니 그것을 바로잡자는 것이다. 서민정책을 통해 중산층을 복원하겠다는 것이 취임 전부터 이 대통령의 확고한 철학이자 'MB노믹스'의 핵심이다. 그동안 비상경제대책회의에 가장 많이 오른 안건이 서민정책이었다. 그런데도 '강부자 정권'이라는 용어라든지 종부세 완화 등 일부 감세 정책이 마치 정부의 전체 정책인 것처럼 좌파들이 몰아붙이면서 '부자 정부'로 왜곡됐다."
-대통령 당선 이전부터 서민 경제를 강조한 것은 사실입니다, 홍보를 하는 차원에서만 말이지요.
이번에도 대통령 선거 당시의 유세를 연상시키는 움직임을 보여 주었습니다. 대통령 선거와 임기 중의 국정 운영은 다른 문제일 것입니다. 홍보보다 내실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또한 홍보를 하고서 실제로 서민의 경제 생활에 무슨 도움을 주었는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해온 서민정책들을 다시 제대로 알리는 작업도 하고 서민 행보도 강화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사실 MBC PD수첩의 김은희 작가 이메일에 이명박 정부에 반감을 가진 세력들의 심정이 그대로 드러났다고 보는데 촛불시위를 겪으면서 법치를 강조할 수밖에 없었고, 국회 파행사태와 북한 문제를 겪으면서도 보수 이미지가 너무 덧씌워진 측면이 있다. 야당과 재야가 그렇게 낙인찍기를 하지 않았나."
-이메일을 감시하고 공개한 것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하시는 모양 입니다. 촛불 시위와 같이 정권을 비판하는 집회나 결사가 있기에 법을 핑계대어 단속을 해야만 하는 처지라는 말씀입니다만, 그러면 헌법에 명시된 권리는 어쩌지요?
그리고 여당과 재야가 자주 제기하는 문제는 진보냐, 보수냐가 아니라 현정권이 민주주의에 역주행을 일삼는다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여론은 잘 알아듣고 계십니까? 불필요한 이념 논쟁을 피하고 싶다고 하시면서 보수라는 이미지에 예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국민들의 이념정향 조사는 우파와 좌파가 30% 정도씩, 중도층이 40% 정도로 계속 그렇게 나오는데 이번에 우리가 만든 PI(president identity ·대통령 이미지) 보고서를 보면 대선 때 이 대통령을 지지했던 중도층이 많이 빠져나갔다."
-다시 한 번 말씀 드리지만, 이념 논쟁을 원치 않는다고 말씀 하시면서도 자꾸 우파와 좌파와 중도에 관해 언급을 하시는 군요.
게다가 그래서 다시 한 번 중도층을 포섭하겠다는 복안으로 이념 논쟁을 피하고자 하시는 속내가 너무 비칩니다.
지지율을 만회하고자 고의로 중도 이미지를 만들어 가시겠다는 말씀 이군요.
"물론 우파들의 이해를 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다. 그러나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려면 사회를 안정시켜야 한다. 분열로 치닫고 양극화가 심해지면 위협받는 것은 자유민주주의의 가치이다."
-기존 지지층을 잃고 싶지 않다는 말씀 이시군요. 기존 지지층에게 당부하고자 하시는 말씀이 현정권에 반대하는 민심을 잠재우고자 미봉책을 쓸테니 잠시만 기다려 달라는 것인군요?
"모든 정책을 이념의 잣대로 볼 필요는 없지 않은가. 거듭 말하지만 노선을 전환하겠다는 것이 아니다. 법치나 북한 문제에서 원칙은 확고하게 지켜나갈 것이다. 그러면서 정책기조를 충실하게 설명하고 소통을 강화하면서 서민정책을 통해 중산층 복원을 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면 'MB다움'을 회복하겠다는 것이다."
-'MB다움'은 정권 출범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 온 것 같습니다.
혹시...그렇게 말씀을 하신 취지는 그 간 'MB다움'을 스스로 포기하셨다는 자인이신가요?
'MB다움'이 무엇이며, 그 간 어떻게 그것을 잃어 왔는지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이 대통령이 최근에 마이크로 크레디트(무담보 소액대출) 정책을 강조했지만 하반기 경제 운용 과정에서의 서민정책을 수집, 발굴하고 있다. 생활공감 정책, 그리고 양극화를 막고 중산층을 두텁게 하는 휴먼뉴딜 정책 등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