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율 떨어지는데,
부동산 가격만 오를 수 있을까?
힘들어 보이네요
—————-
그럼, 부동산(토지) 가격 상승 안하면
매매 가격 = 전세가격
투자가치가 “0” 라면,
교환가치(매매가격) 은 사용가치( 전세가격)
"1억으로 서울 입성할 기회?"..수도권 갭투자 '0'원도 생겼다
출처 : 파이낸셜뉴스
https://naver.me/F9z8BFPn
————
토지가격 상승 없고,
건물만 감가상가되어 건물가치 떨어지면
(투자가치가 마이너스 되면)
신축 매매(전세) 가격 > 구축 매매(전세)가격
카페 게시글
경제 이야기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성장율 떨어질, 한국의 주거용 부동산 전망은 ?
감나무
추천 3
조회 326
24.05.22 11:18
댓글 5
다음검색
첫댓글 제 개인적 견해로는,
부동산 가격 하락을 전망하는 사람이
많아지면,
시장에서는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고
생각. ( 유동성 선호 )
한국 빌라의 경우, 이미
2억에 전세는 살아도 ,
1.8억에 그 빌라를 살 생각은 없는 듯.
동감입니다
30평과40평 아파트가격이 똔똔 될수도
더 과격하게,
40평형이 30평형보다 싸질 수도.
하루라도 빨리,
“ Shrink Economy (축소 경제)” 에
적응하는 사람이 , 한국은 미래시대 승자될 가능성 큼.
우리도 중국처럼 아예 시멘트 사업은 GDP에서 떼어내고 설계해야 할듯.
이참에 PF 대출로 파산한다고 하는 대형 건설사 없애고
지방에 중소 건설사 중심으로 건설업 담당해도 충분할 듯.
어자피 하도급이 하도급 주는 다단계 형태이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