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해 海에는 母에는 젖을 짜다에서 '짜다'란 말과 연관되기 때문에 우리선조들이 한자만들때 고안하였지요.
짜다 salty(맛이 짜다),milk(젖을 짜다 동사로 쓰임) 이런 뜻이 중복으로 들어가 있죠.
milk 미어짜다 k-->ch
ㅋ <-->ㅎ<--->ㅅ<--->ㅈ<-->ㅊ 호환
ch는 쉬 소리로 날때도 있고 크 소리날때도 있습니다.
한자를 공부할때 무작정 외우기보다 우리말을 곰곰이 생각해보면 쉽게 터득이 가능합니다.
물론 생명의 원천인 어머니 mer marine 역시 母 어머니와 관련이 있지만.
역시 물과도 관련이 있지요.
여러가지를 함축하는 말로써 뜻과 음을 동시에 나타낼수 있는 글자가 母입니다.
한자에는 우리말의 비밀이 숨겨져 있습니다.
측자,파자도 재미있지만 우리말의 비밀을 파헤쳐보면 반드시 우리말에 해답이 있습니다.
첫댓글 한자는 우리 선조가 만든 말이 아닙니다 한자는 엄연히 중국의 말입니다. 그리고 우유는 미어짜지 않습니다. 미어짜면 젖소가 더는 젖을 안 냅니다
밀크의 어원은 게르만에 멜그입니다. 문지르다라는 의미입니다. 미어짜면 젖을 내지 않지요. 그리고 마린도 엄마와 상관 없습니다
marine영어 mer 불어 믈 물 므르 무르 마르 머르 모르 물과 관련되어 있죠 소젖을 짜야 젖나오듯 문질러서는 젖이 잘 안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