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덕경 본문제67장 해설-1자비심 2검약 3사람들 앞에 나서지 않음
세상 사람들이 말하기를 나의 도는 크기는 하지만 도답지 않다고 해 준다. 그러나 크기 때문에 도처럼 보이지 않는 것이다. 만일 도처럼 보였다면 오래 전에 보잘 것 없이 되었을 것이다. 내게 세가지 보물이 있어 간직하여 소중히 여기니 그 첫째가 자비심인 다음에, 둘째는 검약인 다음에 셋째는 사람들 앞에 나서지 않는 것이다. 자비심이 있으므로 용감할 수 있고 검약하기 때문에 널리 베풀 수 있고 남의 앞에 서지 않기 때문에 기량 있는 자들의 우두머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요즘 사람들은 자비심을 버리고 용감하려 하고 검소함을 버리고 풍족하기만을 바라며 뒤에 따르지 않으면서 앞장서려고 하는데 그것은 죽음을 향해서 가는 것이다. 자비심을 가지고 싸우면 승리할 수 있고 자비심으로 지키면 견고하도록 지켜질 것이다. 하늘이 그를 구해주려 하며 자비심을 가지고 보호하는 것이다.
天下皆謂我道大, 似不肖, 夫唯大, 故似不肖, 若肖久矣, 其細也夫,
천하개위아도대, 사불초, 부유대, 고사불초, 약초구의, 기세야부,
我有三寶, 持而保之, 一曰慈, 二曰儉, 三曰不敢爲天下先,
아유삼보, 지이보지, 일왈자, 이왈검, 삼왈불감위천하선,
慈故能勇, 儉故能廣, 不敢爲天下先, 故能成器長,
자고능용, 검고능광, 불감위천하선, 고능성기장,
今舍慈且勇, 舍儉且廣, 舍後且先, 死矣,
금사자차용, 사검차광, 사후차선, 사의,
夫慈以戰則勝, 以守則固, 天將救之, 以慈衛之.
부자이전즉승, 이수즉고, 천장구지, 이자위지.
* 本文 第 六十七章 = 천하 다들 나에 길을 가리켜 크긴 하나 본 받을만 것이 못될 것 같다 한다 (* 크게 같아도 닮지않았다 한다= 유사하나 사이비 하다는 뜻임) 무릇 결론컨대 오직 큰지라 그러므로 같아도 닮지 않아 보인다 *즉 사이비한 것처럼 보인다 만일 닮은 꼴 사이비하다면 오래되면 그 미세해질 것이다 내 세가지 보배를 가졌으니 보배 지닌걸 들춰보라 한다면 첫째론 자애라 말할 것이고 둘째론 검소함이라 말할 것이고 셋째론 구태여 천하를 위하여 앞장서지 않는다 말할 것이다 무릇 자애스러운 지라 잘 용기롭고 검소한지라 잘(*포용할 수 있는 여지가 품안이)넓다 구태여 천하를 위하여 앞장서려들지 않는지라 잘 그릊의 어른을 이룬다
이제 그 자애함과 또 용기를 노아 버리고 그 검소함과 또 넓음을 그만두고 그 뒷섬과 또 앞세움을 노아 버린다면 죽음이 되리라 무릇 자애스럼으로 써 싸움한다면 승리하게 될 것이고 그 지키려든다면 견고할 것이다 하늘이 장차 구원하려 들 진데 자애스럼을 호위하려 들 것이다 (*하늘이 장차 구원하려 들 진데 자애스럼을 호위하려 들지 않으리요? 이런 뜻이리라)
* 천하 다들 나를 일러 똑똑하지 못한 것 같다한다 [소위 불초한 것 같다한다] 대저 그렇게 커 보이는 지라 그런 연고로 불초함 같이 보인다할 것이다 만일 똑똑하게 보일 것 같으면 오히려 그 자잘 구레 하게 여길 것이다
내 세 가지 보배를 두었으니 지니어선 보전해간다 첫 째는 자애스럼이라는 것이고, 두 번째는 검소함이라는 것이고, 세 번째는 구태여 천하에 앞장서서 하려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애스러움 으로 잘 용맹스럽고, 검소함으로 잘 넓어 수용자세를 갖게되고, 구태여 천하에 먼저 하려 들지 않음인지라 잘 그릇의 장점만을 이루게된다.
이제 자애스럼과 또 용맹을 노아 버리고, 검소함과 또 드넓은 포용자세를 고만두고, 사양하는, 뒷전으로 물러남과, 어려움을 먼저 하는, 앞섬을 고만둔다면 차라리 죽는 시체나 마찬가지일 것이라
대저 자애 스러움 으로써 전쟁을 한즉 이기고, [ * 자애 스런데 무슨 전쟁을 한단 말인가? 말의 폐단이라 할 것이니 부득이해서 전쟁을 할 적에 말일 것이리라 그렇지만 전쟁을 이미 하게 된다는 것은 그 수용능력의 한계에 다달았다는 것인데 무슨 또 자애를 찾을 것인가 지금 道(도)를 말하는 자가 자신의 말에 걸리는 함정을 펼치고 있다봐야 할 것이다 道(도)라는 것은 그래 말로 지껄인다고 해서 되는 것은 아니다 ]
자애스럼으로 서 지킨즉 굳고, 하늘이 장차 구원하려든다면 장차 자애스럼으로 호위할 것이다
[ * 하늘이 자애스럽다면 어떻게 그 구원받을 험악한 거리가 제 앞에 당도해 있겠는가 이다 이 또한 뜻에 폐단이요 어폐라 할 것이다 ]
蘇註소주
夫道曠然無形 頹然無名 充 萬物 而與物無一相似 此其所以爲大也 若似
부도광연무형 퇴연무명 충편만물 이여물무일상사 차기소이위대야 약사
於物 則亦一物耳 而何足大哉 道以不似物爲大 故其運而爲德 則亦悶然
어물 즉역일물이 이하족대재 도이불사물위대 고기운이위덕 즉역민연
逸爲利 以退爲進 不合於世俗 今夫世俗貴勇敢 尙廣大 進銳 而吾之
이둔위이 이퇴위진 불합어세속 금부세속귀용감 상광대 과진예 이오지
所寶 則慈忍儉約廉退 此三者皆世之 所謂不肖者也 世以勇決爲賢 而以慈
소보 즉자인검약렴퇴 차삼자개세지 소위불초자야 세이용결위현 이이자
忍爲不及事 不知勇決之易挫 而慈忍之不可勝 其終必至於勇也 世以廣大
인위불급사 부지용결지이좌 이자인지불가승 기종필지어용야 세이광대
蓋物 而以儉約爲陋 不知廣大之易窮 而劍約之易足 其終必至於廣也 世以
개물 이이검약위루 부지광대지이궁 이검약지이족 기종필지어광야 세이
進銳爲能 而以不敢先爲恥 不知進銳之多惡於人 而不敢先之 樂推於世 其
진예위능 이이불감선위치 불지진예지다오어인 이불감선지 락추어세 기
終卒爲器長也 蓋樸散而爲器 聖人用之則爲官長 自樸成器 始有屬有長矣
종졸위기장야 개박산이위기 성인용지즉위관장 자박성기 시유속유장의
勇廣先三者 人之所其疾也 爲衆所疾 故常近於死 以慈衛物 物之愛之如父
용광선삼자 인지소기질야 위중소질 고상근어사 이자위물 물지애지여부
母 雖爲之效死而不辭 故可以戰 可以守 天之將救是人也 則開其心志 使
모 수위지효사이불사 고가이전 가이수 천지장구시인야 즉개기심지 사
之無所不慈 無所不慈 則物皆爲之衛矣.
지무소불자 무소불자 즉물개위지위의.
*소씨주석 하대,
무릇 길이란 혹 트여서 휑하니 비어 그러히 형체 없고 쇠퇴해 그러히 이름 없음이나 가득 만물에 두루 하여서 물사와 더불어 한 모양으로 같음이 없다 이러함은 곧 소이 큼이 돼서이다 만일 어떤 물사와 같다면 역시 한 물사에 불과 할 것이라서 뭘 넉넉하게 크다 할것인가? 길이 물사와 같지 않음으로써 큼이 되는지라 그러므로 그 운세로 하여서 덕됨을 볼 것 같으면 역시 답답한 듯 그러함은 노둔함(*무딤=민첩치 못함=아둔함 등)으로 써 잇속을 삼고 물러감으로써 진취적인 것을 삼아 세속과 합하지 않음이다
이제 무릇 세상에서는 용감함을 귀를 삼고 광대함을 숭상하고 날쌔게 나아감을 자랑하여도 나의 보배라 하는 것은 {자애와 인내와} {검약과} {청념하게 물러남 } 이상 세가지 인 것이니 다들 세상에서 이른바 닮으려 들지 잘않는 것이다 세상은 용감함으로써 어짊을 결단하면서도 자애 인내로써 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용감한 결단은 쉽게 좌절함을 몰라서 자애 인내를 바르게 이기지 못함이라 자인 인내가 마침내는 필히 용감함에 이른 것이 되게 함이다 세상은 넓고 크게 사물이 덮여(*쌓여)있어서 검소함과 절약함을 더러움을 삼으나 넓고 큰게 쉬이 궁색해지는걸 몰라서 검소와 절약함을 넉넉함을 쉽게 해서 그 마침내는 필히 넓음에 이른다
세상은 날쌔게 나아감을 능력을 삼아서 구태여 앞서지 못함을 부끄러움을 삼으나 날쌔게 나아감은 많이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줄을 몰라서 구태여 앞장서서 세인에게 양보할 줄을 즐기려들지 않음이라 그 마침내는 그릇이 성장한다해도 졸작을 이룬다 (* 그 마침내는 옹졸한 그릇 됨의 어른이 된다)
대저 순수성을 흩어서야 쓸만한 그릊이 됨이니 성인이 써서 곧 관청의 어른을 삼음이라 질박함으로부터 그릊을 이룸 비로소 부침성이(*의지 할만한 게) 있고 권장할만 한 게 있으리라 용감함 광대함 앞장섬 이세가지는 사람의 그 병폐인 게 많다 모든 이를 병들게 하는 게 많은지라 (*역자부언= 이상 세가지 의미가 현실에선 반드시 그렇치만도 할 수 없다 사료되므로 약간 좀 변형하여 번역했는데 소씨 주석은 극단적으로 병폐가 되서 모든 이를 병들게 하는 바라 했고 또는 모든 이가 병폐로 여기는 바라했다)
그러므로 늘 상 죽음에 가까웁고 자애로써 물사를 호위하려들면 물사들이 사랑하길 부모와 같이 여기는지라 비록(*설령) 하라 하는 게 죽음을 본받으라 하여도 마다하지 않을지라 그런 까닭에 바른 싸움을 할 것이고 바른 지킴이 될 것이라 하늘은 장차 이런 사람을 구원 하는야라 곧 그 마음과 뜻을 열어 부리대 자애롭지 아니한 게 없음이니 자애롭지 아니 할 바가 없으면 물사 들이 하여 가대 다들 호위하려 들리라
呂註여주
天下徒見我道之大 而謂其似不肖 而不知其所以大固似不肖也 何以言之
천하도견아도지대 이위기사불초 이불지기소이대고사불초야 하이언지
大道凡兮 其可左右 無乎不在者也 彼見其無乎不在 無可擬者 謂之似不肖
대도범혜 기가좌우 무호부재자야 피견기무호부재 무가의자 위지사불초
而不知其無不在而似不肖 乃道之所以爲大也 蓋萬物莫非道也 則道外無物
이불지기무불재이사불초 내도지소이위대야 개만물막비도야 즉도외무물
矣 道外無物 則無所肖者 此其所以爲大也 若有所肖 則道外有物矣 道外
의 도외무물 즉무소초자 차기소이위대야 약유소초 즉도외유물의 도외
有物 則道有所不在 其尙得爲大乎 故曰天下皆謂我道 大似不肖 夫唯大故
유물 즉도유소부재 기상득위대호 고왈천하개위아도 대사불초 부유대고
似不肖 若肖久矣其細也 夫蓋我道所以如此之大者 以吾無我而不爭故也
사불초 약초구의기세야 부개아도소이여차지대자 이오무아이부쟁고야
夫唯無我而不爭 故能持人之所難持 我有三寶 保而持之 一曰慈 二曰儉
부유무아이불쟁 고능지인지소난지 아유삼보 보이지지 일왈자 이왈검
三曰不敢爲天下先 此皆持人之所難持者也 何則 人不能無我而不爭 故勇
삼왈불감위천하선 차개지인지소난지자야 하즉 인불능무아이불쟁 고용
而不能慈 廣而不能儉 先而不能後 則無我不爭 乃其所以能保此三寶而持
이불능자 광이불능검 선이불능후 즉무아부쟁 내기소이능보차삼보이지
之也 天下有始以爲天下母 而我守之 常寬容於物 不削於人 非慈乎 其行
지야 천하유시이위천하모 이아수지 상관용어물 불삭어인 비자호 기행
身也 徐而不費 以約爲紀 非儉乎 未嘗先人而常隨人 人皆取先已獨取後
신야 성이불비 이약위기 비검호 미상선인이상수인 인개취선이독취후
非不敢爲天下先乎 夫慈爲柔弱矣 而能勝剛强 是能勇也 儉爲不費矣 而用
비불감위천하선호 부자위유약의 이능승강강 시능용야 검위불비의 이용
之不可旣 是能廣也 不敢爲天下先爲後人矣 而聖人用之以爲官長者皆從我
지불가기 시능광야 불감위천하선위후인의 이성인용지이위관장자개종아
者也 是能成器長也 今舍其慈且勇 舍其儉且廣 舍其後且先 則剛强之徒而
자야 시능성기장야 금사기자차용 사기검차광 사기후차선 즉강강지도이
已 死不亦宜乎 夫自事觀之 則軍旅之事 愛克厥威允罔功 則慈宜若有所不
이 사불역의호 부자사관지 즉군여지사 애극궐위윤망공 즉자의약유소불
行也 然自本觀之 則所以能立其威者 以慈而已 故曰夫慈以戰則勝 以守則
행야 연자본관지 즉소이능입기위자 이자이이 고왈부자이전즉승 이수즉
固 夫唯慈故儉 儉故不敢爲天下先 則慈者三寶之所自而始也 舍其慈則死
고 부유자고검 검고불감위천하선 즉자자삼보지소자이시야 사기자즉사
保其慈則生 則慈乃所以衛吾生者也 故曰天將救之 以慈衛之 慈立而三寶
보기자즉생 즉자내소이위오생자야 고왈천장구지 이자위지 자립이삼보
擧矣.
거의.
* 여씨 주석하대,
천하 대체 나에 길 큼을 보고서 그 흡사하나 본뜨지 아니할 것이라 하고 그 소이 크게 굳음을(*진실한 모습을) 닮아서 본뜨지 못할 것을 모른다
무슨 말인가? 큰길이 그 좌우를 띄워 올림이여(*그 좌우를 나래하여 두둥실 뜸이여) 그 넓음 존재치 아니하는 것이 없다 (*마치 범선이 망망한 바다에 뜨면 그러한 한폭의 그림(바다와 범선)과 같은 게 모두 길속에 내재되어 있는 모습이란 뜻이다)
저 존재치 아니함에 없음을 보고 바르게 헤아림 없는 자 이르길 흡사하나 본뜨지 아니할 것이라 하고 (*본뜨지 못할 것 같음이라 하고) 그 존재치 아니함이 없어서 본뜨지 못할 것 같음을 모른다 이에 길 소이 크다하는 야는 대저 만물이 길이 아닌 것이 없다 곧 길밖은 물사가 없음 이리라 길 밖에 物事(물사)가 없다는 함은 곧 본뜰게 없는 것이니 이래서 그 쓰는바 길이 크다 함인 것이다
만일 본뜰게 있다면 길밖에 사물이 있다는 것이니 길 밖에 사물이 존재한다면 길이 존재치 아니할 바가 있다는 뜻인데 그렇다면 오히려 길이 크다 할 것인가? (*역자부언 =이것이 말 희롱 놀음같은 게 길의 변론인가? 한다 흡사 정당화 시키기 위한 변호사의 궤변 같은 게 여씨 주석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천하 다들 나에 길 큼을 가리켜 본뜨지 못할 것 같다한다 (*나에 길을 가리켜 커서 본뜨지 못할 것 같다 한다) 무릇 결론컨대 큰 지라 그런 까닭에 본뜨지 못할 것 같음이다 만일 본뜸이 오래 지나면 그 미세하리라 (*혁명세력이 처음엔 잘해보겠다고 기치를 높이 드나 나중엔 갈수록 지지부진 시시해진다는 것이다 와 거의 같은 뜻임) 무릇 나에 길이란 게 쓰는바 이같이 큼은 내- 내라함 없어서 다투려들지 않기 때문이다
무릇 오직 내라함 없어서 다투려 들지 않기 때문에 잘 잡아 지닐수 있지만 사람들은 잡아 지니기가 어려운 게 된다 내 세 가지 보배로운 게 있어 보전하여 지녔다 했는데 첫째로 말하길 자애요 둘째로 말하길 검소요 셋째로 말하길 구태여 천하 앞장섬을 위하지 않는다 했다 이는 다 사람들이 지니기가 어려운 것을 지닌 것이라 어째서 사람들은 내라함 없어서 다투려 들지 아니함을 잘못하는가? 그렇기 때문에 용감하면서도 자애스럼을 잘못하고 너른 포부 널리 베푸는 마음을 가졌어도 검소함을 잘못하고 앞장서서 나아가길 잘하면서도 뒷전으로 물러나 양보할 줄 모른다 이는 곧 내라해서 다투려들지 아니함이 없음에서 비롯?다 할 것이다
이에(*乃=너 란 뜻도 있으니 길을 직시하여 가리키는 의미도 된다) 그 쓰는바 잘 이세가지 보배를 보전하여 지녔다 함은 천하 시작될 때부터 천하어머니가 되어서 내라함을 지켜가길 항상 물사에 대하여 관용으로 대하고 사람들에게 각박하게 나대지 아니하였음이라 이러모로 자비로움이라 아니할 것인가?
그몸의 행실인야 조급하지 않으면서도 힘을 허비하지 않고 절약함으로써 기강을 삼으니 검소하다 아니하다 할 것인가? 일찍이 사람들보다 앞장서지 않고 항상 사람들을 쫓음이라 사람은 다들 앞섬을 취하게 하고 자기는 유독 뒷전을 취하니 구태여 천하 앞장섬을 위한다 아니치 아니한다 할 것인가? (*역자부언=그러니까 천하사람들보다 앞서겠다 않는다는 뜻이다 * 소위 결과는 앞세우고 원인은 뒷전으로 한다는 뜻이다 결과는 과거 원인은 미래성으로 주지시킨다 그러니까 무슨 앞세울만한 창조성의 근원이 없다 소위 미래는 과거를 창조했다 또는 존재케 했다로 되는 것이라 지금 저해는 과거로 가는 것이다로 해도 될 것이다)
무릇 자애스럼이 유약함이 됨이라서 잘 강강함을 이김은 바로 잘 용기가 있기 때문이다 검소함이 허비치 아니함이 됨이라서 써도 바르게 다하지 않음은 바로 넓핌을 잘하기 때문이다 구태여 천하에 앞섬을 위하지 않고 뒷전 되길 위하는 사람이라서 성인이 써서 벼슬의 어른을 삼아서 다들 나를 쫓게 하는 것은 바로 잘 그릊의 어른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제 그 자애스럼과 또 용감함을 그만두고 그 검소함과 또 넓음을 노아 버리고 그 뒷전과 앞서는 [원리(*방식 ,의론)를] 것을 노아 버린다면 강강하게 나대는 무리일 따름이라 그러한 이치는 죽음이 또한 마땅치 아니하랴?
무릇 일로부터 관찰한다면 무리를 이끌고 가는일 (*군중을 다루는일) 사랑이 그위엄을 이겨 믿을만한 공을 없앤다면 자애함 마땅히 행치 못할 바가 있는 듯 함이나 그러나 근본으로 부텀 관찰한다면 소이 잘 그 위엄을 세우는 것은 자애일 따름인지라 그러므로 말하건대 무릇 자애스럼으로 써 싸움한즉 승리하고 지키려 든다면 굳은 방비가 된다 함인 것이다 무릇 결론컨대 자애스러운 지라 그러므로 검소해지고 검소한지라 그러므로 구태여 천하에 앞장서고자함을 위하려들지 않는다 곧 자애스럼은 세가지 보배 저절로 하여 시작됨이라 그 자애스럼을 놓는다면 죽음이요 그 자애스럼을 보전 한다면 삶이라 곧 자애스럼은 이에 쓸바 나의 삶을 호위하려 드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건대 하늘이 장차 구원하려 들진데 자애스럼을 호위하려 들으려니 자애스럼을 세움이라 야서 세 가지 보배를 천거함이 되리라 (* 역자부언 그렇다면 길이란 게 서석씨의 대변인가? 사랑은 양묵과 야소의 주장이 아닌가? 또 자비는 석씨의 주장이 아닌가? 길이 진정 이렇다면 별 볼일 없는 감언으로 꼬득여 침략해드는 사악한 무리를 대변하는 것이라 하나도 우러럴 건덕지가 없으니 뭔가 잘못 해석되고 오류가 있지 않는가 한다 길은 솔직해야 한다 빙 둘러 우회작전 써서 감언으로 사람의 심신만 고달 게 아니라 그저 곡괭이 들고 대상을 찍어서 잡아 먹으면 된다하고 말이다 그러니까 마구 빼앗아먹고 맛있는 거 이쁜거 턱 고이는 게 바로 참다운 길이라 이런 말씀이지.... )
朴註박주
謂我大似不肖 蓋當時多有以此語 老子者或 老子自設此語 以發下端皆
위아대사불초 개당시다유이차어초 노자자혹 노자자설차어 이발하단개
不可知言人皆謂我 言雖大而實似不肖 我之所以似不肖者 惟其大故也 若
불가지언인개위아 언수대이실사불초 아지소이사불초자 유기대고야 약
使我而肖則其爲細人也 亦已久矣 凡我所以似不肖 而能爲大者 以我有三
사아이초즉기위세인야 역이구의 범아소이사불초 이능위대자 이아유삼
寶 常持而寶之曰 慈 曰儉 曰不敢爲天下先 慈則愛下 而下皆親上 死長所
보 상지이보지왈 자 왈검 왈불감위천하선 자즉애하 이하개친상 사장소
以能勇 儉則自損而益民 所濟者多 所以能廣不敢爲天下先 則以身後於民
이능용 검즉자손이익민 소제자다 소이능광불감위천하선 즉이신후어민
而民皆樂推 所以能成萬物之長 器猶言物也 勇廣與先世之 所以肖而爲細
이민개락추 소이능성만물지장 기유언물야 용광여선세지 소이초이위세
者 慈儉與後我之所以似不肖而爲大者也 慈與勇相反以慈爲勇則 勇莫大矣
자 자검여후아지소이사불초이위대자야 자여용상반이자위용즉 용막대의
儉與廣相反以儉爲廣則 廣之至矣 後與先相反以後爲先則其先莫能與爭矣
검여광상반이검위광즉 광지지의 후여선상반이후위선즉기선막능여쟁의
今若舍吾之慈儉與後而將爲世之 勇廣與先則吾其死矣 何 能成其大乎 勇
금약사오지자검여후이장위세지 용광여선즉오기사의 하하능성기대호 용
則剛而多仇 廣則侈而多怨 先則肆而多忌 皆死之道也 慈之能戰勝守固者
즉강이다구 광즉치이다원 선즉사이다기 개사지도야 자지능전승수고자
以愛下 而下爲致死 雖天亦將救之 何者慈之道足以自衛故也 言人之所歸
이애하 이하위치사 수천역장구지 하자자지도족이자위고야 언인지소귀
天之所助也 只言慈者爲三寶之首擧一而包餘也
천지소조야 지언자자위삼보지수거일이포여야
*박씨 주석하대,
내가 커서 본받지 못할 것 같다함은 대저 당시에 많이 이러한 노담 이란자를 책망하는 (*기롱 거리는)말투가 존재했다 혹은 노자 스스로가 이런 말을 하여서 아래 끝(아래 하고자 하는 뜻의 말을 서두를) 을 일으킬려 했는지는 모든 걸 알수 없음이나 사람들이 다들 나를 일러 말들을 하길 비록 크고 알차서 본받지 못할 것 같다 말함은 나의 쓸바 본받지 못할 것 같은 것은 오직 그 크기 때문에 그렇게들 말들을 하게된다
만일 내 하여금 사람들이 본 받을만 하다면 그 됨됨이가 미세한 사람이리니 역시 오래되면 [*그 지향하는 것(*길)을] 그만두게 될 것이리라
무릇 내 쓰는바 본받지 못할 것 같아서 잘 큼이된 것은 내 세가지보배를 늘 상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
늘상 지니고 있는 보배는 첫째론 자애로움이라 할 것이고 둘째론 검소함이라 할 것이고 셋째론 구태여 천하를 위하여 앞장서지 않는것이라 할 것이다 자애스러우면 사랑함을 내리어서 아래 다들 위를 친하게여겨 (*또는 어버이 처럼여겨) 어른 즉 존장을 위하여 죽음에 들라하여도 (*죽음에 듦에 있어서도) 잘 용맹스럽고 (*명분이 뚜렷하면 죽음에 임한다해도 두려워 하지 않고 용감하다는 뜻이다)
검소하면 자신을 덜어 백성을 유익하게 하는지라 구제하는바가 많아 소이 널리 창생에게 혜택에 돌아가게 하니 사람이 포용력이 넓고 통이 크다 구태여 천하를 위하여 앞장서려 들지 않는다면 몸을 백성의 뒷전으로 하여서 보임인지라 백성들이 다들 양보함을 즐기어서 소이 잘 만물의 어른을 이룸이라 그릊 이라 함은 오히려 물사를 말함인 것이다
용감함과 통이 넓다함과 더불어 세상에 앞장섬을 본 받을수가 있다하는 것은 됨됨이가 미세한 것이요 자애와 검소함과 더불어 자신을 뒷전으로 한다하는 것은 소이 본받지 못할 것 같아서 됨됨이가 큰 것이다 자애와 더불어 용감함 서로 반대인 것 같아도 자애스럼으로 써 용감함을 삼는다면 그 용감함이 이만 큼만 함이 없으리라
검소함과 더불어 통이 넓음이 서로 반대일지라도 검소함으로써 통넓음을 삼는다면 통넓음이 극에 다달으리라
뒷섬과 더불어 앞섬이 서로 반대이나 뒷전으로 양보함을 갖고써 앞서는걸 삼는다면 그 앞설려는 것이 잘 더불어 다툴려 들게 없으리라 (*서로 양보하겠다는데 아웅다웅 다툴일이 있겠는가? =내가 양보하겠다하면 상대방도 양보하겠다 할 것이라 그러다 보면 서로 양보하는 것으로 다투는 것 같아도 거기서 또 양보하여 그럼 제가 먼저 실례 하겠읍니다가 되는 것이라 그러니 다툴 사가 없다는 것이다)
이제만일 나의 자애와 검소함과 더불어 뒷전으로 할려는 걸 그만두고서 세상을 장차 위하여 용감함과 통이 넓음과 더불어 앞장섬을 할려 한다면 내 그 죽음이 당도하게 되리라 (*내 그 죽게되리라).
어느 겨를에 잘 그 큼을 이루리오? 용감하면 강하여 원수를 많이 만들게되고 통이 넓으면 사치스러워서 원망이 많게되고 남보다 앞장서려만 든다면 드디어는 꺼림이 많게 될 것이라 모든 게 죽음에 길인 것이다 자애스러움은 싸움을 잘 하게 하여 이기게 하며 굳게 지키게 하는 것이되고 내리 사랑하여서 아래된 자들이 죽음을 이르게 함은 비록 하늘이 장차 구원하려 들진데 어느 것이 자애스런 길보다 저절로 호위하는 연고(*이유)가 넉넉하다할 것인가? 말컨대 사람을 돌아오게 하는 바는 하늘도 도우는 바라 단지 자애스럼을 말하는 것은 자애스럼이 세가지 보배의 머리가 됨에서나니 한가지를 천거해서 남은 것을 포용함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