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정치 글이나 정치 글에 달린 댓글들을 보면
'완전 사사오입이네'
'현대판 사사오입이다'
등등의 댓글을 종종 보는데
볼 때마다 궁금점이 들었지만 어디다 물어 볼 데도 없고 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제가 대충 검색해본 '사사오입'의 유래는,
1954년에 이승만 대통령의 3선 재선이 관련된 상황에서,
재적 인원인 203명 중에서 3분의 2의 찬성률이 되어야 재선이 될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재적 인원 203명의 3분의 2가 136명이었는데 135명의 찬성표가 나왔다고 하더군요,
근데 그 당시 자유당이 203명의 3분의 2는 135.3333......명이기 때문에 반올림하여 135명이라는 주장을 하였고
덕분에 재선이 되었다는 그 얘기를 통해서, 사사오입=반올림 이라는 인식이 이루어졌는데요,
그 당시의 '사사오입'에 대한 문제점과 폐혜,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사사오입'에 비유할 수 있는 비상식적인 행위,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비유적으로 '사사오입'이라는 단어를 거론하여 비판할 수 있는 상황이 있다면 어떤 상황인지
이런 것들이 궁금합니다,
답변들 부탁드릴게요,, ^ ^;;
첫댓글 이승만 정부때 득표율을 반올림해서 법안을 통과시켰었죠. 4는 버리고 5는 반올림한다는 뜻입니다.
제목보고 댓글달았는데 이미 알고 계시는군요 ....
아,, 단어 자체가 그런 뜻이었군요,,ㅋㅋ
사사오입은 아무 것도 아닙니다. '사실상 승리'의 25.7% 앞에서는...
통계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사실상승리 이론ㅋㅋㅋ
ㅋㅋㅋ easygo //님 댓글보고 빵터지네요..ㅎㅎㅎ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센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5.7% 새로운 국제 표준입니다 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용에 뜻이 나오길래 다른 뭔가를 물어보시나했는데, 아니었나보군요^^;
사사오입 [四捨五入] [명사]<수학> ‘반올림’의 전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