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나이로 60세가 되는 생일에 가까운 친척·친지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고 부모님의 만수무강을 비는 육순(六旬) 잔치가 있다.
환갑잔치 못하고 죽어도 서럽고
또한 칠순(70세) 또는 팔순(80세)에는
이미 늙어서 노는 것이나 먹는 것이 즐겁지 않고 귀찮은 나이고
또한 7-80세에는 누군가 이미 저세상에 가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니
본인 직계 가족들과 하는 것이 맞다고 하여서 좋을때인 환갑잔치를 모두 하였습니다
[출처] 환갑 선물 추천바랍니다 (지성아빠의 나눔세상 - 전원 & 귀농 -) | 작성자 노방초
회갑례는 한국식 나이 셈으로 61세가 되는 해 생일을 치르는 잔치다.
요즘은 환갑잔치를 거의 하지 않고 대부분 가족끼리 모여서 식사를 하거나
회갑을 맞은 부부끼리 여행을 가는 등 간소화됐다.
그러나 1980년대 까지만 해도 회갑례는 가장 중요한 일생의례 중 하나였다.
당시에는 60대가 넘으면 마을에서도 노인 대접을 받았다.
잔치 준비는 회갑 당사자 자식들이 했다.
이웃집에서는 잔치 날에 맞춰 숙주나물이나 콩나물 등을 시루에 길러서 가지고 왔다.
잔치 음식을 회갑 당사자 집에서 모두 준비할 경우 부담이 너무 컸기 때문에
이웃끼리 품앗이를 통해 음식 장만을 했다.
회갑 때 음식을 받은 집에서는 어느 집에서 음식이 왔는지 기억하고 있다가
그 집에서 회갑이나 혼례 등을 할때 품앗이 음식을 가지고 갔다.
환갑잔치는 날짜를 미리 알기 때문에 그 날짜에 맞춰 잔치 음식을 준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장례 때 하는 품앗이 음식은 장례가 언제 닥칠지 모르기 때문에
숙주나물이나 콩나물등을 미리 준비하지 않고 막걸리를 품앗이 음식으로 많이 했다.
첫댓글 많은 생각이 든답니다.
백세시대 백세시대 하는데.....
음지에서 혹은 우리들 옆에서 많은 이들이
환갑도 맞이하지 못하고 노을속으로 스러져 가기도 하니.
제 주변에서도 초딩 중딩 고딩 등등에 친구들도 여럿이 제 곁을 떠났고요.
오늘은 그 누군가가 그렇게도 고대하던 내일이라죠?
주어진 시간과 나날에 최선을 다하며 그렇게 가신 님들에게
떳떳한 삶을 살아가야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