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난한 길을 가실려고 하시네요, 구지 본인이 꼭 해야만 하는 일인가요? 도저히 못 하겠다고 말하는건 한순간 이지만 교육후 업무 투입되고 나면 교체도 안되고 비행 사고라도 나면 엄청난 책임이 따라 오게 됩니다 - 실익도 없이 아주 잘해야 본전이고 욕먹을게 많은 업무인데 왜 하실려고 하는지
많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해상(함정)에서 이륙 후 수색, 채증 등의 임무수행후 다시 함정으로 복귀하게 될것이며 가시권 밖으로 나가면 수동조작이 아니라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조정이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턴기능으로 다시 함정으로 복귀시에는 함정이 파도에 의해 롤링 피칭이 이루어지므로 수동으로 조작해서 착륙해야 할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제 첫걸음을 하는 단계이고 직장이고 제 직업이니 지시대로 수행하려고 합니다. 여러 회원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리며 거듭 감사드립니다!
첫댓글 시뮬레이터 깔고 충분히 연습하고
실제비행은 시뮬에서 할수 있는 기동의 70프로 수준만 날리시면
정립비행 정도는 무견적이고,
정비 불량에따른 견적말고는 발생 할 일이 없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정립상태에서 백플라잉이 시작되면 중급의 시작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배면으로 정면, 백 모두 8자 비행을 할 수 있으면 고급자의 시작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견적에 관해서는 사람마다 달라서 견적을 많이 내면서 실력이 올라가는 사람도 있고 견적이 별로 없이 실력이 올라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욕심을 내면 견적이 많이 나고 욕심을 버리면 견적이 적습니다.
예전에 논에서 헬기날리다가 야마하방제헬기 약뿌리는거 구경한적있는데요...방제헬기의 비행패턴은 호버링.직/후진비행연습만 부지런히하면 2달정도면 능숙해질듯한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참고로 추가로 말씀드리면
향후 운영하게될 헬기는 전동이며
해상에서 운영할 예정입니다.
곡예비행은 하지 않을 것이며
운항중인 흔들리는 함정에서
이착륙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도대체 무슨 업무 입니까 해상에서 농약 살포는 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리얼플라이트 시뮬이 답이지요
최소한의 견적으로 실력 향상은요
비행 특성상 정밀비행 연습을 많이하셔야 될듯 하네요. 정확하게 모든방향 고도별 호버링과 원거리에서 안정적인 제어능력. 3D 비행보다 훨씬 어려울 수 있습니다.
험난한 길을 가실려고 하시네요, 구지 본인이 꼭 해야만 하는 일인가요? 도저히 못 하겠다고 말하는건 한순간 이지만 교육후 업무 투입되고 나면 교체도 안되고 비행 사고라도 나면 엄청난 책임이 따라 오게 됩니다 - 실익도 없이 아주 잘해야 본전이고 욕먹을게 많은 업무인데 왜 하실려고 하는지
움직이는 배에서는 GPS로 착륙하지 마세요
바로 뒤집어집니다
많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해상(함정)에서 이륙 후
수색, 채증 등의 임무수행후
다시 함정으로 복귀하게 될것이며
가시권 밖으로 나가면 수동조작이
아니라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조정이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리턴기능으로 다시 함정으로
복귀시에는 함정이 파도에 의해 롤링
피칭이 이루어지므로 수동으로 조작해서 착륙해야 할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제 첫걸음을 하는 단계이고
직장이고 제 직업이니 지시대로 수행하려고 합니다.
여러 회원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리며 거듭
감사드립니다!
하드랜딩우려가 있으니, 이착륙 랜딩패드에 자이로기능이 필요해 보이네요.
가시권내 기체 이착륙 조종 후 통제권을 통제실에 넘겨주는 식이면 할만 할 것 같습니다.
이정도면 헬기보다 드론이 더 편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