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가 있는 등대 15개
가거도등대
최서남단의 외딴섬, 자연과 인간의 안식처
불 밝힌 날 1907.12.01
등대 위치 전남 신안군 흑산면 대풍리길 2-21(가거도리 산9-2) (N: 34° 05.7′, E: 125° 06.1′)
등대 높이 7.6m
연락처 가거도항로표지관리소: 061-246-5553
운영시간 연중 09:00~18:00
특징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국가등록문화재 제380호(2006.07.15. 지정)와 등대문화유산 제5호(2006.12.18. 지정)로 지정된 가거도등대는 서남해안 항해 선박과 동중국해 조업 어선에 희망의 불빛을 선사한다.
주변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섬등반도, 독실산
볼거리(지역축제 등): 멸치잡이 축제
지역대표음식: 해산물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목포시외버스터미널(약 20분 소요) → 목포여객선터미널(1일 1회/약 3시간 40분 소요) → 가거도(1구)항(약 25분 소요/도보 약 3시간 소요) → 가거도등대
목포연안여객선터미널 정보 전남 목포시 해안로 182 목포항연안여객터미널/1666-0910
여객선 정보 - 남해고속: 061-244-9915
참고/주의 사항
목포에서 선적 가능(8시간)
* 차량 입도는 가능하나 추천하지 않음
** 등대주차가능
가사도등대
좁고 거친 바닷길과 싸우는 항해자의 길잡이
불 밝힌 날 1915.10.01
등대 위치 전남 진도군 조도면 가사도돌목길 129-103 (N: 34° 27′ 37.5″, E: 126° 02′ 33.9″)
등대 높이 21m
연락처 가사도항로표지관리소: 061-542-5600
운영시간 연중 09:00~18:00
특징
목포에서 제주, 부산, 인천을 오가는 항로의 교차로에 위치한 가사도등대는 배들이 잦은 안개와 빠른 물살을 헤쳐나가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주변정보
관광지: 진도 세방낙조, 운림산방
볼거리: 명량대첩축제, 신비의바닷길축제
지역대표음식: 톳, 대파, 전복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목포시외버스터미널(약 1시간 소요) → 진도버스터미널(약 30분 소요) → 쉬미항(선박 3회 운항/약 50분 소요) → 가사도선착장(도보 약 20분, 차량 5분 소요) → 가사도등대
- (진도) 쉬미항 → (경유) → 가사도선착장(도보 약 20분, 차량 5분 소요) → 가사도등대
* 여객선터미널에 상주근무자가 없어 사전 연락 어려움
쉬미항 매표소 정보
-전남 진도군 진도읍 산월리/061-544-8500
참고/주의 사항
진도 쉬미항에서 선적 가능
* 등대 주차 가능
주의사항
- 가사도 내 식당 2곳, 민박, 슈퍼 있음
- 등대에 휴게공간 있음
거문도등대
역사의 불빛이 살아 숨 쉬는 남해안 최초의 등대
불 밝힌 날 1905.04.10
등대 위치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거문도등대길 299(덕촌리 50-1) (N: 34° 00′ 25″, E: 127° 19′ 19″)
등대 높이 33m
연락처 거문도항로표지관리소: 061-666-0906
운영시간 연중 09:00~18:00
특징
남해안의 첫 번째 등불인 거문도등대는 100년이 넘게 남해 먼 바다를 항해하는 선박들에 안전한 뱃길을 밝혀주고 있다.
구(舊)등탑 등대문화유산 제17호(2006.12.18. 지정)
주변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불탄봉, 유림해수욕장, 관백정, 떼배체험
볼거리(지역축제 등): 거문도·백도 은빛바다축제
지역대표음식: 꽃게장정식, 갈치조림, 해풍쑥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고흥)녹동시외버스터미널(약 15분 소요) → 녹동신항연안 여객터미널(1일 1회/약 3시간 소요) → 거문도항여객선터미널(택시 10분/도보 약 1시간 소요) → 수월산입구(도보 약 30분) → 거문도등대
- 여수시외버스터미널(약 25분 소요)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1일 2회/약 2시간 20분 소요) → 거문도항여객선터미널(택시 10분/도보 약 1시간 소요) → 수월산입구(도보 약 30분 소요) → 거문도등대
- 여수 EXPO역(약 20분 소요)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1일 2회/약 2시간 20분 소요) → 거문도항여객선터미널(택시 10분/도보 약 1시간 소요) → 수월산입구(도보 약 30분 소요) → 거문도등대
여객선터미널 정보
- (고흥)녹동신항연안여객터미널: 1666-7710
- 여수연안여객터미널: 061-663-0116~7
- 거문도여객선터미널: 061-666-4200 ☞ 여객선 정보
- (여수)줄리아아쿠아조국호: 061-662-0773(오션오프해운)
- (고흥)평화훼리5호: 061-644-4358(㈜평화해운)
* 평화훼리5호 월요일 정기휴일
기타
- 거문도택시: 010-4608-1681
참고/주의 사항
주의 사항
- 녹동항(고흥)에서 선적 가능
- 수월산 입구부터 차량 진입이 불가능
- 등대체험숙소 운영
당사도등대
최서남단의 외딴섬, 자연과 인간의 안식처
불 밝힌 날 1909.01
등대 위치 전남 완도군 소안면 당사도길 17-239(당사리 산 1번지) (N: 34° 05′ 53″, E: 126° 36′ 08″)
등대 높이 21m
연락처 당사도항로표지관리소: 061-553-8086
운영시간 연중 09:00~18:00
특징
항일운동이 일어난 역사적 장소이며, 소설 ‘그 섬에 가고 싶다’의 배경이 된 당사도등대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남해안을 항해하는 배들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구(舊)등탑 국가등록문화재 제731호(2018.10.01. 지정)
등대문화유산 제21호(2006.12.18. 지정)
항일전적비(1997.11.17. 설치 소안항일운동기념사업회)
주변정보
관광지: 보길도 예송리 상록수림 및 몽돌해수욕장, 윤선도유적지, 소안항일운동기념관
볼거리: 완도 장보고축제
지역대표음식: 전복, 미역, 김, 다시마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완도버스터미널(15분 소요/9km) → 화흥포여객터미널(1일1회, 06:40분/1시간 소요) → 소안도선착장 → 섬사랑1호 승선(1일 1회(07:40) 운항/40분 소요) → 당사도등대 선착장(차량 5분. 도보 20분 소요) → 당사도등대
* 소안도에서 당사도행 선박 승선 시 선박 내에서 매표
** 소안도에서 당사도행 선박 승선 시 하선할 위치(마을입구/등대입구 선택)를 선박직원에게 전달 시 해당 위치로 하선 가능하며, 당일 승선 여부와 동시에 승선할 위치를 전달해야 함(당일 왕복 기준)
- 해남종합버스터미널(50분 소요/39km) → 갈두항(땅끝)여객터미널(1일 2회(14:00,14:30)/약 30분 소요) → 노화 산양진항(15분 소요, 7km) → 노화 이목항 → 섬사랑1호 승선(1일 1회(15:40) 운항/약 50분 소요) → 당사도등대선착장(차량 5분, 도보 약 10분 소요/500m) → 당사도등대
* 1박 기준(오후 입도 시 익일 출도가능)
여객선터미널 정보
- (완도)화흥포여객선터미널: 061-555-1010
- (해남)땅끝매표소: 061-535-4268
- 소안도항매표소: 061-553-8177
- 노화도동천항매표소: 061-553-5635
여객선 정보(소안도 ↔ 당사도)
- ㈜해광운수: 061-535-5786
- 섬사랑1호: (선장)010-8654-5982
* 완도 화흥포항에서 출발 시 소안도 선착장에서 이동없이 환승 가능하나 해남 갈두항에서 출발 시 노화도 산양진항에서 하선 후 이목항으로 택시 또는 자차 이용 이동 필요(노화 산양 → 노화 이목, 10분)
참고/주의 사항
차량 입도 가능
* 차량 입도는 가능하나 등대 진입로가 협소하고, 주차공간이 없어, 추천하지 않음 주의사항 - 당사도 내 숙박시설 및 식당 등 편의시설 없음(약 8시간 체류)
- 오전 완도 출발 시 당일 오후 출도 가능하나, 오후 해남에서 출발 시는 다음 날 오전 출도 가능함
- 기항지인 소안도 및 이목항 환승하여 입도 권장
- 당사도에 하선 후 등대로 가는 방법은 마을입구에 하선 시 약 1시간 30분 소요/등대입구에 하선 시 약 20분 소요
- 등대입구에 하선하여 등대 방문 후 마을입구에서 승선하는 것을 추천(8시 30분에 하선 후 16시 20분에 승선 가능/1일 1회 운항)
* 선박 승선 시 안내 필수
말도등대
고군산군도의 끝 섬, 군산항의 관문
불 밝힌 날 1909.11.01
등대 위치 전북 군산시 옥도면 말도2길 29(말도리 1) (N: 35° 51′ 29.6″, E: 126° 18′ 54.6″)
등대 높이 26m
연락처 군산지방해양수산청: 063-441-2314
운영 시간 연중무휴
특징
63개 섬들이 모여 한 폭의 수채화를 그려내는 고군산군도의 끝에 위치한 말도등대는 100년이 넘도록 서해안과 군산항을 오가는 배들의 안전을 지켜주고 있다.
말도등대가 자리잡고 있는 고군산군도의 옛 지명은「군산도」이다. 해발 150m의 높이가 낮는 구릉성 섬들이 바다에 무리지어 모여 있는데 모습이 마치 산이 무리지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변 정보
관광지: 말도항 바위산 꼭대기 신비의 천년송, 습곡지형 지층, 트래킹코스
2022년에 말도~방축도 5개섬을 연결하는 14km 트레킹코스가 완성될 예정
먹거리: 홍합, 참돔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군산고속/시외버스터미널(7번/약 50분 소요) → 해원조선 하차(도보 약 1분 소요) → 군산연안여객터미널(약 2시간 소요) → 장자도(약 10분 소요) → 관리도(15분) → 방축도(10분) → 명도(5분) → 말도항(도보 약 8분 소요/590m) → 말도등대
- 익산역(도보 약 16분/1.1.km) → 익산공용버스터미널(약 20분 소요) → 김제공용버스터미널(약 50분 소요) → 군산시외버스터미널(7번/약 50분 소요) → 해원조선 하차(도보 약 1분 소요) → 군산연안여객터미널(약 2시간 소요) → 장자도(약 10분) → 관리도(약 15분 소요) → 방축도(약 10분 소요) → 명도(약 5분 소요) → 말도항(도보 약 8분 소요/590m) → 말도등대
군산연안여객터미널 정보
- 전북 군산시 임해로 378-8(소룡동)/063-472-2711~2
여객선 정보
- 군산연안여객터미널에서 1일 1항차(평일 09:00 출항) 운항
- 장자도: 1일 2항차(평일: 11:00/14:00 출항)/ 1일 3항차(주말: 11:00/13:00/14:20 출항)
참고/주의 사항
군산연안여객터미널에서 차량 선적 가능
* 사전 확인 필요
목포구등대
목포항 입구를 밝히는 거대한 범선
불 밝힌 날 1908.01.01
등대 위치 전남 해남군 화원면 매봉길 582(매월리 696-1) (N: 34° 45.7′, E: 126° 17.9′)
등대 높이 36m
연락처 목포구항로표지관리소: 061-536-0434
운영 기간 연중 09:00~18:00
특징
좁고 물살이 거센 목포항 입구를 오가는 배들에 지난 100여 년 동안 불빛을 비추던 목포구등대는 2003년 범선 모양의 새 등대에게 역할을 넘겨주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379호(2008.07.15. 지정)
구(舊)등탑 등대문화유산 제4호(2007.02.07. 지정)
주변 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해남 두륜산, 우항리 공룡화석지, 화원관광단지
볼거리(지역축제 등): 명량대첩축제, 땅끝 매화축제 등
지역대표음식: 김, 삼치회, 황칠오리백숙, 한정식 등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목포종합버스터미널 승차(목포-우수영/약 1시간 10분 소요) 구지 하차(도보 약 4분/242m) → 구지 승차(화원-화원/약 22분 소요) → 양화 하차(도보 약 28분 소요/1.9km) → 목포구등대
참고/주의 사항
전시실 있음
산지등대
해넘이 명소이자 제주항의 이정표
불 밝힌 날 1916.10.01
등대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사라봉동길 108-1(건입동) (N: 33° 31′ 17.12″, E: 126° 32′ 44.09″)
등대 높이 18m
연락처 제주해양수산관리단: 064-720-2674~8
운영 시간 연중 09:00~18:00
특징
아름다운 일몰을 볼 수 있는 산지등대는 제주항을 드나드는 배들의 안전을 위해 100여 년 동안 불빛을 비추고 있으며, 1999년부터는 새 등대가 임무를 이어가고 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379호(2008.07.15. 지정)
구(舊)등탑 등대문화유산 제4호(2007.02.07. 지정)
주변 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사라봉, 별도봉, 용두암, 국립제주박물관, 삼양 검은모래 해변. 동문시장
볼거리(지역축제 등): 전농로 벚꽃축제 등
지역대표음식: 고사리 육개장, 회 및 해산물, 흑돼지
교통정보
자가용/택시 : 제주공항에서 약 25분 소요(6.6km)
대중교통 이용
- (시내버스) 제주공항(1111번/약 20분) → 이화아파트 하차(도보 약 10분 소요/652m) → 산지등대
참고/주의 사항
주의 사항
- 등대 진입로가 협소하고 산책로 통행인구 많으므로, 도보 추천
상백도등대
태고의 신비를 간직한 환상의 섬
불 밝힌 날 1938.11
등대 위치 전남 여수시 삼산면 거문리 산39 (N: 34° 03′ 19.0″, E: 127° 34′ 58.4″)
등대 높이 7.8m
연락처 여수지방해양수산청: 061-650-6102
백도유람선: 010-2650-0778
운영 시간 일반인 입도 불가지역
특징
명승 제7호로 지정된 아름다운 섬, 백도의 기암절벽 위에 세워진 상백도등대는 인근 거문도 어장에서 조업하는 어선과 다도해를 항해하는 배들의 안전을 지켜주고 있다.
주변 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각시바위, 서방바위, 궁서바위, 매바위, 촛대바위 등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고흥) 녹동시외버스터미널(약 15분 소요) → 녹동신항연안여객터미널(1일 1회/약 3시간 소요)(쾌속선 1시간 30분 소요) → 거문도항여객선터미널 → 서도백도유람선 선착장 → 백도유람선 (약 2시간) → 상백도등대
- 여수시외버스터미널(약 25분 소요)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1일 2회/약 2시간 20분 소요) → 거문도항여객선터미널 → 서도백도유람선 선착장 → 백도유람선 (약 2시간) → 상백도등대
- 여수 EXPO역(약 20분 소요)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1일 2회/약 2시간 20분 소요) → 거문도항여객선터미널 → 서도백도유람선 선착장 → 백도유람선 (약 2시간) → 상백도등대대
여객선터미널 정보
- (고흥)녹동신항연안여객터미널: 1666-7710
- 여수연안여객터미널: 061-663-0116~7
- 거문도여객선터미널: 061-666-4200
여객선 정보
- (여수)줄리아아쿠아: 061-662-0773(오션오프해운)
- (고흥)평화훼리5호: 061-644-4358(㈜평화해운)
* 평화훼리5호는 월요일 정기휴일
유람선 정보
- 백도유람선 (매표소 : 010 - 2650 - 0778 / 용훈호 : 010 - 7742 - 9090)
참고/주의 사항
주의 사항
- 녹동항(고흥) 이용 시 거문도까지 차량 선착 가능
- 무인도인 백도는 유람선으로 투어 가능
스탬프 위치
- 백도유람선 매표소 내 위치
소리도등대
남해의 길라잡이, 여수·광양항의 관문
불 밝힌 날 1910.10.04
등대 위치 전남 여수시 남면 덕포길 133(연도리 2030-2) (N: 34° 24′ 48.0″, E: 127° 48′ 00.0″)
등대 높이 12m
연락처 여수지방해양수산청: 061-650-6102
운영 시간 연중무휴
특징
금오열도 남쪽 끝 힐링의 섬, 연도에 자리 잡은 소리도등대는 지난 100여 년 동안 남해안과 여수·광양항을 오가는 배들의 길잡이가 되고 있다.
등대문화유산 제22호(2006.12.18. 지정)
주변 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코끼리바위, 솔팽이동굴, 네덜란드 상선의 보물, 소룡단 등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여수종합버스터미널(도보 약 2분 소요/133m) → 시외버스터미널 승차(73번/약 9분 소요) → 중앙시장여객선터미널 하차(도보 약 2분 소요/130m)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1일 2회 운항*/약 1시간 40분 소요) → 연도선착장(도보 약 1시간 소요) → 소리도등대
- 여수 EXPO역(도보 약 4분/268m) → 만덕사거리 승차(2,7번/약 6분 소요) → 중앙시장여객선터미널 하차(도보 약 3분 소요/211m)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1일 2회 운항*/약 1시간 40분 소요) → 연도선착장(도보 약 1시간 소요) → 소리도등대
* 체류시간 약 8시간
여객선터미널 정보
- 여수연안여객터미널: 1666-0920
- 역포매표소: 연락처
- 버스운행관련(연도리사무소): 061-666-9608
* 연도 내 버스는 5인 이상 시 운행 가능
여객선 정보
- ㈜인천해상: 061-666-8092
유람선 정보
- 백도유람선(우주스타호): 010-2608-0383
참고/주의 사항
참고
- 여수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선적 가능
* 등대 진입로 입구에 주차 가능
주의 사항 : 연도선착장과 소리도등대 사이에 대중교통(택시 포함) 이용이 어려우므로 도보로 이동
스탬프 위치
- 남면연도중계 민원처리소(남면사무소 연도중계소) 앞 위치
암태도등대
복잡한 다도해의 안전 길잡이
불 밝힌 날 1913.11
등대 위치 전남 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산39 (N: 34° 51.89′, E: 126° 09.48′)
등대 높이 7m
연락처 목포지방해양수산청: 061-280-1725
운영 시간 연중무휴
특징
1913년 11월에 세워진 암태도등대는 오도와 초란도를 항해하는 배들을 위해 100여 년 동안 불빛을 비추고 있다. 일제 강점기 초기 콘크리트로 건립된 등대로 안정감과 간결한 형상을 하고 있음. 외부 계단을 통해 내부 진입하며, 출입구 양옆에 필라스터 형태의 벽기둥을 장식하였으며 상부에 반원의 페디먼트 장식을 함
주변 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천사대교
볼거리(지역축제 등): 암태도소작인항쟁기념탑, 암태추포해수욕장, 섬티아고 12사도 순례자의 길
지역대표음식: 김, 태양초, 천일염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목포역(도보 약 2분/122m) → 차없는거리 승차(130번/약 1시간 10분 소요)→ 술꼬지 하차(도보 약 18분/1.2km) → 천사대교관광안내소(도보 약 20분 소요)
- 목포시외버스터미널/목포시외버스터미널(2004,1004번) → 술꼬지 하차(도보 약 18분/1.2km) → 천사대교관광안내소(도보 약 20분 소요)
주차 정보
- 등대주변 주차가능(도보 약 600m 이동)
참고/주의 사항
참고
- 암태오도여객선터미널에서 500m거리 오솔길(등산로)에 위치
스탬프 위치 : 암태오도여객선터미널 앞
제뢰등대
밤바다의 별이 된 부산항의 역사
불 밝힌 날 1905.06
등대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부두시민공원 내 (N: 35° 6.3′, E: 129° 4.2′)
등대 높이 6.9m
연락처 부산지방해양수산청: 051-609-6804
운영 시간 연중무휴
특징
등대문화유산 제23호로 지정된 제뢰등대는 1887년 돌을 쌓은 입표로 시작하여 1905년 현재의 콘크리트 등표로 변경되면서 부산항을 오가는 배들의 안전을 지켜주다가 부두 건설 매립공사로 그 역할을 마감하게 되었다.
등대문화유산 제23호(2006.12.18. 지정)
주변 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부산항대교, 오륙도, 이기대, 신선대, 대연수목전시원
볼거리(지역축제 등): 달맞이축제, 오륙도축제, 이기대반딧불이, 대학로문화거리공연. 감만창의문화촌
지역대표음식: 곱창골목(부산 남구)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범일역 8번 출구(도보 약 2분 소요/110m) → 자유시장 승차(168번/약 16분 소요) → 현대아파트 하차(도보 약 25분 소요/1.7km)) → 감만부두시민공원
- 못골역 3번 출구(도보 약 1분 소요/13m) → 못골역 승차(남구6번/약 19분 소요) → 솔개다리 하차(도보 약 26분 소요/1.7km)) → 감만부두시민공원
- 부산역(도보 약 3분 소요/172m) → 부산역 승차(26번/약 23분 소요) → 감만동 하차(도보 약 30분 소요/2km) → 감만부두시민공원
주차 정보
- 감만시민부두 주차장 이용(80면)
참고/주의 사항
참고
- 감만시민부두에서 부산항 및 부산항대교를 전망할 수 있음
스탬프 위치
- 간만시민공원 부두 내 세븐일레븐 편의점 위치
주문진등대
강원도에서 첫 번째로 세워진 등대
불 밝힌 날 1918.03.20
등대 위치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옛등대길 24-7(주문리 187-2) (N: 37° 53′ 51.6″, E: 128° 50′ 02.3″)
등대 높이 10m
연락처 주문진항로표지관리소: 033-662-2131
운영 시간 하절기(4월~10월) 06:00~18:00
동절기(11월~3월) 07:00~18:00
특징
건축학적 가치가 높아 등대문화유산 제12호로 지정된 주문진등대는 강원도에서 첫 번째로 세워져 동해안을 오가는 배들에 희망의 불빛을 비추고 있다.
주변 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소돌아들바위공원,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 주문진수산시장, 경포대, 향호해변, 오대산 소금강
볼거리(지역축제 등): 오징어축제, 복어축제 등
지역대표음식: 오징어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강릉고속터미널(도보 약 1분/48m) → 강릉시외/고속터미널 승차(314번/약 36분 소요) → 수협사거리 하차(도보 약 5분 소요/385m) → 주문진등대
- 주문진시외버스터미널(도보 약 2분/104m) → 주문진시외버스터미널 승차(314번/약 4분 소요) → 수협사거리 하차(도보 약 5분 소요/385m) → 주문진등대
- 강릉역(도보 약 1분/59m) → 강릉역 승차(300번/약 45분 소요) → 수협사거리 하차(도보 약 5분 소요/385m) → 주문진등대
주차 정보
- 등대주변 주차 가능
죽변등대
군사요충지에 자리 잡은 전설과 역사의 보고
불 밝힌 날 1910.11.24
등대 위치 경북 울진군 죽변면 등대길 52(죽변리 1-23) (N: 37° 3.49′, E: 129° 25.77′)
등대 높이 16m
연락처 죽변항로표지관리소: 054-783-7104
운영 시간 연중 09:00~18:00
특징
역사성과 건축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경상북도 기념물 제154호로 지정된 죽변등대는 수많은 전설을 간직한 채 동해안을 항해하는 선박들의 안전한 길잡이가 되고 있다.
등대문화유산 제11호(2006.12.18. 지정)
한반도에서 독도와 직선거리상 가장 가까운 곳(216.8km)
주변 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덕구온천, 울진엑스포공원, 드라마 ‘폭풍속으로’ 세트장, 하트해변, 국립해양과학관
볼거리(지역축제 등): 죽변항 수산물축제
지역대표음식: 울진대게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울진종합버스터미널(도보 약 19분 소요/1.2km) → 울진군청 승차(덕구, 부구행/약 28분 소요) → 죽변 하차(도보 약 15분 소요/938m 이동) → 죽변등대
주차 정보
- 죽변등대 앞 공공주차장 이용 가능(약 50면)
하조도등대
남해와 서해를 이어주는 장죽수도의 길잡이
불 밝힌 날 1909.02.01
등대 위치 전남 진도군 조도면 조도등대길 429(창유리) (N: 34° 18′ 42.2″, E: 126° 05′ 16.1″)
등대 높이 14m
연락처 하조도항로표지관리소: 061-542-5374
운영 시간 연중 09:00~18:00
특징
100년 전의 건축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하조도등대는 남해와 서해를 연결하는 거친 장죽수도를 항해하는 배들에 든든한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주변 정보
관광지: 도리산 전망대, 신전해수욕장, 돈대산, 셋방낙조, 운림산방
볼거리: 진도 명량대첩축제, 신비의바닷길축제
지역대표음식: 김, 톳, 전복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목포시외버스터미널(1시간 소요) → 진도공용터미널 승차(팽목-서망행/약 1시간 10분 소요) → 진도항 하차(도보 약 1분 소요/20m) → 진도항(약 30분 소요) → 하조도 창유항(도보 약 1시간, 차량 10분 소요) → 하조도등대
여객선 정보
- 진도(팽목)항: 1일 5회 운항/061-542-5383(서진도농협)
전남 진도군 임회면 진도항길 101
주차 정보
- 진도항 주차가능
* 가사도 → 하조도 선박 운항 있음
참고/주의 사항
참고
- 진도(팽목)항에서 차량 선적 가능
- 등대까지 진입도로 포장이 잘되어 있어 차량이용 편리
- 창유항에서 등대까지 택시 이용 가능(버스 미운행)
- 전시실 있음
한산항등표
한산대첩 승전 바다 위의 거북선 등대
불 밝힌 날 1963.12.30
등대 위치 경남통영시한산면두억리/한산면염호리해상 (N: 34° 48′ 04.97″, E: 128° 28′ 09.08″)
등대 높이 13m
연락처 마산지방해양수산청: 055-981-5261
운영 시간 일반인 상륙 금지
특징
1592년 8월의 한산대첩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우리나라 최초로 거북선 디자인을 도입하여 암초 위에 세워진 한산항등표는 인근 바다를 오가는 여객선과 어선의 안전을 지켜준다.
주변정보
관광지(지역명소 등): 제승당, 사량도, 욕지도, 통영 스카이라인루지, 통영중앙시장, 통영케이블카, 이순신공원, 동피랑 벽화마을, 서피랑, 통영해저터널, 남망산조각공원
볼거리(지역축제 등): 한산도갯벌축제, 한산도대첩축제, 한려수도 굴축제
지역대표음식: 한산도 두릅삽겹살, 꿀빵
교통정보
대중교통 이용
- 통영종합버스터미널 승차(101,105,211,231,281,537번/약 30분 소요) → 서호시장 하차(도보 약 6분/378m) → 통영항여객선터미널(약 20분 소요) → 제승당 선착장
여객선터미널 정보
- 통영항여객선터미널: 1일 2시간 간격 운항/055-645-3717/ 경남 통영시 통영해안로 234
주차 정보
- 통영항여객선터미널주차장 이용 가능(유료)
참고/주의 사항
참고
- 차량 입도(한산도) 가능
- 한산항등표는 통영항에서 한산도로 가는 선박(항로)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스탬프 위치
- 제승당 여객선터미널 내 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