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善德女王(선덕여왕) drama(드라마)
[2009年(년) 視聽率(시청률) 1位(위)]
善德女王(선덕여왕) The Great Queen Seondeok
北漢山(북한산) 飛蓬(비봉)에 올라,
新羅(신라)를 바라보고 浩然之氣(호연지기)한 眞興王(진흥왕)
善德女王(선덕여왕) 15歲(세) 以上(이상) 視聽可(시청가)
善德女王(선덕여왕) genre(장르) 史劇(사극)
放送(방송) 國家(국가) 大韓民國(대한민국)의 旗(기) 大韓民國(대한민국)
放送(방송) 채널(channel) MBC
放送 期間(방송기간) 2009年(년) 5月(월) 25日(일) ~ 2009年(년) 12月(월) 22日(일)
放送(방송) 時間(시간) 月曜日(월요일), 火曜日(화요일) 밤 9時(시) 55分(분)
放送(방송) 횟數(수) 62部作(부작) + special(스페셜) 1部作(부작)
企劃(기획) 이창섭 (MBC 드라마(drama)本部(본부)
프로듀서(producer) 유현종
製作者(제작자) 타임박스 프로덕션(Timebox production)
演出(연출) 박홍균, 김근홍
脚本(각본) 김영현, 박상연
出演者(출연자) 이요원, 고현정, 엄태웅, 박예진,김남길, 정웅인, 독고영재,
전노민,김정현, 조민기, 이승효, 유승호,外(외)
音聲(음성) 2-channel stereo sound(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analog(아날로그) 2-channel Dolby Digital(2채널 돌비 디지털) ( Digital디지털)
字幕(자막) 聽覺(청각) 障碍人(장애인)을 위한 字幕放送(자막방송)
HD 放送與否(방송여부)
HD 製作(제작) · 放送(방송)
External link(外部(외부 link 링크)
Official site(公式(공식 site사이트)
《선덕여왕》(善德女王)은 2009年(년) 5月(월) 25日(일)부터 2009年(년) 12月(월) 22日(일)까지 放映(방영)된, 韓民族(한민족) 最初(최초)의 女王(여왕)인 在位(재위) 期間(기간)이 632年(년)부터 647年(년)까지 16年(년) 間(간)을 在位(재위)한 新羅(신라) 27代(대) 임금인 善德女王(선덕여왕)의 一代記(일대기)를 素材(소재)로 한 文化放送(문화방송)의 月火(월화)drama(드라마)이다. 年齡(연령)은 15歲(세) 以上(이상).
內助(내조)의 女王(여왕)의 後續(후속)으로 放映(방영)되어 2009年(년) 5月(월) 25日(일)부터 2009年(년) 12月(월) 22日(일)까지 放映(방영)한 文化放送(문화방송)(MBC)의 열 세번째 drama(드라마)이다.
1 登場人物(등장인물)
1.1 主要(주요)人物(인물)
1.2 王宮(왕궁)人物(인물)
1.3 미실궁[美室宮:예전에, 임금이나 大君(대군), 王子君(왕자군), 公主(공주), 翁主(옹주) 等(등)의 王族(왕족)이 거처하는 집을 이르던 말] 人物(인물)
⟰미실(美室, 546年(년)/548年(년) ~ 612年(년) 경 은 筆寫本(필사본) 《花郎世記(화랑세기)》에 登場(등장)하는 新羅時代(신라시대)의 權力者(권력자)이며, 대원신통(大元神統)의 繼承者(계승자)였다.
1.4 김유신(金庾信)側(측) 人物(인물)
1.5 徐羅伐(서라벌) 10花郞(화랑) 外(외)
1.6 僕射會(복야회)
1.7 百濟勢力(백제세력)
1.8 그 外(외)
1.9 特別出演(특별출연)
2 製作進(제작진)
3 視聽率(시청률)
4 延長事由(연장사유)
5 歷史(역사)와 다른 點(점)
6 音盤(음반)
6.1 善德女王(선덕여왕) O.S.T
6.2 Special OST
6.3 Special OST Part. 2
7 圖書(도서)
8 受賞經歷(수상경력)
9 剽竊論難(표절논란)
10 參考事項(참고사항)
11 脚注(각주)
12 外部(외부) 링크(link)
登場人物(등장인물) 主要人物(주요인물)
【이요원李枖原LeeYowon】 : 德曼公主(덕만공주)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남지현) - 新羅(신라) 27代(대) 임금 선덕여왕(善德女王)고현정 : 미실(美室)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유이) - 眞興王(진흥왕), 眞智王(진지왕), 眞平王(진평왕) 等(등)에게 색공한 後宮(후궁)
엄태웅 : 金庾信(김유신)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이현우) - 龍華香徒(용화향도), 第(제)15代(대) 風月主(풍월주)
박예진 : 천명공주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김유정, 신세경) - 덕만공주의 쌍둥이 언니, 眞平王(진평왕)의 첫째 딸
김남길 : 비담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박지빈) - 미실(美室)과 眞智王(진지왕) 사이에서 난 아들. (21回(회) ending(엔딩)때 登場(등장)
王宮人物(왕궁인물)
유승호 : 金春秋(김춘추)(太宗武烈王(태종무열왕)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정윤석) - 천명공주와 김용수의 아들. 훗날 太宗武烈王(태종무열왕). (34回(회)~62回(회))
故(고) 조민기 : 眞平王(진평왕)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강산, 백종민) - 김백정 - 眞興王(진흥왕)의 長男(장남)인 동륜태자의 아들이고, 어머니는 만호부인(萬呼夫人)이다.
윤유선 : 摩耶夫人(마야부인)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박수진) - 眞平王(진평왕)의 正妃(정비)
인교진 : 김용춘 役(역) - 眞智王(진지왕)의 次男(차남), 第(제)13代(대) 風月主(풍월주)
신구 : 을제 役(역)
정호빈 : 문노 役(역) - 국선, 第(제)8代(대) 風月主(풍월주)
김기현 : 거칠부 役(역) - 문노의 丈人(장인)
서영희 : 소화 役(역) - 眞平王(진평왕)의 侍女(시녀), 德萬(덕만)의 養母(양모)
이은정 : 초선 役(역) - 천명의 侍女(시녀)
정한헌 : 장헌 役(역) - 眞平王(진평왕)의 侍從(시종)
이순재 : 眞興王(진흥왕) 役(역) - 김삼맥종
임호 : 眞智王(진지왕) 役(역) - 眞興王(진흥왕)의 次男(차남), 동륜태자의 同生(동생)이자 眞平王(진평왕)의 叔父(숙부), 太宗武烈王(태종무열왕)의 祖父(조부)이다.
박정철 : 김용수 役(역) - 眞智王(진지왕)의 贛南(장남)
정혜선 : 만호부인(萬呼夫人) 役(역) - 眞平王(진평왕)의 生母(생모). 後(후)에 肅訖宗(숙흘종)과 婚姻(혼인)하여 만명부인(萬明夫人)을 낳은 金庾信(김유신)의 外祖母(외조모).
박영지 : 주진공 易(역) - 필탄의 아버지, 上州停(상주정) 당주
권성덕 : 이사부 役(역)
문회원 : 노리부 役(역)
최한호 : 수을부 役(역)
美室宮(미실궁) 人物(인물)
정웅인 : 미생 役(역) - 美室(미실)의 同生(동생), 第(제)10代(대) 風月主(풍월주), 禮部令(예부령)
독고영재 : 세종 役(역) - 美室(미실)의 男便(남편), 第(제)6代(대) 風月主(풍월주), 上大等(상대등)(總理(총리)
전노민 : 설원 役(역) - 美室(미실)의 情婦(정부), 第(제)7代(대) 風月主(풍월주), 兵部令(병부령)
김정현 : 하종 役(역) - 美室(미실)과 세종의 아들, 第(제)11代(대) 風月主(풍월주), 조부령
백도빈 : 보종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곽정욱) - 美室(미실)과 설원의 아들, 일월성도, 第(제)16代(대) 風月主(풍월주)
박은빈 : 보량궁주 役(역) - 보종의 딸, 太宗武烈王(태종무열왕) 金春秋(김춘추)의 첫째 夫人(부인), 實際(실제)로는 보라궁주
안길강 : 칠숙 役(역) - 美室(미실)의 護衛武士(호위무사)
이정훈 : 예길찬 役(역)
송옥숙 : 서리 役(역) - 상천관
조명진 : 설매 役(역)
오영수 : 월천대사 役(역) - 伽倻(가야) 出身(출신)의 격물사
강성필 : 산탁 役(역)
김동수 : 협성 役(역)
엄효섭 : 염종 役(역)
金庾信(김유신)側(측) 人物(인물)
정성모 : 김서현 役(역) - 金庾信(김유신)의 아버지
임예진 : 만명부인(萬明夫人) 役(역) - 金庾信(김유신)의 어머니
이문식 : 죽방 役(역)
류담 : 고도 役(역)
문지윤 : 시열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신태훈)
전영빈 : 곡사흔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정형민)
박영서 : 대풍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이석민)
서강 : 양길 役(역)
큐리 : 영모 役(역) - 金庾信(김유신)의 夫人(부인), 하종의 딸
徐羅伐(서라벌) 10花郞(화랑) 外(외)
고윤후 : 호재 役(역) - 실제 호림공. 第(제)14代(대) 風月主(풍월주)
홍경인 : 석품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노영학) - 청룡익도
이승효 : 알천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호효훈) - 비천지도
류상욱 : 대남보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김상빈) - 백호비도, 미생의 아들
강지후 : 임종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김석) - 호국선도
서동원 : 덕충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이도현) - 이화정도
장희웅 : 박의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서상원) - 동백매도
이상현 : 필탄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김태진) - 현무지도
최성조 : 선열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오은석) - 운상인도
김동희 : 왕윤 役(역) (幼年時節(유년시절) : 최우성) - 천시원도
복야회
주상욱 : 월야 役(역) - 沒落(몰락)한 大伽倻(대가야)의 王族(왕족). 복야회의 守將(수장)
정호근 : 설지 役(역) - 鐵製技術(철제기술)에 特出(특출)된 能力者(능력자)
百濟勢力(백제세력)
최원영 : 계백[階伯, ? ~ 660年(년) 8月(월) 20日(일)(陰曆(음력) 7月(월) 9日(일)은 百濟(백제) 末期(말기)의 軍人(군인)이다. 660年(년) 羅(나)·唐(당) 聯合軍(연합군)이 百濟(백제)를 侵掠(침략)할 때 家族(가족)의 목숨을 버리면서 까지 忠誠(충성)을 지킨 人物(인물)로 알려져 있다. 軍事(군사) 5千(천)을 이끌고 黃山伐(황산벌)에서 5萬(만)의 新羅軍(신라군)과 네 차례의 戰鬪(전투)를 벌인 끝에 百濟軍(백제군)이 全滅(전멸)하고 階伯(계백)도 戰死(전사)했다. 成忠(성충), 興首(흥수)와 함께 百濟(백제)의 忠信(충신)이라 불린다. 660年(년) 唐(당)의 신구도대총관(神丘道大摠管) 蘇定方(소정방)이 이끄는 13萬(만) 水軍(수군)과 新羅(신라)의 上將軍(상장군) 金庾信(김유신)이 指揮(지휘)하는 5萬(만) 陸軍(육군)이 水陸(수륙) 挾攻(협공)으로 百濟(백제)를 侵攻(침공)했을 때, 階伯(계백)은 忠常(충상)의 指揮(지휘) 下(하)에 5千(천)의 決死隊(결사대)로 黃山伐(황산벌)에서 新羅軍(신라군)을 만났다. 이때 階伯(계백)은 "작은 나라의 兵士(병사)로 唐(당)의 大軍(대군)과 新羅(신라)를 상대해야 하니, 國家(국가)의 存亡(존망)을 알 수 없다. 妻子息(처자식)이 捕虜(포로)로 잡혀 奴隸(노예)가 될지도 모른다. 살아서 恥辱(치욕)을 당하느니 차라리 쾌히 죽는 것이 낫다."며 自身(자신)의 손으로 직접 妻子(처자)를 죽였다. 黃山伐(황산벌)에서 階伯(계백)은 越(월)나라 王(왕) 勾踐(구천)[구천(勾踐 ?-紀元前(기원전) 465年(년) 은 春秋時代(춘추시대) 末期(말기)의 월나라(越)의 왕(재위 BC 496年(년)∼BC 465年(년)이였다. 越(월)나라의 王(왕) 句踐(구천)은 온갖 逆境(역경)에 시달린다. 어린 시절 吳王(오왕) 합려에게 어머니와 師父(사부), 사랑하는 女人(여인)을 잃는다. 句踐(구천)은 素朴(소박)한 生活(생활)을 하며 百姓(백성)을 사랑하고 人材(인재) 登用(등용)에 能(능)하였다.
句踐(구천)은 아버지 윤상(允常)이 죽은 뒤 王位(왕위)를 이어받자마자 오왕(吳王) 합려가 처들어오고 戰爭(전쟁)에서 그는 負傷(부상)당한다. 합려는 傷處(상처)가 너무 심해져서 죽게 되었는데 이때 太子(태자) 부차에게 이렇게 일렀다.“越(월)나라 句踐(구천)이 네 아비를 죽인 일을 너는 잊겠느냐?”부차는 말했다.“잊지 않을 것입니다.” 3年(년) 뒤 紀元前(기원전) 494年(년) 합려의 아들 부차에게 敗(패)하고 회계산(會稽山) 戰鬪(전투)를 고비로 越(월)나라 구천(勾踐)의 大軍(대군)을 攻擊(공격)해서 降伏(항복)을 받아내 越(월)나라를 屬國(속국)으로 만들었다. 회계산(會稽山)에서 잡힌 越(월)나라의 王(왕) 句踐(구천)은 온갖 逆境(역경)에 시달린다. ]이 5千(천)의 軍事(군사)만으로 吳(오)나라의 70萬(만) 軍事(군사)를 擊破(격파)한 일을 言及(언급)하며, 무서워하지 말자는 말로 兵士(병사)를 督勵(독려)했다. 이때 세 곳에 나뉘어 陣(진)을 친 百濟軍(백제군)은 新羅軍(신라군)과 네 번의 戰鬪(전투)에서 모두 이겼다. 이에 新羅軍(신라군)은 大將軍(대장군) 金庾信(김유신)의 同生(동생) 金欽純(김흠순)의 아들 반굴이 1人(인) 突擊(돌격) 戰術(전술)을 구사하며 戰死(전사)했고, 다음으로 1人(인) 突擊(돌격) 先鋒(선봉)에 나선 左將軍(좌장군) 金品日[김품일:新羅(신라) 太宗武烈王(태종무열왕) 때의 將軍(장군)이다. 660年(년) 羅(나)·唐(당) 聯合軍(연합군)이 百濟(백제)를 칠 때 아들인 花郞(화랑) 官昌(관창)[김관창(金官昌, 645年(년)~660年(년)은 新羅(신라) 中期(중기)의 花郞(화랑)이다. 그는 新羅(신라) 左將軍(좌장군) 金品日(김품일)의 아들이자 大耶城主(대야성주) 김품석(金品釋)의 조카이다. 660年(년) 百濟(백제)와의 戰爭(전쟁)에서 큰 功(공)을 세우고 階伯(계백)의 陣營(진영)에 세 번 찾아가 決鬪(결투)를 벌이던 中(중) 戰死(전사)했다. 그의 죽음은 新羅軍(신라군)이 決死的(결사적)으로 百濟(백제)와 싸우는데 寄與(기여)하였다. 그 後(후)에 그는 新羅(신라)의 代表的(대표적)인 花郞(화랑)으로 알려져 노래 〈韓國(한국)을 빛낸 100名(명)의 偉人(위인)들〉에 그가 나오기도 한다. 官昌(관창)은 645年(년) 金庾信(김유신)의 養子(양자)인 新羅(신라)의 左將軍(좌장군) 金品日(김품일)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5歲(세) 때 이미 말 탄 채 활 쏘는 데 能(능)하여 金春秋(김춘추)에게 薦擧(천거)되었고, 660年(년) 新羅(신라)가 唐(당)나라와 合勢(합세)하여 百濟(백제)를 攻擊(공격)할 때 부장(副將)이 되었다. 黃山伐(황산벌)에서 新羅軍(신라군)과 百濟軍(백제군) 사이에 大激戰(대격전)이 벌어졌는데, 이 싸움 中(중) 新羅軍(신라군)이 4番(번) 싸워 4番(번) 지자 다섯 번째 싸움 때 官昌(관창)은 先鋒(선봉)에 서서 敵軍(적군) 속에 들어가서 싸우다가 百濟(백제)의 捕虜(포로)가 되었다. 百濟(백제) 將帥(장수) 階伯(계백)은 그 어린 少年(소년)의 勇猛(용맹)에 感歎(감탄)하여 죽이지 않고 勇猛(용맹)을 稱頌(칭송)한 뒤 新羅軍(신라군)에게로 되돌려 보냈다. 그러나 官昌(관창)은 부끄러워하며 敵陣(적진)에 다시 突入(돌입)하여 勇敢(용감)하게 싸우다가 다시 捕虜(포로)가 되었다. 階伯(계백)은 다시 官昌(관창)을 풀어주었다. 그러나 얼마 뒤 官昌(관창)이 다시 말을 타고 階伯(계백)의 陣營(진영)으로 突擊(돌격)해 왔다. 階伯(계백)은 그의 목을 베어 죽였다.]과 함께 出戰(출전)하였다. 664年(년) 文武王(문무왕) 때 김인문(金仁問) 等(등)과 함께 高句麗(고구려)의 突沙城(돌사성)을 攻擊(공격)하였다. 668年(년) 羅(나)·唐(당) 聯合軍(연합군)이 高句麗(고구려)를 쳐들어갈 때, 貴幢摠管(귀당총관)으로서 功(공)을 세웠으며, 百濟(백제)의 流民(유민)들이 騷動(소동)을 일으킨 63個(개)의 城(성)을 빼앗았다.660年(년) (太宗武烈王(태종무열왕) 7年(년) 新羅(신라)와 唐(당)나라 聯合軍(연합군)이 百濟(백제)를 攻擊(공격)할 때 김유신(金庾信)·김흠순(金欽純) 等(등)과 함께 新羅軍(신라군)을 이끌고 百濟(백제)를 攻略(공략)하였다. 百濟(백제)의 首都(수도) 사비성(泗沘城) 지금의 忠淸南道(충청남도) 扶餘(부여)으로 進擊(진격)하는 途中(도중)에 황산(黃山) 지금의 連山)에서 百濟(백제)의 계백(階伯)이 이끄는 5,000의 決死隊(결사대)의 强力(강력)한 抵抗(저항)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에 新羅軍(신라군)은 3軍(군)으로 나누어 百濟軍(백제군)과 4番(번)이나 싸웠으나 모두 敗退(패퇴)함으로써 軍卒(군졸)들의 士氣(사기)가 크게 低下(저하)되었다. 이 때 그는 좌장군(左將軍)의 職(직)을 맡고 있으면서 아들 官昌(관창)을 불러 오늘 싸움에서 네가 능히 3軍(군)의 模範(모범)이 되겠는가 하고 묻고 그렇게 하겠다는 그를 單身(단신)으로 나가 싸우게 하였다. 그러나 官昌(관창)은 마침내 階伯(계백)에게 사로잡혀 죽음을 당하고 베어진 그의 머리만 階伯(계백)의 善處(선처)에 따라 말安葬(안장)에 매달려 新羅軍(신라군)에게로 되돌아왔다. 金品日(김품일)은 官昌(관창)의 머리를 잡고 흐르는 피로 옷깃을 적시며 말하기를, “우리 아이의 面目(면목)이 살아 있을 때와 다름이 없다. 나랏일을 위하여 죽었으니 多幸(다행)이다”라고 하였다. 이것을 본 新羅(신라)의 3軍(군)은 悲憤慷慨(비분강개)하여 百濟軍(백제군)으로 進擊(진격)하여 階伯(계백)을 戰死(전사)시키고 좌평(佐平) 충상(忠常) 상영(常永) 等(등) 30餘(여) 人(인)을 捕虜(포로)로 잡는 等(등) 最終的(최종적)으로 큰 勝利(승리)를 거두었다. 661年(년)에 이미 滅亡(멸망)한 百濟(백제)의 남은 軍士(군사)들이 다시 泗沘城(사비성)을 奪還(탈환)하기 위해 侵攻(침공)하자 文武大王(문무대왕)으로부터 대당장군(大幢將軍)에 任命(임명)되어 상주장군(上州將軍) 문충(文忠), 하주장군(下州將軍) 의복(義服) 等(등)과 함께 百濟軍(백제군)을 討伐(토벌)하기 위해 出戰(출전)하였다. 그러나 軍士(군사)를 나누어 먼저 가서 두량윤성(豆良尹城, 只今(지금)의 忠淸南道(충청남도) 錦山郡(금산군) 富利面(부리면)南(남)쪽)에서 駐屯(주둔)할 場所(장소)를 살피던 中(중)에 百濟軍(백제군)의 襲擊(습격)을 받아 退却(퇴각)하였다. 한편 고사비성(古沙比城, 井邑市(정읍시) 古阜面(고부(면)에서 新羅(신라)의 大軍(대군)이 回軍(회군)할 때 가장 뒤에서 따라가던 新羅(신라)의 하주군이 빈골양(賓骨壤, 只今(지금)의 全羅北道(전라북도) 東(동)쪽에서 百濟軍(백제군)의 攻擊(공격)을 받아 軍需品(군수품)의 損失(손실)이 많았다. 이로 因(인)해 이 싸움에서 敗北(패배)한 新羅(신라)의 將軍(장군)들은 責任(책임)의 輕重(경중)에 따라 王(왕)으로부터 罪(죄)를 받았다.]의 아들 官昌(관창)은 사로잡혔다. 階伯(계백)은 官昌(관창)의 나이가 어린 데도 氣稟(기품)이 뛰어나고 勇猛(용맹)스러워서 돌려보냈지만, 다시 陣營(진영)으로 突擊(돌격)해오자 結局(결국) 官昌(관창)을 잡아 處刑(처형)했다. 官昌(관창)의 죽음으로 勇氣(용기)를 얻은 新羅軍(신라군)은 百濟軍(백제군)과 猛烈(맹렬)하게 싸웠고, 結局(결국) 百濟軍(백제군)은 충상, 상영 等(등) 新羅(신라)에 降伏(항복)한 20人(인)을 除外(제외)한 4980名(명)이 死亡(사망)하며 敗(패)했고 階伯(계백)도 戰死(전사)했다.]
《三國史記(삼국사기)》에 列傳(열전)을 通(통)해 高麗(고려) 時代(시대)에 儒敎的(유교적) 大義名分(대의명분)에서 肯定的(긍정적)인 評價(평가)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고, 性理學(성리학)을 國是(국시)로 삼았던 朝鮮時代(조선시대)에는 儒學者(유학자)들로 부터 國家(국가)를 위해 家族(가족)의 목숨을 抛棄(포기)한 忠臣(충신)이라는 評(평)이 나왔다.
新羅軍(신라군)과의 戰鬪(전투)를 앞두고 家族(가족)을 죽였다는 《三國史記(삼국사기)》列傳(열전)의 記錄(기록)에 대해서는 武道(무도)했고 道義(도의)에 어긋난 지나치고 殘忍(잔인)한 處事(처사)였다는 評價(평가)가 있는 半面(반면), 本人(본인)도 結局(결국) 死亡(사망)했으니 道義(도의)에 어긋나기는 했어도 酷評(혹평)할 수는 없다는 擁護論(옹호론)도 存在(존재)한다. 마음만 앞서 家族(가족)을 죽임으로써 結局(결국) 兵士(병사)들이 겁먹고 싸우기도 前(전)에 敗(패)하게 된 것이라는 指摘(지적)에 대해서도, 家族(가족)을 잊어버리면 戰鬪(전투)에 有利(유리)하다는 兵法(병법)의 가르침을 들어 階伯(계백)을 防禦(방어)한 主張(주장)도 存在(존재)한다. 그러나 百濟(백제)의 옛 首都(수도)였던 扶餘(부여)를 遊覽(유람)한 一部(일부) 詩人(시인)들은 階伯(계백)의 죽음을 기리는 詩(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論難(논란)
普通(보통) 階伯(계백)을 姓名(성명)으로 看做(간주)하는 見解(견해)가 一般(일반)이지만, 金正浩(김정호)의 《大東地志(대동지지)》 記錄(기록)을 證據(증거)로 階伯(계백)은 本來(본래) 흑치상지(黑齒常之)처럼 百濟(백제) 王族(왕족)의 後裔(후예)였다는 假說(가설)이 있다.
列傳(열전)에서 姓名(성명)이듯이 言及(언급)한 '階伯(계백)'은 階伯(계백)의 祖上(조상)이 分封(분봉)받은 地域(지역)으로서 그곳은 音韻上(음운상) 김부식(金富軾)이 編纂(편찬)한 《三國史記(삼국사기)》雜誌(잡지)에 記錄(기록)된 當時(당시) 개백현(皆伯縣)으로 批正(비정)되며, 階伯(계백)의 祖上(조상)이 分封(분봉)된 地域(지역)이자 계백씨(階伯氏)의 由來(유래)가 된 곳이라는 假說(가설)이다.
祠堂(사당) 및 墓所(묘소)
性理學的(성리학적) 秩序(질서)의 確立(확립)과 더불어 各地(각지)에 偉人(위인)을 모신 私立學校(사립학교)의 形態(형태)를 띤 書院(서원)이 建立(건립)되면서 階伯(계백)을 祭享(제향)하는 非賜額書院(비사액서원)이 扶餘(부여)를 中心(중심)으로 建立(건립)되었는데, 不法(불법) 運營(운영)으로 因(인)해 朝鮮末期(조선말기)의 書院撤廢令(서원철폐령) 때 大部分(대부분) 撤廢(철폐)되었고 一部(일부)가 20世紀(세기)에 들어서 再建(재건)되었다.
의열사(義烈祠)
忠淸南道(충청남도)文化財資料(문화재자료) 第(제)114號(호). 宣祖(선조) 8年(년)(1575年(년)에 當時(당시)의 扶餘縣監(부여현감)이었던 홍가신(洪可臣)이 龍井里(용정리) 望月山(망월산)에 처음 지었으며, 百濟(백제)의 성충·흥수·階伯(계백)과 高麗(고려) 後期(후기)의 忠臣(충신) 이존오(李存吾)를 祭祀(제사)지낸 것을 始初(시초)로 한다. 仁祖(인조) 19年(년)(1641年(년)에 새로 고쳐 지었으며, 宣祖(선조) 때의 선비 정택뢰(鄭澤雷)와 仁祖(인조) 때의 文臣(문신) 황일호(黃一皓)를 追加(추가)로 더 모시고 祭祀(제사)지냈다. 書院撤廢令(서원철폐령)으로 孤宗(고종) 3年(년)(1866年(년)에 廢止(폐지)되었다가 다시 지었고, 1971年(년) 남령공원으로 옮겨서 봄과 가을에 祭祀(제사)를 지내고 있다.
충곡서원지(忠谷書院址)(忠南(충남) 論山市(논산시)忠淸南道(충청남도)市道(시도)記念物(기념물) 第(제)12號(호). 階伯(계백)과 死六臣(사육신)을 追慕(추모)하기 위해 세운 肅宗(숙종) 6年(년)(1680年(년)에 세운 書院(서원)이다. 高宗(고종) 5年(년)(1868年(년)에 閉鎖(폐쇄)되었고 1933年(년) 復元(복원)하였다. 只今(지금)은 文臣(문신) 11名(명)을 追加(추가)로 더 配享(배향)하고 있다.
忠南(충남) 論山市(논산시) 夫赤面(부적면) 忠谷里(충곡리) 山(산)13 所在(소재).삼충사(三忠祠)扶蘇山城(부소산성) 內(내)에 所在(소재)한 이곳은 1957年(년)에 처음 지었고 해마다 百濟(백제)文化制(문화제) 때 三忠祭(삼충제)를 지낸다. 現在(현재)의 모습은 1981年(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안에는 성충·흥수·階伯(계백)의 影幀(영정)이 奉安(봉안)되어 있다.
또한 新羅(신라)와 百濟(백제)의 戰場(전장)이었던 新羅(신라) 黃山伐(황산벌) 西北(서북)쪽에 該當(해당)하는 論山市(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山(산)기슭에는 오래전부터 階伯(계백)의 무덤이라 傳(전)해오는 古墳(고분)이 存在(존재)했는데, 이 古墳(고분)이 확실히 階伯(계백)의 것임을 보여주는 證據(증거)는 迷信(미신) 外(외)에는 아직 發見(발견)되지 않았다. 이곳은 '階伯將軍(계백장군)遺跡戰勝地(유적전승지)'라는 이름으로 忠淸南道(충청남도) 市道記念物(시도기념물) 第(제)74號(호)로 指定(지정)되었다.
百濟(백제)의 달솔 役(역)
이대연 : 윤충 役(역)
정종현 : 속함성 城主(성주) 役(역)
그 外(외)
박재정 : 사다함(第(제) 5代(대) 風月主(풍월주), 美室(미실)의 戀人(연인) 役(역) 양현태.
特別出演(특별출연)
박용식 : 흥륜사 住持(주지) 役(역)
Mametgulov Mansour(마멧굴로브 만수르) : Catan(카탄:로마(Rome)人(인) 商人(상인)) 役(역)
진경 : 삼월 役(역) - 旅館(여관)
박정우 : 흑산 役(역) - 侍衛府(시위부)의 武士(무사)
맹봉학,손선근,윤영목,공재원,백윤흠,전해룡,오정석,정동규,김광인.
고인범 : 中國使臣(중국사신) 役(역) 조광유.
정병철 : 商人(상인) 役(역)
권태원 : 唐(당) 使臣(사신) 소제열 役(역) 정병호,이재우,서광재,박규점,
製作進(제작진)
製作支援(제작지원) : 慶尙北道(경상북도), 慶州市(경주시), 韓國水力原子力(한국수력원자력), 놀부NBG, 서희건설[서희건설(Seohee Construction Co., Ltd.)은 京畿道(경기도) 城南市(성남시) 盆唐區(분당구) 수내동`에 位置(위치)한 建設(건설)企業(기업)이다. 1982年(년) 10月(월) 22日(일)에 運送(운송)業體(업체)인 영대운수가 始初(시초)이며 1994年(년) 9月(월)에 建設業(건설업)으로 業種(업종)을 轉換(전환)하였다.
1999年(년) 12월 22日(일)에 코스닥에 上場(상장)하였으며 本社(본사)는 1998年(년)까지 서울에 所在(소재)하였으나 1998年(년) 8月(월)에 京畿道(경기도) 城南市(성남시)로 移轉(이전)하였다. 代表的(대표적)인 brand(브랜드)로는 Apartment brand(아파트 브랜드)인 'Star Hills(스타힐스)'가 있다. 國土(국토)交通部(교통부)가 發表(발표)한 2019年(년) 施工(시공)能力評價(능력평가)에서 土木(토목)建築工事(건축공사)業(업) 施工(시공)能力評價(능력평가)額(액) 1兆(조) 696億(억) 圓(원)으로 38位(위)를 記錄(기록)했다.], 千年 韓牛(천년한우), 徐羅伐)大學(서라벌대학)
세트(set)支援(지원) : 新羅(신라)밀레니엄파크(Millennium Park)
撮影支援(촬영지원) : 慶州敎育文化會館(경주교육문화회관).
撮影協助(촬영협조) : 우외진(慶州市廳(경주시청), 이강우, 정상준, 이동수, 이석준.(慶尙北道廳(경상북도청),변종경,황병민(新羅(신라)밀레니엄파크(Millennium Park), 김상윤(慶州敎育文化會館(경주(교육(문화회관)
場所協贊(장소협찬) : 忠淸南道(충청남도)開發公社(개발공사), 재원테마랜드(Finance Theme Land), 尙州市廳(상주시청), 韓國(한국)레저(leisure)開發(개발), 慶州(경주) 블루모아 리조트(Bluemore Resort), 慶州消防署(경주소방서)
撮影監督(촬영감독) : 김세홍, 채창수, 홍성욱, 김영철.
Steadicam(스테디캠) : 김병권.
Focus puller(포커스풀러) : 임형준.
촬영보[撮影補:映畫(영화) 製作(제작)에서, 撮影(촬영)하는 사람을 돕거나 그를 代理(대리)하는 職位(직위)에 있는 사람.] : 문영수, 김성환, 박승민.
照明(조명) : 이정학, 정승주, 이진택, 김진평, 최병길, 김동규, 김성종, 임종성, 박언호, 박범준, 이형우, 임길종, 황현태.
發電車(발전차) : 조윤성, 민광기, 오재봉.
同時錄音(동시녹음) : 김수환, 박용준, 김성태, 박광식, 임준아, 김보름.
crane(크레인) : 선지윤, 문관영, 박영호.
camera(카메라)補助(보조) : 김찬섭, 신희경, 고대석, 강승우, 한채열, 김대진.
照明(조명)crane(크레인) : 김민환.
美術製作(미술제작) : MBC美術(미술)센터(center)
美術(미술)監督(감독) : 정지섭.
Set design(세트디자인) : 이영주, 소영준.
세트(set)裝置(장치) : 김진희, 지윤현, 박동순.
作話(작화) : 최영호.
小道具(소도구) : 이진호, 윤상은, 임수상, 한규석, 유인선, 이용래.
衣裳(의상)디자인(design) : 이혜란, 박현임, 박소연.
意匠(의장) : 한창섭, 장윤혜, 정문진, 심현아, 김민정, 길혜진.
扮裝(분장) : 임규빈, 윤병택, 이화랑, 심현주, 차상훈, 전영민.
美容(미용) : 이은영, 이명순, 신보라미, 최혜빈, 나보미.
美術支援(미술지원) : 김성우, 강치준, 김영민, 곽정훈, 유광호.
美術行政(미술행정) : 최호연.
Set(세트) : 편창돈, 고석호.
裝身具(장신구) : 한상대, 윤대원, 송일종.
假髮(가발) : 이명자, 이희숙.
補助出演(보조출연) : 백석현, 김재련.
Casting Director(캐스팅디렉터) : 문형욱.
casting(캐스팅): 정현숙.
兒役(아역)casting(캐스팅) : 아이앤아이(I&I), 박소영.
外國人(외국인)casting(캐스팅) : 김상익, 홍승아.
武術監督((무술감독) : 김성실, 김춘근.
武術指導(무술지도) : 김필수(액션마스터), 유관형.
特殊效果(특수효과) : 퓨처비전(Future Vision)
技術監督(기술감독) : 신현귀.
camera(카메라)監督(감독) : 안진영, 김창배, 임대혁.
照明(조명)監督(감독) : 오승만.
照明(조명)조감독[助監督:監督(감독)을 돕는 演出(연출)部員(부원)의 우두머리]: 백광민.
音響(음향)監督(감독) : 이순조.
錄畫(녹화) : 신동창.
映像(영상) : 조향철.
스튜디오(studio)照明(조명) : 정수동, 김태한, 김덕일.
스튜디오(studio)音響(음향) : 채윤수, 나희철, 견상은.
編輯(편집) : 황금봉
編輯補(편집보) : 권인영, 김혜련.
編輯(편집)監督(감독) : 임경래.
綜合(종합)編輯(편집) : 강양운.
音響(음향)效果(효과) : 김기수, 이석준, 김병구, 홍전민, 문성용, 박영민, 이주원, 김종민.
特殊(특수)映像(영상)監督(감독) : 최진형.
特殊(특수)映像(영상) : 박은석, 최장환, 박현영.
Colorist(컬러리스트) : 임신환.
Computer graphics(컴퓨터그래픽) : 표정은.
CG : DTI / 東亞放送(동아방송) 藝術大學(예술대학) digital(디지털)映像科(영상과)
Title design(타이틀디자인) : 박명호.
Logo design(로고디자인) : 최종훈.
音樂監督(음악감독) : 엄기엽.
作曲(작곡) : 서민영, 김희진.
title(타이틀)音樂(음악) : 박정식.
音樂(음악) : 이광희.
弘報(홍보) : 한임경(남궁성우), 오진이, 이은형.
Making(메이킹) : 김병혁.
行政(행정) : 홍미란.
製作(제작)producer(프로듀서) : 윤성호, 정지영.
製作行政(제작행정) : 우경순.
補助作家(보조작가) : 김지운, 김진희.
涉外(섭외) : 안은남.
記錄(기록) : 윤수민, 하현정.
進行(진행) : 이은호, 유내동, 이헌득, 이용궁, 방승민.
演出(연출) : 최준배, 최정규, 박원국, 유희준.
梁芳秀(양방수)善德女王(선덕여왕)을 찾아가다.......
梁芳秀(양방수)善德女王(선덕여왕)을 찾아가다.......
梁芳秀(양방수)善德女王(선덕여왕)을 찾아가다.......
梁芳秀(양방수)善德女王(선덕여왕)을 찾아가다.......
梁芳秀(양방수)善德女王(선덕여왕)을 찾아가다.......
梁芳秀(양방수)善德女王(선덕여왕)을 찾아가다.......
첫댓글 이승철~금 2021-03-19 오전 2:58 ~ 대단한 역사 사극 좋은 영상물 감사합니다........
이승철~금 2021-03-19 오전 2:58 ~ 좋은 영상물 감사합니다. 참으로 대단 하십니다.................역사란 아무나 이렇게 할수가 없는데 말입니다. 어쨋던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