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점철미봉(點綴彌縫)
덧대 보태어 임시로 얽어맨다는 말이다.
點 : 점 점(黑/5)
綴 : 엮을 철(糹/8)
彌 : 두루 미(弓/14)
縫 : 꿰맬 봉(糹/10)
서양 정장 차림에서 가장 쓸데없는 것이 넥타이다. 목에 드는 바람을 막자는 것도 아니면서, 여름에도 답답하게 목을 조른다.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인 넥타이의 색상과 디자인이 양복의 품위를 결정한다.
30년 전쟁(1618~1648) 당시 터키와의 전투에서 승리한 후 크로아티아 용병들이 파리에서 개선행진을 했다. 이때 루이 14세에게 충성 맹세의 상징으로 앞가슴에 매단 크라바트(Cravate)라는 천에서 시작되었다는 넥타이.
오늘도 직장인들은 상사에게 충성하고 고객에게 잘 보이려고 쓸모라곤 전혀 없는 이 물건으로 제 목을 죈다.
쓸모로 치면 얼굴에서 눈썹처럼 쓸데없는 것이 없다. 속눈썹은 눈에 들어가는 티끌이나 막아준다지만, 눈썹이 하는 일은 대체 무엇이냐?
눈썹 없는 모나리자 그림이 두고두고 얘깃거리가 되는 걸 보면, 눈썹이란 것이 그닥 소용은 없되 없지 못할 물건임을 알겠다. 여성들은 이 눈썹을 다듬고 그리는 데 화장 시간의 적지 않은 부분을 할애한다.
전 여당 대표의 문신한 짙은 눈썹은 TV에서 볼 때마다 어색하고 우스웠다. 눈썹의 위상은 쓸모의 잣대로만 논할 일이 아닌 것이다.
꼬리도 군더더기다. 소꼬리는 몸에 들러붙는 파리를 쫓는 데 쓴다지만 엉덩이 쪽만 쓸모가 있다. 싸움에서 졌다는 표시를 할 때도 유용하다. 투견은 그 때문에 제 지닌 꼬리마저 잘리고 만다.
인간의 육체에서 꼬리가 퇴화한 것만 봐도 원래 요긴한 부분이 아니었던 것이 분명하다. 인간에게 꼬리가 여전히 붙어 있다면 복식사는 근본부터 달라져야 한다.
이덕무의 관찰이 즐겁다. "눈썹은 두 움큼의 털일 뿐이다. 듣거나 말하는 일을 담당하지 않는다. 그저 사람의 눈 위에 덧붙어 단지 사람을 생색나게 할 뿐이다. 꼬리는 한 줌의 살덩어리일 따름이다. 뛰지도 못하고 씹지도 못한다. 짐승의 꽁무니 뒤에 드리워져 다만 짐승의 부끄러운 곳을 감출 뿐이다. 그러고 보니 조물주에게도 또한 점철법(點綴法)과 미봉법(彌縫法)이 있는 게로구나."
점철(點綴)은 덧대 보탠 것이다. 심심해 덧댄 털이 눈썹이다. 덧대니 생색이 난다. 미봉(彌縫)은 터진 데를 꿰맨 것이다. 다급한 나머지 한 땜질 처방이다. 항문을 가리는 꼬리가 꼭 그 짝이다. 세상에 쓸모만 따져 안 될 것이 어디 한두 가진가?
▶️ 點(점 점, 시들 다)은 ❶형성문자로 奌(점, 다), 点(점, 다)은 통자(通字), 点(점, 다)은 간자(簡字)이다. 음(音)을 나타내는 占(점)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일, 黑(흑)은 검은색의 뜻으로 點은 검고 작은 표, 틀린 글자 따위를 검게 칠하는 일, 또 더럽히는 일, 나중에 표를 하다, 불을 붙이다 따위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인다. ❷회의문자로 點자는 '점'이나 '얼룩', '불붙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點자는 黑(검을 흑)자와 占(점치다 점)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占자는 거북의 배딱지(腹甲)에 나온 점괘를 그린 것이다. 點자는 본래 ‘불붙이다’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아궁이에 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불쏘시개가 필요했었을 것이다. 그래서 點자에 쓰인 占자는 발음 외에도 불쏘시개 모양을 표현하고 있다. 點자는 때로는 '점'이나 '얼룩'이라는 뜻으로도 쓰이는데, 이는 재가 날려 얼룩이 묻거나 구멍이 났다는 뜻이다. 그래서 點(점, 다)은 (1)작고 둥글게 찍는 표 (2)사람의 살갗이나 짐승의 철 또는 피륙 따위에 있는 빛깔이 다른 둥근 얼룩 (3)유우클릿의 기하학(幾何學)에서 주어지는 기본 개념의 하나 길이, 너비, 두께도 없이 위치만 있는 것 (4)어느 속성이나 측면의 개별적인 부분이나 요소 등의 뜻으로 ①점(點: 작고 둥글게 찍은 표) ②흠, 얼룩 ③물방울 ④권점(圈點: 후보자의 이름 아래에 둥근 점을 찍던 일) ⑤측면(側面) ⑥시간(時間) 단위 ⑦점찍다 ⑧고치다 ⑨불 붙이다, 켜다 ⑩점철하다 ⑪지시하다 ⑫조사하다, 검사하다 ⑬징집하다, 징발하다 ⑭가리키다 ⑮끄덕거리다 ⑯따르다 ⑰더럽히다, 욕되다 ⑱떨어지다, 떨어뜨리다 ⑲붓다(살가죽이나 어떤 기관이 부풀어 오르다) 그리고 ⓐ풀잎이 시들다(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낱낱이 검사함을 점검(點檢), 점의 수효 또는 성적을 나타내는 숫자를 점수(點數), 낮에 끼니로 먹는 음식을 점심(點心), 여기저기 흩어진 것들이 서로 이어짐 또는 그것들을 이음을 점철(點綴), 등심지에 불을 켜 당김이나 등에 불을 켬을 점등(點燈), 불을 켬을 점화(點火), 시각장애자가 손가락으로 더듬어 읽게 만든 부호 글자를 점자(點字), 많은 점을 줄지어 찍어서 이루어진 선을 점선(點線), 등불을 켰다 껐다 함을 점멸(點滅), 명부에 일일이 점을 찍어 가면서 사람의 수효를 조사하는 일을 점고(點考), 여기저기 점점이 흩어져 있음을 점재(點在), 멀리 점점이 이룬 경치를 점경(點景), 평점을 붙임을 점부(點附), 하나씩 자세히 조사함을 점사(點査), 관심과 흥미가 집중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을 초점(焦點), 시간의 흐름 위의 어떤 한 점을 시점(時點), 비거나 허술한 부분을 허점(虛點), 서로 다투는 중요한 점을 쟁점(爭點), 곡선 또는 곡면과 접선과의 공유점을 접점(接點), 좋은 점으로 보다 뛰어난 점을 장점(長點), 사물을 관찰하거나 고찰할 때 그것을 보거나 생각하는 각도를 관점(觀點), 점수를 매김을 채점(採點), 가장 중요한 점을 요점(要點), 활동의 발판이 되는 점을 거점(據點), 처마의 빗방울이 돌을 뚫는다는 뜻으로 작은 힘이라도 그것이 거듭되면 예상하지 못했던 큰 일을 해냄을 이르는 말을 점적천석(點滴穿石), 쇳덩이를 다루어 황금을 만든다는 뜻으로 나쁜 것을 고쳐서 좋은 것으로 만듦의 비유 또는 옛사람의 글을 활용하여 글을 지음을 이르는 말을 점철성금(點鐵成金), 푸른 잎 가운데 한 송이의 꽃이 피어 있다는 뜻으로 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를 띠는 것 또는 많은 남자들 사이에 끼어 있는 오직 하나 뿐인 여자를 이르는 말을 홍일점(紅一點), 많은 여자 사이에 있는 한 사람의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을 청일점(靑一點), 뜨거운 불길 위에 한 점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듯이 사욕이나 의혹이 일시에 꺼져 없어지고 마음이 탁 트여 맑음을 일컫는 말을 홍로점설(紅爐點雪), 용문 아래에 모인 물고기가 뛰어오르면 용이 되고, 오르지 못하면 이마에 상처만 입게 된다는 뜻으로 과거에 낙방한 사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용문점액(龍門點額), 장승요가 벽에 그린 용에 눈동자를 그려 넣은 즉시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라는 뜻으로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어 완성시키다라는 뜻을 이르는 말을 화룡점정(畵龍點睛), 글자의 점 하나와 획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부분의 글이나 말 따위를 이르는 말을 일점일획(一點一劃), 문장이 썩 잘 되어서 한 점도 가필할 필요가 없을 만큼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을 문불가점(文不加點), 단 하나의 자기가 낳은 자식을 일컫는 말을 일점혈육(一點血肉) 등에 쓰인다.
▶️ 綴(엮을 철)은 형성문자로 缀(철)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계속(繼續)되다', '연잇다'의 뜻을 나타내는 글자 叕(철)로 이루어졌다. 실을 얽어서 하나로 '만들다'의 뜻이다. 그래서 綴(철)은 어떤 명사(名詞) 뒤에 쓰이어, 그것을 한데 꿰매어 놓은 물건의 뜻을 나타내는 말로 ①엮다 ②잇다 ③연결하다 ④짓다 ⑤꿰매다 ⑥막다 ⑦매다 ⑧표(標: 같은 종류의 다른 사물과 분간할 수 있도록 하는 그 사물만의 두드러진 특징) ⑨깃발,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엮을 편(編)이다. 용례로는 오랑캐를 제어함을 철로(綴虜), 옥을 꿰어 맴을 철옥(綴玉), 구슬을 꿰어 맴을 철주(綴珠), 여러 가지 조목이나 종목을 벌여 놓음 또는 그 종목을 철목(綴目), 모음과 자음이 합하여 된 소리를 철음(綴音), 자음과 모음을 맞추어 한 글자를 만듦 또는 글자를 철자(綴字), 편집 또는 글을 모아서 철함을 철집(綴輯), 여기저기 흩어진 것들이 서로 이어짐 또는 그것들을 이음을 점철(點綴), 책이나 서류 따위를 정식으로 매지 않고 임시로 대강 매어 둠을 가철(假綴), 보충하여 한데 엮음 또는 상한 이를 고치거나 의치를 해 박는 일을 보철(補綴), 글자나 날자를 세로 맞추어 쓰는 맞춤 또는 세로로 꿰맴을 종철(縱綴), 자모를 가로 풀어서 쓰는 철자 또는 가로로 꿰맴을 횡철(橫綴), 문건이나 신문 따위를 정리하여 짜서 철하거나 결음을 편철(編綴), 숨이 끊어질듯 말듯함을 늠철(凜綴), 위독한 병세가 지속됨을 위철(危綴), 글을 고쳐서 지음을 찬철(竄綴), 책이나 서류 따위를 모아서 한데 꿰맴을 수철(蒐綴), 갖가지 종류의 서류나 물건 따위를 한데 철해 놓은 것을 잡철(雜綴), 기력이 다하여 없어짐을 시철(澌綴), 위태로 와서 두려움을 늠철(凜綴), 접어서 한데 묶음을 접철(摺綴), 한 데 모아서 철함 또는 그 철한 책을 집철(緝綴), 덧대 보태어 임시로 얽어맨다는 말을 이르는 말을 점철미봉(點綴彌縫) 등에 쓰인다.
▶️ 彌(미륵 미/두루 미)는 형성문자로 弥(미)는 통자(通字), 弥(미)는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활 궁(弓; 활)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오래 끌다는 뜻을 가진 爾(이, 미)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본디는 璽(새)를 덧붙여 彌(미)로 썼다. 활시위를 느슨하게 함을 말한다. 그래서 彌(미)는 성(姓)의 하나로 ①미륵(彌勒) ②두루, 널리 ③더욱 ④멀리 ⑤갓난아이 ⑥장식(裝飾) ⑦물이 꽉 찬 모양 ⑧오래다 ⑨지내다 ⑩다하다, 극에 다다르다 ⑪마치다, 그치다, 끝나다 ⑫차다, 가득 메우다 ⑬멀다 ⑭거두다, 거두어들이다 ⑮드리우다(한쪽이 위에 고정된 천이나 줄 따위가 아래로 늘어지다), 늘어뜨리다 ⑯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 꿰매다 ⑰퍼지다 ⑱얽히다, 휘감기다 ⑲걸리다, ~동안 계속되다 ⑳활을 부리다(활의 시위를 벗기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오랠 구(久), 멀 유(悠), 길 영(永), 멀 하(遐), 멀 원(遠), 길 장(長)이다. 용례로는 빈 구석이나 잘못된 것을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주선해서 꾸며 댐을 미봉(彌縫), 어떤 현상이 어느 곳에 널리 가득 찬 상태에 있음을 미만(彌滿), 답안지에 적혀 있는 번호나 이름에 종이를 덮어 붙임을 미봉(彌封), 그 동안이 매우 오래 됨을 미구(彌久), 한 해가 지남을 미년(彌年), 병이 오래 낫지 아니함을 미류(彌留), 한 달 동안이 걸림을 미월(彌月), 온종일 걸림을 미일(彌日), 꾸려서 보충함을 미보(彌補), 마음과 정성을 다하여 더욱 도탑게 함을 미독(彌篤), 착한 마음이나 악한 마음이 가슴 속에 가득함을 미중(彌中), 은혜나 덕택이 널리 두루 미침을 미흡(彌洽), 꿰매어 깁는 계책이란 뜻으로 결점이나 실패를 덮어 발각되지 않게 이리 저리 주선하여 감추기만 하는 계책을 일컫는 말을 미봉책(彌縫策), 터진 곳을 임시로 얽어맨다는 말을 이르는 말을 미봉적(彌縫的), 헛되이 세월만 오랫동안 보냄을 일컫는 말을 광일미구(曠日彌久), 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는 뜻으로 나쁜 일을 감추려 하면 더욱 밝게 드러나게 됨을 이르는 말을 욕개미창(欲蓋彌彰) 등에 쓰인다.
▶️ 縫(꿰맬 봉)은 형성문자로 缝(봉)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실 사(糸; 실타래)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逢(봉)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縫(봉)은 ①꿰매다 ②바느질하다 ③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 ④옷 솔기(옷이나 이부자리 따위를 지을 때 두 폭을 맞대고 꿰맨 줄)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수술한 자리나 외상으로 갈라진 자리를 꿰매어 붙임을 봉합(縫合), 미싱 따위로 박아서 만듦을 봉제(縫製), 떨어지거나 해어진 자리를 꿰매고 기움을 봉보(縫補), 바느질을 하는 사람을 봉수(縫手), 누비 옷을 봉의(縫衣), 바느질을 하여 옷을 지음을 봉작(縫作), 군대에서 바느질을 맡아 하던 군사를 봉공(縫工), 옷이나 이부자리 따위를 지을 때 두 폭을 맞대고 꿰맨 줄을 봉목(縫目), 바늘을 봉침(縫針), 빈 구석이나 잘못된 것을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주선해서 꾸며 댐을 미봉(彌縫), 옷감을 마르고 꿰매고 하여 옷을 만드는 일을 재봉(裁縫), 시침 바느질을 가봉(假縫), 바위의 갈라진 틈을 암봉(嵒縫), 밤송이의 벌어진 부분을 율봉(栗縫), 손톱이나 발톱이 손가락이나 발가락 끝에 둥그스럼하게 살과 맞붙어 있는 곳을 갑봉(甲縫), 관절을 달리 이르는 말을 육봉(肉縫), 베짜기와 바느질을 직봉(織縫), 꿰매어 깁는 계책이란 뜻으로 결점이나 실패를 덮어 발각되지 않게 이리 저리 주선하여 감추기만 하는 계책을 일컫는 말을 미봉책(彌縫策),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자리가 없다는 뜻으로 성격이나 언동 등이 매우 자연스러워 조금도 꾸민 데가 없음을 이르는 말을 천의무봉(天衣無縫)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