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틀리기 쉬운 표준어 → 틀린 말
<ㄱ>
가냘프다(갸냘프다), 가랑이(가랭이), 가락국수(우동), 가르마(가리마), 가뿐하다(가쁜하다), 가쁘다(가뿌다), 가시오갈피(가시오가피), 간질이다(간지럽히다), 감색(곤색)[=살구색(살색)], 개구쟁이(개구장이)[=난쟁이/멋쟁이/빚쟁이/수다쟁이/요술쟁이/월급쟁이/중매쟁이], 개비(개피), 객쩍다(객적다)[=겸연쩍다(겸연적다)/멋쩍다(멋적다)], 갠(개인), 거무튀튀하다(거무티티하다), 거추장스럽다(거치장스럽다), 거치적거리다(걸리적거리다), 거친(거칠은)[=나는(날으는), 낯선(낯설은), 내건(내걸은), 녹슨(녹쓴/녹슬은), 전(절은)], 건넌방(건너방), 건네다(건내다), 건더기(건데기), 걸개그림(걸게그림), 걸맞은(걸맞는)[=알맞은(알맞는)], 걸쭉하다(걸죽하다), -게요(-께요), 결딴나다(결단나다/절단나다), 고깔(꼬깔), 고랭지(고냉지)[=급랭(급냉), 고달파지다(고달퍼지다), 고물장수(고물장사), 고수레(고시레), -고자 한다(-고저 한다), 곤두박이다(곤두박히다)
<ㄴ>
낭랑한(낭낭한), 냉랭하다(냉냉하다), [=녹이다(녹히다)/뒤덮이다(뒤덮히다)/붙박이다(붙박히다)], 곰팡이(곰팽이), 곱슬머리(꼽슬머리), 곱빼기(곱배기), 과녁(과녘), 괜스레(괜시리), 괴나리봇짐(개나리봇짐), 괴발개발(개발새발), 구더기(구데기), -구먼(-구만), 구절(귀절)[=문구(문귀), 시구(시귀), 어구(어귀)/예외: 글귀/귀글], 구시렁거리다(궁시렁거리다), 군바리(군발이)[=떠버리(떠벌이)/발바리(발발이)/악바리(악발이)], 귀이개(귀지개), -꾼(-군), 굴착기/삽차/포클레인(굴삭기), 굽이마다(구비마다), 귀띔(귀뜸/귀띰), 그제야(그제서야), 그깟일(그깐일), 금세(금새), 금시라도(금새라도), -기에(-길래), 까다롭다(까탈스럽다), 까마네(까맣네)[=노라네(노랗네)/빨가네(빨갛네)/파라네(파랗네)/하야네(하얗네)], 까발리다(까발기다), 까슬까슬하다(까실까실하다), 깡충깡충(깡총깡총), 꺼리다(꺼려하다), 꺼림칙하다(꺼림직하다)[=께름칙하다(께름직하다)], 꺾는(꺽는), 껍질째(껍질채)[=넝쿨째(넝쿨채), 송두리째(송두리채), 뿌리째(뿌리채), 통째(통채)], 꼭두각시(꼭둑각시), 꼴찌(꼴지), 꼼수(꽁수), 꽁보리밥(깡보리밥), 끄나풀(끄나불), 끼여들다(끼어들다),
나무라다(나무래다), 나부랭이(나부랑이), 나지막하다(나즈막하다) 나침반(나침판), 날개(나래)[=냄새(내음)], 날아오다(날라오다), 날염(나염), 날짜(날자), 내로라하는(내노라하는), 내팽개치다(내팽겨치다), 냄비(남비), 너/서(네/세)[-돈, -말, -발, -푼], 넉/석(너/세)[-냥, -되, -섬, -자], 넌지시(넌즈시), 널브러지다(널부러지다), 널빤지(널판지), 넝쿨째(넝쿨채), 녘(녁)[=동녘, 들녘, 새벽녘, 동틀녘], 노랑이(노랭이), 놈팡이(놈팽이), 뇌졸중(뇌졸증), 눈곱(눈꼽), 눈살(눈쌀), 뉘엿뉘엿(뉘엇뉘엇), 늘그막(늙으막), 늙수그레하다(늙수구레하다), 늦깎이(늦깍이), 늴리리야(닐리리야),
<ㄷ>
닦달(닥달), 단봇짐(밤봇짐), 단출하다(단촐하다), 단칸방(단간방), 담가(담궈)[=잠가(잠궈)], 대거리(대걸이), 더욱이(더우기), 덤덤하다(무덤덤하다), 덤터기(덤태기), 덥석(덥썩), 덩더꿍(덩더쿵)[=짝짜꿍(짝짜쿵)], 도떼기시장(돗때기시장), 도르래(도르레), 돋치다(돋히다), 돌(돐), 돌멩이(돌맹이), 되놈(떼놈), 돼요(되요), 두더지(두더쥐), 두루뭉수리(두리뭉실), 두루뭉술하다(두리뭉실하다), 둘째(두째)[십 단위 이상의 서수사는 ‘두째’ 열두째(열둘째)/스물두째(스물둘째)],], 둑(뚝)[=냇둑(냇뚝)/논둑(논뚝)/철둑길(철뚝길)], 둘러메다(들춰메다), 둥굴레차(둥글레 차), -둥이(-동이)[=귀둥이(귀동이), 막둥이(막동이), 쌍둥이(쌍동이)[[참고: 외동이(외둥이)/쌍동밤(쌍둥밤)], -든가(-던가), 들락날락(들락달락), 들러붙다(들어붙다), 들르셔서(들리셔서), 따놓은(따논), 딱따구리(딱다구리), 딴죽(딴지), 딸꾹질(딱국질), 땅기다(땡기다), 때우다(떼우다), 땜질(뗌질), 땡추(땡초), 떠버리(떠벌이), 떠벌리다(떠벌이다), 떡볶이(떡복기), 똬리(또아리)[=무(무우), 뚝배기(뚝빼기), 뚱딴지(뚱단지), 뜰(뜨락)
<ㅁ>
마사지(맛사지), 마수걸이(마수거리), 마지않다(마지 않다)[=못지않다(못지 않다)], 만날(맨날), 맛깔스럽다(맛깔지다), 망측하다(망칙하다), 매캐하다(매케하다), 먹장어(꼼장어), 메밀묵(모밀묵), 메우다(메꾸다), 모둠(모듬), 목말(무등)[=목물(등물)], 목제가구(목재가구)[=철제가구(철재가구)], 무(무우), 무동(무둥), 무르팍(무릎팍), 묵묵부답(묵묵무답), 뭉그적거리다(뭉기적거리다), 뭉텅(뭉턱), 미루나무(미류나무), 믿어지다(믿기다)[=믿어지지(믿기지)], 밑동(밑둥),
<ㅂ>
바동거리다(바둥거리다), 바라다(바래다), 바스러지다(바스라지다), 반짇고리(반짓고리), 방귀(방구), 방죽(방둑), 배갈(빼갈), 배낭(베낭), 배당률(배당율), (머리가) 벗어지다(벗겨지다), 베개(벼개/베게), 복사뼈(복숭아뼈), 복슬복슬(복실복실), 본뜨다(본따다), 볼썽사나운(볼상사나운), 봉우리(봉오리), 부스스하다(부시시하다)[=으스스하다(으시시하다)], 부엌데기(부엌떼기)[=새침데기(새침떼기), 소박데기(소박떼기), 푼수데기(푼수떼기)], 부조(부주)[=사돈(사둔), 삼촌(삼춘)], 붉으락푸르락(불그락푸르락/푸르락붉으락), 붓두껍(붓뚜껑), 붕장어(아나고), 비름나물(비듬나물), 비비며(부비며), 빈털터리(빈털털이), 빌려 써야(빌어 써야), 뻐드렁니(뻐드렁이), 뼈다귀(뼈다구)[=뿔다귀(뿔다구), 아귀(아구), 아귀찜(아구찜)], 뽀록나다(뽀롱나다), 뿌리째(뿌리채),
<ㅅ>
사그라지다(사그러지다/사그라들다), 사달(사단), 사족(사죽), 살육(살륙), 삼가다(삼가하다), 삼짇날(삼짓날), 상판대기(상판때기), 샅바(삿바), 샛별(새벽별), 생쥐(새앙쥐), 서낭당(성황당), 서랍(설합), 설거지(설겆이), 설렁탕(설농탕), 설렘(설레임), 섬뜩하다(섬짓하다/섬칫하다), 새침데기(새침떼기), 소꿉놀이(소꼽놀이), 손수레(손구루마), 솔개(소리개), 수놈(숫놈), 숙맥(쑥맥), 숫양(수양)[=숫염소(수염소), 숫쥐(수쥐)], 시답잖다(시덥잖다), 시래기(시레기), 시려(시려워), 시큰둥하다(시쿤둥하다), 시쳇말(시샛말), 십상(쉽상), 쌉싸래하다(쌉싸름하다)[참고: 씁쓰레하다(씁쓰래하다)], 쌍꺼풀(쌍거풀), 생쥐(새앙쥐), 샛별(새벽별), 솔개(소리개), 승낙(승락),
<ㅇ>
아궁이(아궁지), 아등바등(아둥바둥), 아무튼(아뭏든), 아비(애비)[=오라비(오래비), 할아비(할애비), 홀아비(홀애비)], 아옹다옹(아웅다웅), 아지랑이(아지랭이), 안성맞춤(안성마춤), 안쓰럽다(안스럽다), 안절부절못하다(안절부절하다), 앙증맞다(앙징맞다), 앞서거니 뒤서거니(앞서거니 뒷서거니), 애걔(애개), 애걔걔(애개개), 애달프다(애닯다), 애당초(애시당초)[=애초(애저녁)], 애먼 사람 잡다(엄한 사람 잡다), 앳된(애띤), 양파(둥근파), 어미(애미)[=홀어미(홀애미)], 억지(어거지), 어느덧(어느듯), 어물쩍(어물적), 어리바리(어리버리), 어수룩하다(어리숙하다), 어질병(어질머리), 얼갈이(얼가리), 얼떨결에(얼떨김에), 얼차려(얼차레), 에구머니(에그머니), 연거푸(연거퍼), 연방(연신), 연월일(년월일), 연년생(연연생), 연륙교(연육교), 응낙(응락), 오뚝이(오똑이/오뚜기), 오랜만(오랫만), 오랫동안(오랜동안), 오면가면(오며가며), 오므리다(오무리다), 오순도순(오손도손), 오이소박이(오이소배기), 오지랖(오지랍), 온갖(온갓), 옹알이(옹아리), 왠지(웬지), 외설적인(외설스러운), 외톨이(외토리), 우레(우뢰), 우르르(우루루), 운전사(운전수), 웃돈[=웃어른(윗어른), 웃옷(윗옷)], 움큼(웅쿰), 웬만큼(왠만큼)[=웬말(왠말), 웬일(왠일)], 윗도리(웃도리)[=윗니(웃니)], 육개장(육계장), 으레(으례/의례), 으스대다(으시대다), 으스름달밤(어스름달밤), 으스스하다(으시시하다), 으슬으슬(으실으실), 이에요(이예요), 이지러지다(이즈러지다), 인마(임마), 일찍이(일찌기),
<ㅈ>
자국(자욱)[=발자국(발자욱), 핏자국(핏자욱)], 자그마치(자그만치), 자장면(짜장면), 장난기(장난끼)[=광기(광끼)], 장구(장고), 장딴지(장단지), 장롱(장농), 장아찌(짱아치), 장조림(장졸임), 재떨이(재털이), 적이(저으기), 젓갈(젖갈)[=어리굴젓(어리굴젖)], 정강이(정갱이), 제치다(제끼다), 족집게(쪽집게), 주근깨(죽은깨), 주르르(주루루), 주꾸미(쭈꾸미), 주책없다(주책이다), 지루하다(지리하다), 지푸라기(지프라기), 진탕만탕(진창만창), 짜깁기(짜집기), 짭짜름하다(짭자름하다), 짭짤하다(짭잘하다), 쩨쩨하다(째째하다), 쪼들리다(쪼달리다), 찌개(찌게), 찌뿌듯하다(찌뿌둥하다), 찌푸리다(찌프리다),
<ㅊ>
차지다(찰지다), 창난젓(창란젓), 채비(차비), 채신머리없다(체신머리없다), 천장(천정), 청와대(청화대), 초승달(초생달), 총각무(알타리무), 총부리(총뿌리), 추스르다(추스리다), 치근거리다(추근거리다), 치다꺼리(치닥거리), 치르다(치루다), 칠흑같다(칠흙같다), 치다꺼리(치닥거리)[참고: 푸닥거리(푸다꺼리)]
<ㅋ>
칸[간(間)], 케케묵다(캐캐묵다), 켕기다(캥기다),
<ㅌ>
태극기(태국기), 태껸(택견), 털북숭이(털복숭이), 털어먹다(떨어먹다), 텁수룩하다(덥수룩하다), 통틀어(통털어), 튀기(트기), 트림(트름, 티격태격(티각태각),
<ㅍ>
판때기(판대기), 팔짱(팔장), 팥소(앙꼬), 퍼드덕(퍼더덕), 평평하다(편편하다), 푸닥거리(푸다꺼리), 프라이(후라이)[=프라이드(후라이드)], 피라미(피래미), (바람을)피우다(피다), 핑계(핑게), 피랍(피납),
<ㅎ>
하마터면(하마트면), 해님(햇님), 헤매다(헤메다), 해코지(해꼬지), 햅쌀(햇쌀), 허드레(허드래), 허섭스레기(허접쓰레기), 허투루(헛투루), 헤집다(해짚다), 헤프다(해프다), 헹가래(행가레), 호루라기(호루루기), 후닥닥(후다닥), 후드득(후두둑), 후텁지근하다(후덥지근하다), 휑뎅그렁하다(휑뎅그레하다), 휘둥그레지다(휘둥그래지다), 흉측하다(흉칙하다), 희로애락(희노애락), 희한하다(희안하다), 희희낙락(희희낙낙),
‘으’
가르마(가리마), 가쁘다(가뿌다), 괜스레(괜시리), 까슬까슬하다(까실까실하다), 널브러지다(널부러지다), 늙수그레하다(늙수구레하다), -든가(-던가), 들러리(둘러리), 들르셔서(들리셔서), 들입다(디립다), 망측하다(망칙하다), 뭉그적거리다(뭉기적거리다), 복슬복슬(복실복실), 본뜨다(본따다), 부스스하다(부시시하다), 사글세(삭월세), 섬뜩하다(섬칫하다), 시큰둥하다(시쿤둥하다), 아등바등(아둥바둥), 앙증맞다(앙징맞다), 애달프다(애닯다), 우르르(우루루), 움큼(움쿰), 으스대다(으시대다), 으스름달밤(어스름달밤), 으스스하다(으시시하다), 으슬으슬(으실으실), 주르르(주루루), 쪼들리다(쪼달리다), 찌뿌듯하다(찌뿌둥하다), 초승달(초생달), 추스르다(추스리다), 치르다(치루다), 통틀어(통털어), 퍼드덕(퍼더덕), 후드득(후두둑), 흉측하다(흉칙하다)
‘우’
가뿐하다(가쁜하다), 거추장스럽다(거치장스럽다), 고수레(고시레), 깡충깡충(깡총깡총), 뇌졸중(뇌졸증), 단출하다(단촐하다), 두루뭉술하다(두리뭉실하다), 둥굴레차(둥글레차), -둥이(-동이), 딴죽(딴지), 땡추(땡초), 모둠(모듬), 미루나무(미류나무), 발돋움(발돋음), 봉우리(봉오리), 북받치다(복바치다), 사뿐사뿐(사쁜사쁜), 소꿉놀이(소꼽놀이), 수군대다(수근대다), 어수룩하다(어리숙하다), 어슴푸레하다(어슴프레하다), 에구머니(에그머니), 연거푸(연거퍼), 오순도순(오손도손), 장구(장고), 장티푸스(장티프스), 지루하다(지리하다), 지푸라기(지프라기), 찌푸리다(찌프리다), 털북숭이(털복숭이), 호두(호도)
‘에’
건네다(건내다), 굼벵이(굼뱅이), 금세(금새), 도떼기시장(도때기시장), 되레(되려), 둘러메다(둘러매다), 떼를 쓰다(때를 쓰다), 벌게지다(벌개지다), 우레(우뢰), 으레(의례), 집게(집개), 쩨쩨하다(째째하다), 케케묵다(캐캐묵다), 켕기다(캥기다), 허드레(허드래), 헤집다(해짚다), 헤프다(해프다), 헹가래(행가레), 휘둥그레지다(휘둥그래지다),
‘애’
내팽개치다(내팽겨치다), 도르래(도르레), 때우다(떼우다), 매캐하다(매케하다), 배낭(베낭), 시래기(시레기), 조무래기(조무라기), 헤매다(헤메다)
‘l'모음 불역행
가랑이(가랭이), 구더기(구데기), 곰팡이(곰팽이), 나무라다(나무래다), 노랑이(노랭이), 놈팡이(놈팽이), 만날(맨날), 바라다(바래다), 아비(애비), 아지랑이(아지랭이), 어미(애미), 정강이(정갱이), 피라미(피래미)
모음조화
-라고요(-라구요), 맞아(맞어), 알아(알어), 하고자 한다(하고저 한다), 하라고?(하라구?), 한다고(한다구), 했구먼(했구만)
된소리
객쩍다(객적다)[=겸연쩍다(겸연적다)/멋쩍다(멋적다)], 걸쭉하다(걸죽하다), 결딴나다(결단나다/절단나다), 곱빼기(곱배기)[=머리빼기(머리배기)/이마빼기(이마배기)], 귀때기(귓대기)[=깔때기(깔대기)/판때기(판대기)], 꺼풀(거풀), 껍질째(껍질채)[=뿌리째(뿌리채)/송두리째(송두리채)/통째(통채)], 꼴찌(꼴지), 날짜(날자), 널따랗다(넓다랗다)[=얄따랗다(얇다랗다)/짤따랗다(짧다랗다)], 널빤지(널판지), 널찍하다(넓직하다), 눈썹(눈섭), 덩더꿍(덩더쿵)[=짝짜꿍(짝짜쿵)], 뒤꼍(뒤안), 들쭉날쭉(들죽날죽), 등쌀(등살), 딱따구리(딱다구리), 떠들썩하다(떠들석하다), 떨떠름하다(떫더름하다), 똑딱똑딱(똑닥똑닥), 뚱딴지(뚱단지), 말쑥하다(말숙하다), 맛깔지다(맛갈지다)[=빛깔(빛갈)/성깔(성갈)]/볼썽사납다(볼성사납다/볼상사납다), 쌉쌀하다(쌉살하다), 쌍꺼풀(쌍거풀), 쓱싹쓱싹(쓱삭쓱삭), 씁쓸하다(씁슬하다), 아리땁다(아리답다/아릿답다), 안쓰럽다(안스럽다), 어물쩍(어물적), 어쭙잖다(어줍잖다), 잠깐(잠간), 장딴지(장단지), 재떨이(재털이), 절뚝거리다(쩔둑거리다), 짭짜름하다(짭자름하다), 짭짤하다(짭잘하다), 치다꺼리(치닥거리), 태껸(택견), 퇴짜(툇자), 팔꿈치(팔굼치), 팔짱(팔장), 혼쭐나다(혼줄나다), 휘뚜루마뚜루(휘투루마투루)
예삿소리
감쪽같다(깜쪽같다), -게요(-께요), 고깔(꼬깔), 곱슬머리(꼽슬머리), 공짜(꽁짜), 납작(납짝), 눈곱(눈꼽), 눈살(눈쌀), 덥석(덥썩), 둑(뚝), 뚝배기(뚝빼기), 몹시(몹씨), 밉살맞다(밉쌀맞다), 배갈(빼갈), 법석(법썩), 상판대기(상판때기), 새침데기(새침떼기)[=소박데기(소박떼기)/푼수데기(푼수떼기)], 숙맥(쑥맥), 시끌벅적(시끌벅쩍), 시래기(씨래기), 싹둑(싹뚝), 쑥스럽다(쑥쓰럽다), 안간힘(안깐힘), 알조(알쪼), 맞장(맞짱)[=얼음장(얼음짱)/으름장(으름짱], 자장면(짜장면), 장아찌(짱아치), 족집게(쪽집게), 주꾸미(쭈꾸미), 집적거리다(찝적거리다), 좋을시고(좋을씨고), 총부리(총뿌리)
두음법칙
경로(경노), 고랭지(고냉지)[=급랭(급냉)/냉랭(냉냉)], 남녀(남여), 낭랑한(낭낭한), 미사여구(미사려구), 선열(선렬), 선율(선률), 늠름하다(늠늠하다), 승낙(승락)[=응낙(응락)], 연년생(연연생), 연월일(년월일), 연륙교(연육교), 장롱(장농), 찰나(찰라), 태릉(태능)[=공릉/광릉/서오릉/영릉/정릉], 피랍(피납), 희로애락(희노애락), 희희낙락(희희낙낙)
사자성어
묵묵무답→묵묵부답(默默不答), 산수갑산→삼수갑산(三水甲山), 생사여탈권→생살여탈권(生殺與奪權), 성대묘사→성대모사(聲帶模寫), 야밤도주→야반도주(夜半逃走), 양수겹장→양수겸장(兩手兼將), 유도심문→유도신문(誘導訊問), 일사분란→일사불란(一絲不亂), 자유분망→자유분방(自由奔放), 절대절명→절체절명(絶體絶命), 포복졸도→포복절도(抱腹絶倒), 풍지박산→풍비박산(風飛雹散), 홀홀단신→혈혈단신(孑孑單身), 환골탈퇴→환골탈태(換骨奪胎)
헛갈리는 / 헷갈리는 복수 ---------------
가랑비/안개비, 가뭄/가물, 가엾다/가엽다, 가위표/가새표, 각시/새색시, 간단없다/끊임없다, 감감무소식/감감소식, 강냉이/옥수수, 개수통/설거지통(=개숫물/설거지물), -거리다/-대다[=가물거리다/가물대다, 건들거리다/건들대다, 깐족거리다/깐족대다, 깐죽거리다/깐죽대다, 출렁거리다/출렁대다, 하늘거리다/하늘대다], 거무스레하다/거무스름하다, 거슴츠레하다/게슴츠레하다, 거짓부리/거짓불, 게을러빠지다/게을러터지다, 겨울내내/겨우내(겨우내내), 계란/달걀, 계집종/여종, 고깃간/푸줏간, 고까/꼬까/때때, 고린내/코린내[=구린내/쿠린내], 고로/그러므로, 고이다/괴다[=꼬이다/꾀다, 쏘이다/쐬다, 조이다/죄다, 쪼이다/쬐다], 골짝/골짜기, 곰살갑다/곰살궂다(곰살맞다), 곱사/꼽추/곱사등이(곱추), 공양드리다/불공드리다, 공히/모두, 관계없다/상관없다, 귀고리/귀걸이, 귓속말/귀엣말, 극성떨다/극성부리다, 기어코/기어이, 기장/길이, 꼬리별/살별, 꼼짝달싹/옴짝달싹(옴쭉달싹), 꺼림칙하다/께름칙하다,
나귀/당나귀, 남세스럽다/남우세스럽다(남사스럽다), 남자답다/사내답다, 남빛/쪽빛, 넝쿨/덩굴(덩쿨), 너부러지다/널브러지다(널부러지다), 네/예[=쇠고기/소고기], 녘/쪽/편[=오른-, 왼-], 노을/놀[=막대기/막대, 망태기/망태, 머무르다/머물다, 서두르다/서둘다, 서투르다/서툴다, 외다/외우다, 이죽거리다/이기죽거리다], 눈대중/눈어림/눈짐작, 느리광이/느림보/늘보, 늑장/늦장,
다달이/매달, -다마다/-고말고, 댓돌/섬돌, 덮개/뚜껑, 데우는/덥이는(뎁히는), 도토리나무/떡갈나무, 되게/되우(된통), 되레/도리어(되려), 돼지감자/뚱딴지, 두견새/소쩍새, 뒷날/훗날, 뒷마당/뒤뜰, 뒷말/뒷소리, 뒷일/훗일, 드문드문/뜨문뜨문, 들락거리다/들랑거리다[=들락날락/들랑날랑(들랑달랑(x)], 들쑥날쑥/들쭉날쭉, 딴전/딴청, 땅덩어리/땅덩이, 떨다/털다[재떨이], 땔감/땔거리, -뜨리다/-트리다[=깨뜨리다/깨트리다, 떨어뜨리다/떨어트리다],
마파람/앞바람, -만큼/-만치, 말그스름하다/맑스그레하다, 말동무/말벗, 매양/빈번이, 멀찌가니/멀찌감치/멀찍이(멀찍히), 멈추다/멎다, 멍게/우렁쉥이, 멧돼지/산돼지, 모내다/모심다, 모래사장/모래톱, 모쪼록/아무쪼록, 몰매/뭇매, 몸뚱어리/몸뚱이(몸뚱아리), 무당개구리/비단개구리, 무심결/무심중, 물렁뼈/여린뼈, 물시중/물심부름, 민둥산/벌거숭이산, 민숭민숭(하다)/맨송맨송(하다),
바른/오른(=-손, -쪽, -편), 바깥양반/사랑양반, 배냇니/젖니, 백곰/흰곰, 버들강아지/버들개지, 버러지/벌레, 범나비/호랑나비, 변덕맞다/변덕스럽다, 별맛/별미, 보조개/볼우물, 보통내기/여간내기/예사내기, 봉숭아/봉선화(봉숭화), 부대/포대(푸대), 부러뜨리다/분지르다, 부스스/푸시시(부시시), 부엌칼/식칼, 뻐꾸기/뻐꾹새(뻐꾹이), 뾰두라지/뾰루지(뾰두락지), 뾰로통/쀼루퉁(뾰루퉁),
사글세/월세(삭월세), 사투리/시골말, 산울림/메아리, 살쾡이/삵, 삽사리/삽살개, 상소리/쌍소리, 색깔/빛깔, 생/생강/새앙, 서럽다/섧다, 서방질/화냥질, 성글다/성기다, 세로쓰기/내리쓰기, 세탁비누/빨랫비누, -(으)세요/-(으)셔요, 소갈딱지/소갈머리, 소나기/소낙비, 소용없다/쓸데없다, 손어림/손짐작, 수소/황소, 수수깡/수숫대, 술안주/안주, 시누이/시누/시뉘(=오누이/오누/오뉘), 시늉말/흉내말, 신/신발, 신기롭다/신기하다(신기스럽다), 신접살림/신접살이, 실로/참으로, 심술꾸러기/심술쟁이[=욕심꾸러기/욕심쟁이], 심보/마음보, 씁쓰레하다/씁쓰름하다(씁쓰래하다),
아유/아이고[=어유/어이구], 아래위/위아래, 아무리해도/암만해도, 아무튼/어떻든/어쨌든/여하튼/하여튼, 안집/안채, 알약/환약, 앞뜰/앞마당, 애꾸눈이/외눈박이, 애끓다/애타다, 애벌/초벌, 애순/어린순, 야/얘, 야밤중/한밤중, 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 어저께/어제, 언덕바지/언덕배기, 엉기다/엉키다, 여물다/영글다, 여쭈다/여쭙다, 여태(껏)/입때(껏)[여직(껏)(x)], 연달다/잇달다, 엿가락/엿가래, 오사리잡놈/오색잡놈, 왕매미/말매미, 왕벌/말벌/호박벌, 왕새우/대하, 왕파리/쉬파리, 용숫바람/회오리바람, 우레/천둥, 움막/움막집, 의심스럽다/의심쩍다, -이어요/-이에요,
자물쇠/자물통, 장가가다/장가들다, 재롱떨다/재롱부리다, 제가끔/제각기, 제비꽃/오랑캐꽃, 좀처럼/좀체(좀체로), 중매/중신, 찌꺼기/찌끼,
차차/차츰, 채소밭/남새밭, 책거리/책씻이, 척/체[=알은척/알은체], 철따구니/철딱서니/철딱지, 추어올리다/추어주다(추켜올리다),
퀴퀴하다/쾨쾨하다(퀘퀘하다),
평화롭다/평화스럽다, 한편/한쪽/한구석(한켠),
해쓱하다/핼쑥하다(핼쓱하다), 호두/호콩(호도), 호래자식/호래아들/후레자식/후레아들(호로자식), 혼자되다/홀로되다, 헛갈리다 / 헷갈리다(헤깔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