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여성
1) 여성의 권리
영국의 캐롤라인 ---1)1839년에 유아 보호법을 통과시켰다.
2) 합벅적 이혼 가능
3) 1870년 — 기혼 여성 재산법 통과
4) 여자도 대학에 갈 수 있고, 전문직도 가진다.
문학 작가를 통해서 여성의 지위를 알아보자.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여성작가가 드물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많았다.
여성 독자 ----- 주로 소설을 읽었다.
시대사조 --팜므파탈적 여성을 다룬 소설이 인기가 있었다.
**팜므파탈(female fatale, 요즘은 vamp(요부)들 더 많이 사용)
--> 1. 거부할 수 없는 매력(백치미)의 뜻
2. 여자를 향한 집착과 욕망, 여자로 인한 타락과 패망을
3. 여자가 죄인이 아니라 남자가 여자를 죄인으로 만들었다.
** 대표적 인물
1. 달기, 서시, 양귀비, 장희빈
2. 살루메, 유디트, 카르멘
3. 꽃뱀
카톨릭 -- 마리아 숭배 사상을 강조(즉 순결주의이다.)
프랑스 --- 잔 다르크 숭배 열기가 높았다.
영국 ---1세기 경 로마에 맞선 여인 부티카를 부각사켰다.
러시아 --- ‘어머니 러시아’를 강조
엥겔스가 ‘남녀평등’을 주장 --- 여성을 노동현장으로 내보냄.
*남성작가는 여성을 성녀 아니면 매춘부로 다루었다. 대체로
여인상은 부정적이었다.
과거는 메두사, 세이렌 등의 마녀상 --->19세기는 팜므스탈적
여인이다. 바탕에서는 역시 부정적으로 다루었다.
유혹하는 여성을 제일 나쁘다고 하였다.(역시 성녀-매춘부가
바탕이다.)
그러나 여성작가 중에는 용감하게 ‘페미니즘’을 건드리기도 했다.
13. 사회 개혁
이때 정부가 한 공통적인 작업은 사회변화로부터 시민을 보호한다고
생각했다. 즉 정부는 보수적 사고를 가졌다.
1) 선거법 개혁 — 1832 선거법 통과
(선거법의 원칙은 혁명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다.)
2) 1848년 2월 혁명
2월 혁명은 노동자(프롤레타리아)가 부르주아지를 치고 받은
혁명이다.
(*1830년 7월 혁명은 부르주아지가 귀족을.(샤를 10세의 영국 망명)
나푤레옹 3세가 쿠데타를 일으켜서 황제가 됨으로 재정시대를 열다.
(반혁명이었고, 반동이다. 파리 콤뮌 참가자들이 해외로 도망)
그러나 혁명의 영향력이 유럽 각국으로 퍼져 나갔고, 영국의 경우는 개혁을 서둘렀다.-- 선거법 개정(과격 혁명을 예방했다.) 그러므로 2월 혁명을 실패한 혁명으로 보지 않는다.
1848년 --- 마르크스 엥겔스가 ‘공산당 선언’
개인의 개혁 운동은 대부분이 성공했다.
에드윈 채드윅 -- 가난한 사람을 위한 사회개혁 운동
샤프트메리 백작, 에술리 쿠프 --- 정신병자를 위한 개혁 운동
**19세기에 일어난 대표적인 4대 개혁운동
노예제도 선거제도, 여선권리, 교육
노예제도
미국에서 문제가 되었다.--->남북 전쟁으로
(1780년에 인구의 20%가 흑인이고, 대부분이 노예였다.)
-->노예제도는 남북전쟁으로 — 뒤에 상세히 공부합시다.
2. 선거제도
선거에 참여하는 권리를 어디까지 할 것인가.
중산층이 중심이 되어 선거권 확대를 이끌었다.
선거법을 개정해도 선거에 참여하는 인구는 제한적이었다.
===> 선거권 확대가 사회개혁 운동이었다
(여성의 선거권은 아주 늦게 주어진다.)
19세기는 변화가 폭풍처럼 몰려온 시기이다.
*변화의 주체는 누구인가?
변화를 이끈 대표적인 인물은 누구인가.
그레이엄 벨 (통신)
루이 다게르 (사진)
찰스 다윈(종의 기원)
토마스 에디슨 — 발명왕
마이클 페러데이 --- 과학(전기장을 발견하다.)
제임스 클러크 맥스웨 --- 과학(전기장)
프로이트 --- 정신의학(심층심리)
빈센트 반 고호 --- 화가
마르크스 — 공산주의
파스퇴르 -- 세균의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