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일이구 우두 불출(點一二口 牛頭不出)
조선 중종, 명종 때, 최고 기생인 황 진이에 관하여 전해오는 이야기(野話)가 하나 있는
(點一二口 牛頭不出)에 대한 이야기가 재미있어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조선 중종 시대 개성에 가무 절색(絶色) 기생이 살았다.
예전의 기생이 명기가 되려면 미색뿐 아니라 글과 가무에 아주 능해야 했는데
이 기생이 그러했다.
기생의 소문은 싸이의 강남 스타일 이나 잰틀 맨 보다 더 급속히 파급되어
팔도의 많은 한량이 모두 이 기생을 찾아가서 연정을 고백했으나,
그때마다 이 기생은 한량의 청을 들어주는 대신 문제를 내고 그 문제를 푸는 조건을 내 세웠다.
그러나 희대의 문장 가라는 사람도 기생이 낸 글을 풀이하지 못하고 허탈하게 돌아갔다.
기생은 자신을 사모하는 한량 이나 선비를 모두 이렇게 거절하고 언젠가 자신의 글을 풀고 사랑을
나눌 님을 기다리며 평생 기생으로 가무와 글을 익혔다.
얼핏 한량이라 하면 건달 쯤으로 알기 쉽지만 예전엔 한량이라 하면 사서삼경은 기본이고,
글 체가 좋고 속심이 넓으며 기백이 뛰어나고 인물 또한 출중하고 무엇보다 풍류를 알아야 했다.
허지만 내노라 하는 한량들 어느 누구도 기생의 앞에서 문장과 지혜를 능가할 기량을 가진 한량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남루한 중년의 선비가 기생집에 들었다. 기생집 하인들은 남루한 그를 쫓아내려고 했다
이 소란을 목격한 기생은 선비가 비록 남루했지만 범상치 않은 기품이란 것을 알고 대청에 모시고
큰 주안상을 봐 올린 후 그 선비에게 새 집필묵을 갈아 이렇게 써 보였다.
점일이구 우두불출(點一二口 牛頭不出)
선비는 기생의 글귀를 보고 빙긋이 웃었다.
기생의 명주 속치마를 펼치게 한 후 단 필로 이렇게 썼다.
"허(許)"
순간 기생은 그 선비에게 일어나 큰 절을 삼 배(三拜) 올렸다.
절 삼 배는 산 자에겐 한번, 죽은 자에겐 두 번, 세 번은 첫 정절을 바치는 남자에게 하는 여인의 법도이자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하례 입니다.
그날 밤 선비와 기생은 만 리 장성을 쌓았다
그리고 보름이 지난 후 선비는 기생에게 문 창호지에 시 한 수를 적어 놓고 홀연히 길을 떠나 버렸다.
"물은 고이면 강이 되지 못하고 바람이 불지 않으면 꽃은 피지 아니한다.
내가 가는 곳이 집이요 하늘은 이불이며, 목마르면 이슬 마시고 배 고프면 초근목피(초草根木皮)가 있는데
이 보다 더 좋은 세상이 어디 있느냐?"
이후 기생은 그를 잊지 못하고 뼈에 사무치도록 그리워하며
비단 가죽 신발을 만들며 세월을 보냈다.
풍운아인 선비의 발을 편안하게 해주고 싶은 애틋한 사랑에, 손마디가 부풀도록 가죽 신발을 손수 다 지은
기생은 마침내 가산을 정리하고 그 선비를 찾아 팔 도(八道)를 헤매 다녔다.
정처 없이 팔 도를 떠돌며 선비의 행방을 물색하던 중
어느 날 선비가 절에 머물고 있다는 풍문(風聞)을 듣고 찾아가 극적으로 재회를 했다.
기생은 선비와 꿈같은 재회의 하룻밤을 보내고 다시는 선비를 놓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꿈 같은 재회의 첫 밤을 보낸 다음날,
해가 중천에 올라도 움직일 기색이 없는 선비에게 기생이 물었다.
"낭군 님. 해가 중천인데 왜 기침하시지 않으시온 지요?"
그러자 선비는 두 눈을 감은 채 이 절간엔 인심이 야박한 중 놈들만 살아 오장이 뒤틀려 그런다고 했다.
기생은 선비의 말을 즉시 알아 들었다.
급히 마을로 단 걸음에 내려가 거나한 술 상을 봐 절간으로 부리나케 돌아왔는데~
하룻밤 정포를 풀었던 선비의 방 앞 툇마루엔 선비 대신 지난밤 고이 바쳤던 비단 가죽 신만 가지런히
놓여 있었다.
수년을 찾아 헤맨 끝에 재회한 선비가 홀연히 떠나버린 것을 알고
기생은 망연자실했지만 이내 선비의 고고한 심증을 깨달았다.
선비의 사랑은 소유해도 선비의 몸은 소유할 수 없다는 것을 깨우친 기생은
선비의 깊고 높은 큰 사랑을 받았다는 것으로 스스로 위로하며 평생을 선비를 그리워하며 살았다.
이 기생이 유명한 평양 기생 황 진이다.
황 진 이는 평양 기생으로 잘못 알고 있는데 사실은 개성 기생이고 개성 여인들은 미색이 뛰어나고
재주가 특출했다고 한다.
황 진이가 그토록 사랑한 남자는 화담 집의 저자 조선 성종 때 사람 '철학자 서 경 덕'이다
황 진 이를 만났을 때 서 경 덕이 푼 황 진 이의 글 뜻은
點一二口는 글자대로 點一二口이고 글자를 모두 합치면 말씀 (言) 자가 되고,
牛頭不出 이란 소 머리에 뿔이 없다는 뜻으로 牛 에서 머리(뿔)를 떼어 버리면 (午) 자가 되는 것이다.
이 두 글자를 합치면 허락할 (許) 자다.
결국 황 진 이는 서 경 덕에게 자신을 바친다는 뜻을 이렇게 사행 시(四行 詩)로 전한 것이다.
이 글자를 해역 할 수 있는 능력이라면 자신을 송두리 바쳐도 아깝지 않다고 생각한 황 진 이의 기발한
사랑 찾기가 절묘합니다.
<옮긴 사람 숙제 하나>
한 동네 처녀 총각이 서로 좋아하여 만나고 싶은데 부모님 눈에 안 띄게 하려니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그리하여 처녀가 꾀를 내어 적(籍) 자 한 자를 총각에게 보냈습니다. 그 글자를 이해하면 밤 데이트를
꿈꾸었습니다. 총각이 그 뜻을 알고 처녀 총각이 만나 그리움을 달랬을까요?
이 글의 뜻을 알고 댓글로 답을 주시는 분께 좋은 선물 하나 드리겠습니다. <쇠뭉치>
* 이 이야기는 2024. 06.14일에 '화담 서경덕 선생 야화'에 실린바 있는데 숙제 하나 올려
답을 들을까 해서 올렸습니다. <끝>
~~~~~~~~~~~~~~~~~~~~~~~~~~~~~~~~~~~~~~~~~~~~~~~~~~
오래 살고 싶으십니까?
오래 사시려면 중국 지도자를 참조하세요.
담배는 피웠으나 술은 마시지 않았던 린바오[林彪]... 63세 사망
술은 마셨으나 담배는 피우지 않았던 저우포하이[周恩来]... 73세 사망
술도 마시고 담배도 피웠던 모택동[毛泽东]... 83세 사망
술도 마시고, 담배도 피우고, 카드도 즐겼던 등소평[邓小平]... 93세 사망
술도 마시고, 담배도 피우고 카드도 즐기고, 첩도 있었던 장학량[张学良]... 103세 사망
술도 안 마시고, 담배도 안 피우고, 카드도 안 하고, 여자친구도 없고,
오직 좋은 일만 한 레이펑[雷锋]... 23세 사망
이제부터 남은 삶은 알아서 사십시오.
이것이 人生입니다.
* 살면서는 돈이 없어 못쓰고, 죽을 땐 다 못쓰고 죽고..
* 콩나물 값 아껴 주식투자 한방에 털어 넣고,
* 자식 키울 땐 희망이 서울대. 키워보니 맘대로 안돼.
*젊어 돈 벌 땐 아끼느라 못 먹고 늙으면 이가 시원 차노아 못 먹고
* 직장 며느리 얻어 자랑했더니 늦팔자 애 보느라 골병이고,
*어쩌다 자식한테 용돈 타면 탈탈 털어 손자 신발 사주기 바쁘고,
* 자식 놈 효도 관광 고맙지만 다리가 후들 후들 뼈다귀만 아프고...
* 손자 안 보면 눈 빠지게 보고 싶고 와서 뺑뺑이 질 정신 사납고,
* 그러다 아파 병상에 눕게 되면 갈 곳 딱 한 군 데 창살 없는 감옥입니다(요양원).
* 어쩌다가 어디서 용돈 몇 푼 타거든 부디 내 몸 위해 쓰고 어쨌든 건강합시다!
사랑과 존경합니다.
♡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옮긴 글>
첫댓글 하하! 숙제 푸신 분이 안 계신 건지 (許 자 풀이 못해서 황진이를 품에 안지 못한 것처럼 ) 모르겠지만 댓글이 없었습니다.
답을 드리지요. 적(籍)자를 보시면 대 죽(竹) 아래 왼 편에는 올 래(來) 자가 있고, 오른 편에는 십(十) 자가 두 개가 있고,
그 아래에 한 일(一)가 있으며, 그 아래에 날 일(日)가 있습니다.
그래서 許 자 풀이하듯 정리하면 '21일 밤에 대나무 밭으로 오라"는 뜻입니다.
동네 총각이 이해를 해서 처녀의 바람대로 어쩌구 저쩌구 했는지는 모르겠고, 몰라서 처녀 속 마음만 타 들어 갔는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저 출산 시대라 처녀 총각이 성공하여 아이 하나 점지 했으면 좋았을 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