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와우 초보자 또는 애드온 초보자 들이 잘 모르는 것 같아서 이렇게 글을 써봅니다. 와우도 하나의 게임이기 때문에 그 게임이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있는 부분이 있고 각 폴더에서 와우에 대한 정보를 읽어서 실행되게 됩니다. 와우에는 여러개의 폴더가 있지만 실제로 유저들이 편집하거나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와우를 기본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C://Program Files//World of Warcraft 에 설치되게 됩니다. 물론 사용자가 지정한 폴더에도 설치 할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World of Warcraft 이 폴더에 들어가게 되면 아래 그림과 같이
Data, Documentation, Interface, Logs, Errors, Screenshots, WDB, WoWTest, WTF 폴더가 있습니다 각각의 폴더에 대해서 말씀드리자면 1. Data : 실제로 와우가 실행될 수 있는 모든 파일들이 저장되어있는 폴더 입니다. 대부분 파일들이 *.MPQ로 압축되어있고 많은 분들이 하시는 텍스쳐 변환이나 기타 애드온 제작 시 와우 기본 lua 파일을 알아보기 위해 가장 많이 찾는 곳이기도 합니다. *.MPQ 파일은 MyWarCraftStudio 라는 Tool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파일안의 내용들을 보거나 꺼내서 쓸수도 있습니다. 이부분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분이 예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넘어가겠습니다. 2. Documentation : 와우에 대한 도움말, 사용자 안내서 등이 첨부된 폴더입니다. 저같이 별로 안읽는 사람한테는 -_- 무의미한 폴더입니다. 3. Interface : 다들 아시겠지만 이 폴더 안에 보시면 AddOns폴더가 있고 이 폴더안에 현재 와우상에 돌아가는 모든 애드온이 들어가게 됩니다. 한마디로 애드온이 안된다 싶으면 Interface//AddOns 로 가셔서 해당 애드온의 toc 파일의 이름과 해당 애드온의 폴더명이 일치하는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실질적으로 와우에서 사용자가 가장 많이 쓰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1.10패치전엔 FrameXML 폴더도 있었으나 1.10 패치로 FrameXML 폴더 이용은 막히게 되어 그 폴더는 현재 무의미한 상태입니다. 4. Errors : 와우 하다가 비정상적으로 화면에 이상한 창을 띄우면서 종료되는 경우 그 정보를 기록하는 곳입니다. 5. Logs : 와우를 하다보면 대화기록이나 전투기록을 저장하고 싶은 경우가 있습니다. 그 때 /대화기록, /전투기록 을 하시면 이 폴더에 대화나 전투정보가 저장 되게 됩니다. (/대화기록, /전투기록 이라고 다시한번 치면 저장중지가 됩니다.) 또한 기타 와우가 실행되면서 하드웨어 부분 Log 파일또한 저장되게 됩니다. 6. Screenshots : 와우 상에서 Print Screen 키를 누르면 스샷을 찍을 수 있는데 그 스샷이 저장되는 폴더입니다. 한번이라도 스샷을 찍어야만 자동으로 생기는 폴더입니다. 일반적으로 *.tga 파일로 저장되는데 이는 *.jpg나 등으로 그래픽뷰어를 이용하여 변환할 수 있습니다. 7. WDB : 와우 게임상의 아이템이나 몹 기타 등등의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는 폴더입니다. 패치 후 와우 게임상의 아이템에 관한 부분이 대폭 수정이 되면 가끔씩 게임진행에 오류를 일으키기도 하니 패치가 되면 Interface, WTF와 더불어 지워주시는게 좋습니다. 8. WoWTest : 테스트서버 관련 파일들입니다. 한번이라도 테스트서버를 접속시 테스트 서버 전용 패치를 받아 테스트서버에 접속한 컴퓨터에 한해서 생기며 형태는 와우 기본 폴더와 유사합니다. 9. WTF : 와우 애드온설정 및 그래픽, 소리 등 환경설정, 매크로 설정, 단축키 설정 등 모든 부분이 저장되는 Interface 폴더와 더불어 사용자가 가장 많이 접근하는 부분입니다. 이 폴더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다음 구조와 같으며
WTF 폴더에 보면 Account 폴더와 Config.wtf 파일이 있습니다. 1) Account 폴더 : 계정 별로 애드온 및 게임설정을 저장하는 폴더입니다. 2) Config.wtf : 게임에서 주로 그래픽, 소리 등의 게임의 하드웨어적인 설정을 저장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그래픽 해상도를 조절하다가 모니터가 지원하지 않는 해상도를 설정해서 화면이 안나오는 경우는 이 파일을 지우시거나 아니면 편집기로 여신 후 SET gxResolution "1024x768" 이 부분을 수정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계정명 아래에 있는 파일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SavedVariables 폴더 : 계정명 아래에 있으므로 해당 계정에 해당하는 모든 캐릭터에 대한 애드온 설정이 이곳에 저장되게 됩니다. 이 폴더안에 Interface//AddOns 폴더에 들어가있는 애드온의 캐릭터에 무관한 공통적인 설정이 저장 되게 된답니다. 2) bindings-cache.wtf : 이 파일또한 계정명 아래에 있으므로 해당 계정에 해당하는 모든 캐릭터에 대한 공통 단축키 설정 파일입니다. 3) macros-cache.txt : 마찬가지로 계정명 아래에 있으므로 해당 계정에 해당하는 모든 캐릭터에 대한 공통 매크로 파일입니다. 4) Cache.md5 : 와우 실행시 생기는 일종의 캐쉬파일 입니다. 5) SavedVariables.lua : 주로 하드웨어적 설정이 아닌 게임설정 즉 행동단축바 켜기나 대화창 설정, 기타 파티 등 소프트웨어적인 설정이 저장 되는 부분입니다. *.bak 파일은 머 아시다시피 자동백업용 파일입니다. 6) macros-local.txt : 아마도 매크로가 일정 수 초과할 경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매크로 백업용 파일 같은데 저도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다음은 캐릭터명 폴더안에 있는 파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계정명 폴더와 거의 흡사합니다.
1) SavedVariables 폴더 : 앞의 SavedVariables 폴더와는 다르게 오직 해당 캐릭터에 관한 부분만 저장하게 됩니다. 폴더안에 있는 애드온 설정파일 또한 해당 캐릭터에게만 적용 이 되게 됩니다. 최근 몇몇 애드온들의 추세가 해당 캐릭터별로 저장하는 방식이라 이곳을 이용하는 애드온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2) bindings-cache.wtf : 이 파일또한 캐릭터명 아래에 있으므로 오직 해당 캐릭터에 대한 단축키 설정 파일 입니다. 3) macros-cache.txt : 마찬가지로 오직 해당 캐릭터에 대한 매크로 저장 파일 입니다 와우 1.90 이후로 와우에서 자체적으로 각 캐릭터 별로 매크로나 단축키를 지원하게 되어 생긴 파일들입니다. 4) Chat-cache.txt : 게임내의 채널과 대화창설정 즉 대화창에 어떠한 이벤트에 대해 표시하는지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일반적으로 채널이 꼬였을 경우 이파일을 삭제 해주시면 채널이 원상 복귀(시스템적으로 꼬일경우는 /나가기 채널명, /입장 채널명을 반복)되며 전투창이 너무 어지러운 경우 전투창에 나오는 메시지에 대한 이벤트 또한 이 파일을 편집함으로써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5) layout-cache.txt : 이 파일은 애드온이나 기타 대화창 프레임의 위치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화면에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애드온의 경우 거의 대부분이 여기에 위치를 저장 합니다. 따라서 프레임이 꼬이는 경우 이 파일을 삭제함으로써 프레임 위치를 원상복귀시킬 수 있습니다. (단 Moveanything으로 인한 이동은 여기에 저장되지 않고 계정명//SavedVariables//Moveanything.lua 파일에 저장됩니다.) 6) camera-settings.txt : 와우가 종료되는 순간의 카메라의 시점을 저장되는 파일입니다. 7) AddOns.txt : 애드온 목록을 나타내어주는 파일이나 interface폴더에서 지운 애드온의 경우 자동삭제 및 갱신이 이루어 지지 않아 -_-; 별로 필요가 없는 파일입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하드디스크를 포맷하셔서 와우를 처음부터 다시 까시거나 Interface 폴더와 WTF 폴더를 새로 갱신해야할 경우 (애드온 모음집 설치 등) 아래에 있는 파일들만 백업 해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WTF//Account//계정명//Bindings-cache.wtf : 공통 단축키 설정 파일 WTF//Account//계정명//macros-cache.txt : 공통 매크로 설정 파일 WTF//Account//계정명//서버명//케릭터명//Bindings-cache.wtf : 캐릭터별 단축키 설정 파일 WTF//Account//계정명//서버명//케릭터명//macros-cache.txt : 캐릭터별 매크로 설정 파일 물론 아이템사전이나 게더러 등과 같은 수집 정보가 있는 애드온을 백업하시려면 WTF//Account//계정명//SavedVariables 폴더로 가서 해당 애드온.lua 파일 또한 백업해두시는게 좋습니다. |
첫댓글 전혀 모르겠심 ㅠㅠ
머리아퍼요
애드온 좀 쓰다보심 이해됌
길어서 패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