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솔로몬의 여러 가지 잠언.
6절. 의인의 머리에는 복이 임하나 악인의 입은 독을 머금었느니라
“의인”히브리어로“차디크”인데 “올바르다, 의롭다, 정당함이 입증된다”을 뜻하는“처다크”에서 유래한 것으로“의로움, 공정한”을 말한다(3절을 참조할 것),
“머리”은 히브리어로“로쉬”인데“흔들다”는 뜻의 사용하지 않는 어원에서 유래한 것으로“머리”을 뜻한다.
“복이 임하나”은 히브리어로“베라카”인데“무릎을 꿇다, 꿇어 엎드리다, 절하다, 하나님께 기원하다”을 뜻하는“바라크”에서 유래한 것으로“앞날에 대한 대언적 복, 번영의 결과로써 인간이 하나님 앞에 비는 복을 뜻하며, 하나님의 은혜로 인간이 받는 복, 선물, 은혜, 예물”등을 말한다.
“악인의 입은 독을 머금었느니라”
흠정역은“폭력은 사악자의 입을 덮느니라.
”공동번역은“나쁜 사람의 입에는 독이 서린다”
우리말 성경은“악인의 입은 폭력으로 가득하다”라고 번역했다.
“악인”은 히브리어로“라샤”인데“시끄럽게 하다, 소란하다, 사악하다, 위반하다, 옳지 않다”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사악한, 옳지 않은, 악한 자, 악인, 행악자, 죄인”을 말한다.
“입”은 히브리어로“페”인데“불다, 흩다”을 뜻하는“파아”에서 유래한 것으로“입, 구멍, 아귀, 입술, 문, 아구리, 말하다, 지껄이다”을 뜻한다.
“독”는 히브리어로“하마쓰”인데“난폭하게 대하다, 해치다, 탄압하다”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학대, 욕, 포악, 잔인함, 압제, 탄압, 흉악”을 뜻한다. “머금었느니라(덮느니라)”는 히브리어는“카싸”인데“덥다, 가리다, 숨기다, 은폐하다”을 뜻한다.
H. A.아이언 사이드는 이 말의 의미를“값을 치르고 가리다”라는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므로 이말은“악한 자의 입은 악으로 덮여 있다”는 뜻이다.
7절. 의인을 기념할 때에는 칭찬하거니와 악인의 이름은 썩게 되느니라
본문은 의인과 악인의 현세적 삶을 묘사한 6절과는 대조적으로 그들의 사후의 일을 언급한다.
“의인”은 히브리어로“차디크”인데 “올바르다, 의롭다, 정당함이 입증된다”을 뜻하는“처다크”에서 유래한 것으로“의로움, 공정한”을 말한다(3절을 참조할 것),
“기념할 때에”는 히브리어로“자카르”인데“기억하다, 회상하다, 상기하다”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기억하다”를 뜻한다.
“칭찬하거니와”은 히브리어로“베라카”인데“하나님께 복을 빌다, 복을 구하다”를 뜻하는“바라크”에서 유래한 것으로“번영의 결과로서 복을 비는 것을 뜻한다.
이말은 의인이 그 생전의 덕 때문에 두고 두고 후세 사람들의 축복 속에 기억 되리란 의미이다(시72:17.단12:3).
“악인의 이름은 썩게 되느니라”
“악인”은 히브리어로“라샤”인데“시끄럽게 하다, 소란하다, 사악하다, 위반하다, 옳지 않다”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사악한, 옳지 않은, 악한 자, 악인, 행악자, 죄인”을 말한다.
“이름”은 히브리어로“셈”인데“지명, 표시”하다를 뜻하는 것으로 사람이나 사물에 붙이는 고유한 칭호(창2:11)이다.
이름은 소유자의 인격, 본질, 속성, 영예 등을 나타낼 떠 사용된다.
“썩게되느니라”는 히브리어로“라카브”인데“썩다, 부패하다”를 뜻한다.
즉 악인의 현세적인 자취가 썩어 없어지듯 후세 사람들의 기억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란 의미와 그에 대한 기억이 추하고 냄새나는 썩은 것을 생각하는 것처럼 혐오스러울 것이란 의미가 동시에 내포되어 있다.
칭찬(명성) ἀρέτη, ῆς, ἡ [아레떼]~~~~~~~~~~~~~~
< 덕(빌4:8, 벧전2:9, 벧후1:3).>
이름(속성) ὄνομα, ατος, τό [오노마]~~~~~~~~~~~~~~~~~
< 이름(마1:21, 눅1:5, 롬1:5), 명칭(행1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