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구나!
panic bird..
제 3요추와 12흉추의 역할
- A. Dalmas는 사람이 직립위치를 유지할때 어느 특정 척추가 기능적으로 의의를 갖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 제 3요추는 잘 발달된 추궁을 갖고 제 3요추 횡돌기에 부착하는 광배근 장요부섬유의 중계소로 작용을 하는 한편 기시부의 최하부가 제3요추극돌기에 있는 극근의 상행섬유에 의해서도 중계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3요추는 천골과 장골에서 기시하는 근군에의해 후방으로 끌리고, 흉부근군의 기시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다.
- 또한 3요추는 요부전만의 정점과 일치하나 추체상면과 하면이 평행으로 수평인 것을 고려하면 안정시 척주기구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명백하다. 제 3요추는 유일하게 진짜 가동성이 있는 요추이고 요추 4,5번은 장요인대등으로 장천골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천골과 척주사이의 동적가교로서보다는 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제 12흉추는 요추의 만곡과 흉추만곡의 사이의 중간점을 이룬다. 사실 12흉추는 회전장치로서 작용을 하고 있고 그의 추체는 척추궁보다 더 크며 근육의 부착없이 길게 주행하고 있는 척주근군이 후방을 둘러싸고 있다. Dalmas는 제 12흉추를 "척주의 진짜회전장치"로 보고 있다.
체간의 등근육
Splenius Muscle Group
Erector Spinae Muscle Group

(Transversospinalis Muscle Group)

The Semispinalis and Multifides
Closer Look at Transversospinalis: The Rotatores
- 배부근육은 기본적으로 요추의 신전에 작용. 천골이 고정되면 요추와 흉추를 각각 요천관절과 흉요관절에서 강력히 신전된다. 그러면서 요추의 전만이 증가한다. 배부근육은 호흡에도 관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