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하다”, “경기하다”, “참가하다”, “겨루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인 compete 의 어원은 우리말로 “함 붙다”로 보입니다
여기서 c~는 사라져야 하는 잔재인데요
말은 h~로 변했는데 고대발음이 남아 있는 경우로 보입니다
그래도 현재의 말과 겨우 맞춰보면 “같이 붙다”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ㄱ발음이 사라진 경우는 전 세계에서 몇 십만 단어정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영어에도 몇 천 단어는 될 것이고
일본어에서는 ㅇ(ㅎ)이 거의 전부 ㄱ발음이 납니다
우리말에도 아마도 수 백 단어는 될 것입니다
궁금하시면 제 사이트의 “한 방에 알아보는 영어는 우리말”을 참조해 보세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세계의 언어를 가지고 몇 가지 문장을 만들어 봤습니다
“같이 붙자”, “함 붙자”, “같이 겨루라지”, “속터지다”, “같이 겨뤄”,
“겨뤄삘라”, “사이가 나쁘댔어”, “버릇이 없지”, “상대를 깨삐”, “버릇이 없는 거”,
“둘이 싸우나 맞겠다”, “상대를 때리삘까”, “겨뤘습니다”등으로 나옵니다
2393. compete (컴피트, 경쟁하다, 경기하다, 참가하다, 겨루다):
1. 함 붙다, 한 번 붙다가 어원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2. 같이 붙다
* 남아프리카: kompeteer (같이 붙다 ⇌ 함 붙어)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카탈루냐: competir (같이 붙다 ⇌ 함 붙다)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중국: 競爭
* 크로아티아: konkurirati (같이 겨루라지 ⇌ 함 겨루라지)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체코: soutezit (속터지다) (* c, g, k 탈락 현상)
* 덴마크, 노르웨이: konkurrer (같이 겨뤄 ⇌ 함 겨뤄)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네덜란드: concurreren (같이 겨루라는 ⇌ 함 겨루라는)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핀란드: kilpailla (겨뤄삘라)
* 프랑스: rivaliser ((사이가) 나쁘댔어)
* 독일: konkurrieren (같이 겨룰라는 ⇌ 함 겨룰라는)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헝가리: versenyez (버릇이 없지)
* 아이슬란드: keppa ((상대를) 깨삐 ⇒ 깨버려)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bersaing (버릇이 없는 거)
* 아일랜드: dul san iomaiocht (둘이 싸우나 맞겠다)
* 이탈리아: competere (같이 붙어 ⇌ 함 붙어)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한국: 경쟁하다
* 일본: 競う(きそう) ((상대를) 깼어)
* 폴란드: konkurowac (같이 겨뤄삐까 ⇌ 함 겨룰까)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포르투갈, 스페인: competir (같이 붙어 ⇌ 함 붙어)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 스웨덴: tavla((상대를) 때리삘라)
* 터키: yarismak (겨뤘습니까) (* c, g, k 탈락 현상)
* 베트남: compete (같이 붙다 ⇌ 함 붙다)
(* ㄱ ⇌ ㅎ 호환 관계 적용 시)

compete = hompete = 경쟁하다 = 함(한번) 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