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을 위한 알기 쉬운 기독교 (38) - 자살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은? (2)
2012. 5. 31. 18:03
■ 기독교에서는 자살을 어떻게 해석하나요? 자살하면 무조건 지옥에 갑니까?
■ 요즈음 연예인들의 자살이 많아졌는데, 그 중에는 기독교인들도 있는 것으로 압니다. 기독교인이 자살하면 구원을 받을 수 있는지요?
■ 자살충동을 스스로 이겨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청소년 자살의 동기
지난 몇 년 동안 우리 사회에서는 중·고등학생과 대학생 또래 청소년의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이러한 청소년의 자살은 성인들에 비해 그 동기, 유형, 성격에서 몇 가지 특징을 지닙니다.
(1) 도피성 자살
청소년들의 자살동기에서 가장 많은 원인이 도피성 자살인데, 도피성 자살이란 고통으로부터의 회피 및 도피하려는 욕구에 그 원인이 있습니다. 아무리 공부해도 성적이 올라가지 않는 경우의 스트레스 상황이나 심각한 갈등상황은 이들의 도피성 자살을 부추길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런 상황에 처한 청소년은 대부분이 수동적이고 내성적이며 타인과의 의사소통이 단절되는 양상을 보입니다. 심리학자들은 도피성 자살의 경우에도 그 밑바탕에는 일종의 죽고자 하는 심리가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칼 메닝거(Karl Menninger)는 '자살을 자신을 향한 살인(homicide)'이라고 규정한 바 있는데, 여기에는 죽이고자 하는 소원, 죽임을 당하고자 하는 소원, 그리고 죽고자 하는 소원이 관련된다는 것입니다.
(2) 보복성 자살
보복성 자살은 타인에게 보복하려는 목적으로 시도합니다. 이런 보복성 자살은 스스로를 파괴함으로써 실제로는 자신을 힘들게 하는 타인을 벌주려는 가해적인 성격을 담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보복성 자살은 반전살인(反轉殺人)으로 설명되기도 합니다. 그들은 죽음을 통해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하고, 타인에게 심각한 상처를 입힐 수 있는 최후의 방편으로 자살을 선택합니다. 따라서 자극적인 언어는 청소년을 위험한 곳으로 몰아갈 위험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누구는 1등 하는데, 너는 왜 그 모양이냐?'는 부모의 꾸중이나 '돈을 네가 훔쳤지?' 하는 추궁 등의 경우, 이에 반발하거나 결백을 주장하기 위하여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내가 죽음으로써 너희도 고통을 받아라'라는 보복적 심리가 작용하기 쉬운 것입니다. 보복성 자살이 가족 내 갈등이 많은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3) 자기 처벌성 자살
자기 처벌성 자살은 스스로를 처벌하고자 하는 심리에 기초하며, 양심의 가책을 유난히 잘 받는 청소년들이 선택하기 쉬운 자살입니다. 청소년은 부모의 기대심리가 높으면 그에 따른 대응적 방법으로 일정한 행동을 취하려고 시도합니다. 그러나 현실이 자신의 기대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독립성이 부족하거나 우울증 등의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청소년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절망감 또는 주변 사람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죄책감을 겪게 됩니다. 그리고 '못난 나를 용서해 달라'는 유서를 남기고 자살을 시도함으로써 자신을 응징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입시 경쟁이 심한 우리의 상황에서 청소년들이 자기 처벌성 자살을 시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유형의 자살 외에도 욕구좌절성 자살이나 새로운 미래와의 만남을 위한 자살도 있습니다. 자신이 갖고 싶고 하고 싶은 욕구가 충족되지 못할 때 자살을 시도하는 욕구좌절성 자살은 대개 성질이 급하고 인내력이 없으며 자기중심적인 청소년, 그리고 욕구가 좌절될 때 심한 분노와 발작을 보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품행장애 청소년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반면에 새로운 미래와의 만남을 위한 자살은 현실보다는 이상향을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종종 나타나는 증상으로서 현실생활이 어렵고 불행하고 힘들다고 판단될 때 그 출구를 자살을 통해 찾으려 합니다. 죽은 다음 저 세상에서 만나고 후세에 다시 태어나고 싶은 환상적 욕구 등이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청소년 자살의 특징
첫째로, 청소년의 자살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부모로부터 심한 꾸중이나 심리적 좌절, 외모에 대한 고민, 이성 친구와의 헤어짐, 성적저하, 왕따, 입시실패 등을 겪을 때, 또는 우울증이나 자기애적 성격장애, 품행장애, 충동성 등의 정신건강 문제를 지닌 청소년들의 경우 언제 어떻게 자살을 시도할 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둘째로, 청소년의 자살은 충동적입니다.
불안정하거나 정서적 지지가 결여된 가정환경에 처해 있는 청소년의 경우 자살 충동이 일어나기 쉽습니다. 성인의 경우에는 견디기 힘든 우울감, 절망감, 무기력감 등 자신의 위기상황에 대한 신중한 평가가 자살을 결정짓는 큰 요소가 됩니다. 그러나 청소년의 경우는 충동성이 매우 큰 결정 인자가 됩니다. 신중하게 자살을 고민할 겨를도 없이 '나가 죽어 버려라'는 부모의 한 마디에 충동적으로 아파트에서 뛰어내리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때로는 자존심이 크게 상하는 사건이 있을 때 자기 분노에 못이겨 충동적으로 자살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셋째로, 청소년의 자살은 모방적인 특징이 있습니다.
청소년은 모방하기 좋아하는 세대여서 같은 처지에 있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그리고 가정 학교 또래집단으로부터 소외된 청소년들에게서 모방자살이 많이 발생합니다. 이런 모방적 성격은 사회적으로 유명한 연예인들의 자살이 보도될 때 청소년들의 자살이 증가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자신들이 흠모하는 유명인이 자살하면 그들의 자살을 미화하고 모방하고자 하는 것이 청소년 자살의 특징이며, 이 경우 대개 자살의 방법까지 모방한다는 특징을 지닙니다.
(계속)
강영선 한신대 교수
기사원문 : https://v.daum.net/v/20120531180307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