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구지업(箕裘之業)
키와 갖옷을 만드는 직업이라는 뜻으로, 선대로부터 내려오는 사업을 이르는 말이다. 선대의 업(業)을 완전히 이어받음을 일컫는 말이다.
箕 : 키 기(竹/8)
裘 : 갖옷 구(衣/7)
之 : 갈 지(丿/3)
業 : 업 업(木/9)
출전 : 예기(禮記) 학기(學記)
활을 만드는 이의 아들은 그 일과 비슷한 키를 만들게 되고, 대장장이의 아들은 또 저절로 짐승 가죽을 모아서 갖옷을 잘 짓는다고 해서 생긴 말이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기간 종사하는 일이 직업이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는 말이 오랫동안 전해 왔다.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에 맞고, 또 사회에 기여를 할 수 있으면 귀하고 천함이 없이 보람을 찾았기 때문이다.
얼마 전 덴마크 최고의 레스토랑에서 14년간 접시를 닦았던 사람을 공동 소유자로 영입했다는 보도가 있었는데 좋은 보기다.
일본에는 몇 대째 내려오는 음식점이 수두룩하다고 하고, 세계 명품을 제작하는 서구의 집안도 장인정신의 자부심으로 무장돼 있다. 할아버지 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가업을 더욱 발전시키는 것은 전통을 잇는다는 의미에서도 바람직하다.
성어에 나오는 가업을 계승한다고 해서 떵떵거리는 재벌이 아니다. 이들의 선대는 요즘엔 보기에도 힘든 직업을 가졌다. 곡식 등에 섞여있는 쭉정이나 티끌을 골라내는 키(箕)를 만드는 직업과 짐승의 털가죽을 안에 댄 갖옷(裘)을 만드는 기술자다.
중국 유가의 오경(五經) 중에 포함되는 예기(禮記)에 실려 있다. 예기는 예의 이론과 실제를 논하는 내용으로 곡례(曲禮), 단궁(檀弓) 등 49편이 전하고, 대학(大學)과 중용(中庸)도 처음 이곳에 포함됐다. 학기(學記) 편에 나오는 내용을 보자.
良冶之子必學爲裘
良弓之子必學爲箕
솜씨 좋은 대장장이의 아들은 가죽옷 만드는 일을 배우고, 활을 만드는 사람의 아들은 키 만드는 일을 배운다.
실제 대장장이의 아들이나 활을 만드는 사람의 아들이 바로 그 아버지의 일을 배운 것은 아니다. 대장장이는 쇠를 녹여 그릇을 만드니 그것으로 그 아들은 짐승의 털가죽을 깁는 것을 배우고, 뿔을 휘어 활을 만드는 아버지에게 아들은 버들가지를 휘어 키 만드는 일을 배운다.
비슷한 일이어서 어려서부터 보고 배워 따라 하기가 쉽다는 말이다. 처음에는 배우기 쉬운 일부터 하다 보면 나중에는 훌륭한 대장장이나 활장이가 되어 가업을 잇게 된다는 뜻이다.
우리나라에선 사농공상(士農工商)의 구별이 뚜렷했고 그것이 이어져 사(師士事)자가 붙는 직업을 갖기 위해 경쟁해 왔다. 오늘날에는 보람을 찾을 수 있는 일은커녕 당장 취업하려 해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허둥댄다.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취업 걱정이 줄겠지만 조상대대로 이어오던 가업을 계승하려는 젊은이가 늘어난다면 의외로 쉽게 해결될 수도 있을 터이다.
기구지업(箕裘之業)
키와 갖옷을 만드는 직업이라는 뜻으로, 집안 대대로 내려오는 가업을 말한다. 이 성어는 예기(禮記) 학기(學記)편에 나오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지 묻는 것을 기록하여 외우는 배움 곧 질문에 답하여 받아 적게 하는 주입식의 가르침만으로는 남의 스승이 되기에 아직 부족한 것이다.
記問之學, 不足以為人師.
더 필요한 것은 더 이상 질문할 수 없는 말까지도 반드시 들어야 하고, 그런 질문 뒤에 대답하는 것까지가 더 필요한 것이다.
必也聽語乎, 力不能問, 然後語之.
그렇게 주고받고도 알지 못하면 그때는 비록 그만두고 쉬는 방법도 옳은 방법인 것이다.
語之而不知, 雖舍之可也.
곧 배움의 자세는 한 점 의혹이 없을 때까지 묻는 것이고, 가르침의 자세는 그 의문을 끝까지 듣고 답해야 하는 것이다.
밥이 다 되려면 뜸이 필요하듯, 술은 익어야 하듯, 가다 힘들면 잠시 쉬어 가듯, 잠시 쉬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되는 것이다.
솜씨 좋은 대장장이의 아들은 (아버지가 쇠를 녹여 그릇을 만드는 것을 보고 짐승의 가죽을 기워) 가죽옷 만드는 일을 배우고, 활을 잘 만드는 사람의 아들은 (아버지가 뿔을 휘어 활을 만드는 것을 보고 버들가지를 휘어) 키 만드는 일을 배운다.
良冶之子, 必學為裘.
良弓之子, 必學為箕.
말을 부리려는 사람은 처음에 먼저 그와 반대로 하여 말 앞에 수레를 놓는 것이다.
始駕者反之, 車在馬前.
군자는 이 세 가지의 이치를 살필 수 있어야 배움에 뜻을 두게 할 수 있는 것이다.
君子察於此三者, 可以有志於學矣.
대장장이 기술의 근본은 주물(鑄物)이다. 곧 거푸집을 만드는 것으로 거푸집은 가죽옷을 만드는 이치와 같다는 뜻이다. 그 근본 되는 것을 먼저 배우게 하고 배우는 것임을 나타냈다.
활 만드는 기술의 핵심은 탄력성이다. 곧 활의 탄력성에 따라 활의 성능이 좌우되는 것으로 대나무의 미세한 탄력성을 알 수 있는 키를 만드는 기술을 통해 나타나는 이치와 같다는 뜻이다.
더불어 화살의 기능까지도 대나무의 탄력성과 연관되므로 그 근본된 대나무의 성질을 알 수 있는 키 만드는 것을 먼저 배우게 하고 배우는 것이다.
말을 부리려는 의도는 수레를 끌게 함이다. 수레 원리의 근본은 길이 아닌 곳은 갈 수가 없는 것이다. 바른 길로 이끄는 원리가 그 첫째이다.
하여 수레를 앞으로 밀면 방향이 흔들리고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수레를 끄는 방법보다도 훨씬 어려운 것이다. 이처럼 말에게 먼저 그 어려움을 통해 원리를 가르쳐 주고 더불어 쉬운 방법을 가르쳐 줌으로써 말을 보다 효율적으로 부릴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원리 곧 근본 되는 점을 잘 살피어 적재적소로 활용해야 능히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 箕(키 기, 대로 기울 체)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대 죽(竹; 대나무)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키'의 뜻을 가진 其(기)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箕(기, 체)는 (1)기성(箕星)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키(곡식을 까부르는 데 쓰는 기구)②삼태기(흙을 담아 나르는 그릇) ③쓰레받기 ④별의 이름 ⑤바람귀신 ⑥다리 뻗고 앉다 ⓐ대로 깁다(떨어지거나 해어진 곳을 꿰매다)(체)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평양의 옛 이름을 기성(箕城), 늙은이를 일컫는 말을 기수(箕叟), 두 다리를 뻗고 앉음을 기거(箕踞), 두 다리를 앞으로 뻗고 펄썩 앉음을 기좌(箕坐), 키로 물건을 가려 냄을 기렴(箕斂), 대오리나 버들로 결어서 키 모양으로 만든 갓을 기관(箕冠), 키와 삼태기를 일컫는 말을 기분(箕畚), 기자箕子의 나라라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가리켜 이르는 말을 기방(箕邦), 키의 앞 쪽 넓은 부분을 기설(箕舌), 키의 뒤 쪽 오목한 부분을 기종(箕踵), 갈대로 만든 키를 노기(蘆箕), 굳은 절개나 신념에 충실함의 비유를 일컫는 말을 기산지절(箕山之節), 기산의 지조란 뜻으로 은퇴하여 자기 지조를 굳게 지킨다는 말을 기산지지(箕山之志), 키와 갑옷이라는 뜻으로 선대로부터 내려오는 사업을 이르는 말을 기구지업(箕裘之業), 남쪽의 기성은 키로 쌀을 까불지 못하고 북두칠성은 쌀을 되지 못한다는 뜻으로 유명무실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남기북두(南箕北斗), 조금 벌어진 것을 확대시켜 키를 만든다는 뜻으로 남의 조그마한 허물을 확대시켜 헐뜯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차치성기(哆侈成箕) 등에 쓰인다.
▶️ 裘(갖옷 구)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옷의(衣=衤; 옷)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求(구)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裘(구)는 성(姓)의 하나로 ①갖옷(짐승의 털가죽으로 안을 댄 옷) ②갖옷을 입다, 따위의 뜻이다. 용례로는 갖옷과 베옷(겨울옷과 여름옷)뜻이 바뀌어 1년이라는 구갈(裘葛), 갖옷과 털옷 곧 검소한 옷을 구갈(裘褐), 의복과 거마 또는 부자를 달리 이르는 구마(裘馬), 가벼운 가죽옷을 경구(輕裘), 양가죽으로 만든 옷을 양구(羊裘), 의복과 갖옷을 의구(衣裘), 가죽으로 지은 옷을 피구(皮裘), 사슴의 가죽으로 만든 옷을 녹구(鹿裘), 담비의 모피(毛皮)로 만든 갖옷을 초구(貂裘), 여우의 겨드랑이 밑에 있는 흰 털로 만든 갖옷을 호구(狐裘), 여름의 서늘한 베옷과 겨울의 따뜻한 갖옷이란 뜻으로 곧 격에 맞음을 이르는 말을 하갈동구(夏葛冬裘), 가벼운 가죽옷과 살찐 말이라는 뜻으로 부귀영화를 형용해 이르는 말을 경구비마(輕裘肥馬), 자기 갑옷을 벗어 남에게 입힌다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를 베풂을 이르는 말을 해구의지(解裘衣之), 여우의 겨드랑이 밑에 난 흰털을 모아 갖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힘을 모아 한 가지 일을 성취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집액성구(集腋成裘), 한 벌의 갖옷과 한 벌의 베옷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함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일구일갈(一裘一葛), 혹한이 닥쳐오자 비로소 갖옷 즉 가죽옷을 구한다는 뜻으로 이미 지나간 일에 쓸데없는 말과 행동을 보태는 경우를 이르는 말을 대한색구(大寒索裘) 등에 쓰인다.
▶️ 之(갈 지/어조사 지)는 ❶상형문자로 㞢(지)는 고자(古字)이다. 대지에서 풀이 자라는 모양으로 전(轉)하여 간다는 뜻이 되었다. 음(音)을 빌어 대명사(代名詞)나 어조사(語助辭)로 차용(借用)한다. ❷상형문자로 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이다. 之자의 갑골문을 보면 발을 뜻하는 止(발 지)자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발아래에는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발이 움직이는 지점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之자의 본래 의미는 ‘가다’나 ‘도착하다’였다. 다만 지금은 止자나 去(갈 거)자가 ‘가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之자는 주로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래서 之(지)는 ①가다 ②영향을 끼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⑤어조사 ⑥가, 이(是) ⑦~의 ⑧에, ~에 있어서 ⑨와, ~과 ⑩이에, 이곳에⑪을 ⑫그리고 ⑬만일, 만약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이 아이라는 지자(之子), 之자 모양으로 꼬불꼬불한 치받잇 길을 지자로(之字路), 다음이나 버금을 지차(之次), 풍수 지리에서 내룡이 입수하려는 데서 꾸불거리는 현상을 지현(之玄), 딸이 시집가는 일을 지자우귀(之子于歸),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 즉, 어떤 일에 주견이 없이 갈팡질팡 함을 이르는 지남지북(之南之北) 등에 쓰인다.
▶️ 業(업 업)은 ❶상형문자로 㸣(업)은 통자(通字), 业(업)은 간자(簡字)이다. 글자 전체가 옛날 악기인 종이나 북을 거는 도구의 모양을 본뜬 것으로, 특히 그 윗부분의 가로 판자를 일컬으며 나중에 큰 널빤지에서, 기록하는 널빤지로, 그리고 문서에서 일의 뜻으로 되었다. ❷상형문자로 業자는 '일'이나 '직업'을 뜻하는 글자이다. 業자는 木(나무 목)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나무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業자의 금문을 보면 톱니 모양의 걸개와 받침대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종(鍾)이나 석경(石磬)을 걸어 사용하던 악기의 일종을 그린 것이다. 그러니까 業자는 악기를 들고 다니며 생업을 이어가던 모습에서 '직업'이라는 뜻을 갖게 된 글자인 것이다. 業자에 아직도 '위태롭다'나 '불안하다'라는 뜻이 남아있는 것을 보면 당시 악사들의 삶이 순탄치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業(업)은 (1)직업(職業) (2)몸(身)과 입(口)과 뜻(意)으로 짓는 선악(善惡)의 소행(所行). 이것이 미래(未來)에 선악(善惡)의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고 함 (3)전세(前世)에 지은 선악(善惡)의 소행(所行)으로 말미암아 현세(現世)에서 받는 응보(應報). 갈마(羯磨) 등의 뜻으로 ①업(業: 직업. 부여된 과업) ②일, 직업(職業) ③학업(學業) ④기업(企業) ⑤산업(産業) ⑥공, 공적(功績) ⑦기초(基礎) ⑧선악의 소행(所行) ⑨순서(順序), 차례(次例) ⑩판자(板子), 장식판(裝飾板) ⑪두려워하는 모양 ⑫이미, 벌써 ⑬시작하다, 창시하다 ⑭잇다, 계승하다 ⑮일하다, 종사하다 ⑯업으로 삼다, 일삼다 ⑰위태롭다, 불안하다 ⑱높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과보를 이끄는 업인의 큰 힘을 업력(業力), 직장에서 의무나 직분에 따라 맡아서 하는 일을 업무(業務), 불교에서 선악의 행업으로 말미암은 과보를 업보(業報), 사업이나 직업에 딸린 일을 업사(業事), 악업의 앙갚음으로서 받는 재난을 업액(業厄), 전생에서 지은 죄로 이승에서 받는 괴로움을 업원(業冤), 집안에서 재수를 맡아 도와준다는 신을 업위(業位), 선악의 과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행위를 업인(業因), 영업에 관한 모든 책임과 권한을 가지는 주인을 업주(業主), 같은 산업이나 상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사회를 업계(業界), 사업을 벌이고 있는 곳을 업소(業所), 직업이나 영업의 종류를 업종(業種),사업의 형태 또는 실태를 업태(業態), 어떤 사업이나 연구 따위에서 이룩해 놓은 성과를 업적(業績), 사업이나 기업의 주체를 업체(業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제 사업을 기업(企業), 노동자가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단결하여 노동을 하지 않음을 파업(罷業), 일정한 계획과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는 지속적인 비영리적 활동을 사업(事業), 취직으로 직업을 얻음을 취업(就業), 생산을 하는 사업을 산업(産業), 학업이나 기술을 가르쳐 줌을 수업(授業), 생계를 세워가기 위해 일상적으로 종사하는 일을 직업(職業), 일터에서 연장이나 기계를 가지고 일을 함 또는 그러한 일을 작업(作業), 불교에서 제가 저지른 일의 과보를 제스스로 받음을 이르는 말을 자업자득(自業自得), 편안히 살면서 생업을 즐김을 일컫는 말을 안거낙업(安居樂業), 키와 갑옷이라는 뜻으로 선대로부터 내려오는 사업을 이르는 말을 기구지업(箕裘之業), 배우는 일에 정성을 다해 몰두함을 일컫는 말을 학업정진(學業精進), 나라를 세우는 일과 나라를 지켜 나가는 일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기는 어렵다는 뜻을 일컫는 말을 창업수성(創業守成), 같은 업은 이해 관계로 인하여 서로 원수가 되기 쉬움을 일컫는 말을 동업상구(同業相仇), 높은 덕과 큰 사업 또는 덕을 높이고 업을 넓힘을 일컫는 말을 숭덕광업(崇德廣業), 어떤 일을 시작하기는 쉬우나 이룬 것을 지키기는 어렵다는 뜻을 일컫는 말을 창업수문(創業守文), 자손에게 뒤를 이어 이루게 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수성지업(垂成之業)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