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fe and Sayings of the Holy Abba Gelasios
거룩한 아바 겔라시오스의 삶과 말
Venerable Gelasios (Feast Day - December 31) 젤라시오스 존자 (축일 - 12월 31일) |
Abba Gelasios trained as an ascetic in Egypt. He became abbot of Nilopolis in the mid-fifth century. He was a scholar and a great abbot, involved both in the ecclesiastical politics of his time and in the law-suits of his monastery. He was a firm supporter of Juvenal, and held to the formularies of Chalcedon. The second story here introduces the famous Saint Symeon the Stylite, on his pillar outside Antioch. Symeon is shown in the important role of arbitrator, to whom secular disputes as well as religious matters were brought in his role as prophet and holy man. Venerable Gelasios reposed in peace.
아바 겔라시오스는 이집트에서 금욕주의자로 훈련을 받았다. 그는 5 세기 중반에 닐로 폴리스의 대 수도 원장이되었다. 그는 학자이자 위대한 대 수도원장이었으며, 당시의 교회 정치와 수도원의 소송에 모두 관여했다. 그는 Juvenal의 확고한 지지자였으며 Chalcedon의 공식을 고수했다. 두 번째 이야기는 안디옥 외곽의 기둥에 있는 유명한 성 시메온 스타일라이트를 소개한다. 시므온은 예언자와 성자로서의 역할에서 종교 문제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논쟁도 중재자의 중요한 역할로 나타안다. 존자 젤라시오스는 평화롭게 안치되었다.
1. It was said of Abba Gelasios that he had a leather Bible worth eighteen pieces of silver [about $10,000]. In fact it contained the whole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He had put it in the church so that any of the brethren who wished, could read it. A brother who was a stranger came to see the old man and, seeing the Bible, wished to have it, and stole it as he was leaving. The old man did not run after him to take it from him, although he knew what he was doing.
1. 아바 겔라시오스(Abba Gelasios)는 은 열여덟 닢[약 10,000달러]의 가치가 있는 가죽 성경을 가지고 있었다. 사실 그 책에는 구약과 신약 전체가 담겨 있었다. 그는 원하는 형제들 중 누구든지 읽을 수 있도록 그 책을 교회에 두었다. 낯선 사람인 한 형제가 그 노인을 보러 왔는데, 성서를 보고 갖고 싶어서 그가 떠나면서 그것을 훔쳐 갔다. 노인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었지만 그것을 빼앗으려고 쫓아가지 않았다.
So the brother went to the city and tried to sell it, and finding a purchaser, he asked thirteen pieces of silver for it. The purchaser said to him, 'Lend it to me, first, so that I may examine it, then I will give you a price.' So he gave it to him. Taking it, the purchaser brought it to Abba Gelasios for him to examine it and told him the price which the seller had set. The old man said to him, 'Buy it, for it is beautiful, and worth the price you tell me.' This man when he returned, said something quite different to the seller, and not what the old man had said to him. 'I have shown it to Abba Gelasios,' he said, 'and he replied that it was not worth the price you said.' Hearing this, he asked, 'Didn't the old man say anything else?' 'No,' he replied. Then the seller said, 'I do not want to sell it any more.'
그래서 그 형제는 그 도시로 가서 그것을 팔려고 하였고, 살 사람을 찾아서 은 열세 닢을 달라고 하였다. 그 산 사람은 그에게 '먼저 그것을 내게 빌려 주어 내가 조사해 보게 한 다음, 당신에게 값을 주겠소' 하고 말하였다. 그래서 그는 그것을 그에게 주었다. 그것을 받은 구매자는 그것을 아바 겔라시오스에게 가져와서 살펴보게 하고 판매자가 정한 가격을 말해 주었다. 노인은 그에게 '그것을 사십시오, 왜냐하면 그것은 아름답고, 당신이 나에게 말한 가격의 가치가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사람은 돌아왔을 때, 노인이 그에게 말한 것이 아니라 판매자에게 전혀 다른 것을 말했다. '나는 그것을 아바 겔라시오스에게 보여 주었고, 그는 당신이 말한 가격보다 가치가 없다고 대답했습니다'라고 그는 말하였다. 이 말을 들은 그는 '노인이 다른 말을 하지 않았습니까?' 하고 물었다. 그는 '아니요'라고 대답했다. 그랬더니 판매자가 '더 이상 팔고 싶지 않다'고 말하더군요.
Filled with compunction, he went to find the old man, to do penance and ask him to take his book back. But he did not wish to make good his loss. So the brother said to him, 'If you do not take it back, I shall have no peace.' The old man answered, 'If you won't have any peace, then I will take it back.' So the brother stayed there until his death, edified by the old man's way of life.
양심의 가책을 느낀 그는 노인을 찾아가 참회하고 책을 다시 가져가 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그는 자기가 잃은 것을 보상하고 싶지 않았다. 그래서 그 형제는 그에게 '당신이 그것을 돌려받지 않는다면, 나는 평안이 없을 것입니다' 하고 말하였다. 노인은 '당신이 평화를 얻지 못한다면 내가 그것을 되찾겠습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래서 그 형제는 노인의 생활 방식에 의해 교화되어 죽을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2. A cell surrounded by a plot of land had been left to Abba Gelasios by an old man, also a monk, who had his dwelling near Nilopolis. Now a peasant farmer under Batacus, who was then living at Nilopolis in Palestine, went to find Batacus, asking to receive the plot of land, because, according to the law, it ought to return to him. Batacus was a violent man and he tried to take the field from Abba Gelasios by force. But our Abba Gelasios, not wishing that a monastic cell should be ceded to a secular, would not give up the land. Batacus, noticing that Abba Gelasios' beasts of burden were carrying olives from the field that had been left to him, turned them by force from their course and took the olives for himself; scarcely did he return the animals with their drivers, having caused them to suffer outrages. The blessed old man did not reclaim the fruit, but he did not cede possession of the land for the reason we have given above. Furious with him, Batacus, who had other matters to deal with also (for he loved lawsuits), betook himself to Constantinople, making the journey on foot. When he came near to Antioch, where Saint Symeon's fame was shining with great brilliance, he heard tell of him (he was indeed an eminent man) and, as a Christian, he desired to see the saint.
2. 한 구획의 땅으로 둘러싸인 감방은 닐로폴리스 근처에 거처를 가지고 있던 한 노인, 역시 수도사에 의해 아바 겔라시오스에게 남겨졌다. 당시 팔레스타인의 닐로폴리스에 살고 있던 바타쿠스 휘하의 한 소작농이 바타쿠스를 찾아가 그 땅을 받기를 요청했는데, 그 이유는 율법에 따라 그 땅이 그에게 돌아가야 하기 때문이었다. 바타쿠스는 폭력적인 사람이었고 무력으로 아바 겔라시오스로부터 필드를 빼앗으려고 했다. 그러나 우리의 아바 겔라시오스(Abba Gelasios)는 수도원 세포가 세속에게 양도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땅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바타쿠스는 아바 겔라시오스의 짐승들이 자기에게 맡겨진 밭에서 올리브를 운반하고 있는 것을 보고, 강제로 그들을 진로에서 돌려 놓아 자신이 올리브를 가져갔다. 그는 동물들을 마부들과 함께 돌려보내는 일이 거의 없었으며, 이로 인해 동물들이 분노를 일으켰다. 축복받은 노인은 그 열매를 되찾지는 못했지만, 우리가 위에서 제시한 이유 때문에 땅의 소유권을 양도하지 않았다. 그에게 화가 난 바타쿠스는 다른 문제들도 처리해야 했기 때문에(그는 소송을 좋아했기 때문에) 콘스탄티노플로 가서 걸어서 여행했다. 그가 성 시메온의 명성이 찬란하게 빛나고 있는 안디옥에 가까이 이르렀을 때, 그는 그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고(그는 참으로 저명한 사람이었다) 그리스도인으로서 성인을 만나기를 원했다.
Blessed Symeon, from the top of his column, saw him as soon as he entered the monastery and asked him, 'Where do you come from and where are you going?' He replied, 'I am from Palestine and I am going to Constantinople.' He continued, 'And for what reasons?' Batacus replied, 'About many matters. I hope, thanks to the prayers of your holiness, to return and bow before your holy footprints.' Then Saint Symeon said to him, 'Wretch, you don't want to say that you are going to act against the man of God. But your way is not favorable for you and you will not see your house again. If you will follow my advice, leave these parts and hurry to him and ask his pardon, if you are still alive when you reach that place.' Immediately Batacus was seized with fever. His fellow travelers put him into a litter and he hastened, according to the word of Saint Symeon, to reach Abba Gelasios and to ask his pardon. But when he came to Beirut, he died without seeing his house again, according to the old man's prophecy. It is his son, also called Batacus, who has told this to many trustworthy men, at the same time as he gave the account of his father's death.
복자 시메온은 그가 수도원에 들어서자마자 그의 기둥 꼭대기에서 그를 보고 '너는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느냐?' 하고 물었다. 그는 '저는 팔레스타인 출신이며 콘스탄티노플로 갈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그는 '그리고 어떤 이유들 때문입니까?' 하고 계속 물었다. 바타쿠스가 대답했다. 성하의 기도 덕분에 다시 돌아와 성스러운 발자취 앞에 절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자 성 시메온이 그에게 말하기를, '가련하구나, 너는 하느님의 사람을 거슬러 행동하겠다고 말하고 싶지 않구나. 그러나 너의 길은 너에게 호의적이지 않고, 너는 다시는 네 집을 못할 것이다. 내 충고를 따르겠다면, 이 지역들을 떠나 서둘러 그에게 가서 용서를 구하고, 그곳에 도착했을 때 아직 살아 있다면 용서를 구해라.' 바타쿠스는 즉시 열병에 걸렸다. 그의 동료 여행자들은 그를 쓰레기통에 던져 넣었고, 그는 성 시메온의 말에 따라 아바 겔라시오스에게 가서 용서를 구하기 위해 서둘러 갔다. 그러나 그가 베이루트에 왔을 때, 노인의 예언에 따라 그는 그의 집을 다시 못하고 죽었다. 바타쿠스(Batacus)라고도 불리는 그의 아들은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많은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이 사실을 말해 주었다.
3. Many of his disciples used to relate the following also: One day someone had brought them a fish and when it was cooked, the cook took it to the cellarer. An urgent reason obliged him to leave the storeroom. So he left the fish on the ground in a dish, asking a young disciple of Abba Gelasios to look after it for a short while until his return. The boy was seized with desire and began to eat the fish greedily. The cellarer, finding him eating it on his return, was angry with the boy who was sitting on the ground and without being careful about what he did he kicked him. Being struck on a mortal part, by demonic power the boy gave up his spirit and died. The cellarer, overcome with fear, laid him on his own bed, covered him and went to throw himself at Abba Gelasios' feet, telling him what had happened. Gelasios advised him not to speak of it to anyone and ordered him to bring the boy, when everyone had gone to rest in the evening, to the diaconicum, place him before the altar and then to withdraw. Coming to the diaconicum, the old man continued in prayer; at the hour of the night psalmody, when the brethren assembled, the old man withdrew, followed by the little boy. Noone knew what had been done, save he and the cellarer, until his death.
3. 그의 제자들 중 많은 사람들도 다음과 같이 말하곤 했다: 어느 날 어떤 사람이 그들에게 생선을 가져왔는데, 그것이 요리되었을 때, 요리사는 그것을 저장고로 가져갔다. 그는 긴급한 이유로 창고를 떠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는 물고기를 접시에 담아 땅에 내려놓고, 아바 겔라시오스의 젊은 제자에게 그가 돌아올 때까지 잠시 동안 그것을 돌봐 달라고 부탁했다. 소년은 욕망에 사로잡혀 물고기를 탐욕스럽게 먹기 시작했다. 그가 돌아 오는 길에 그것을 먹는 것을 발견 한 지하실 주인은 땅에 앉아있는 소년에게 화가 났고 그가 한 일에주의하지 않고 그를 발로 찼다. 악귀의 힘에 의해 죽을 수밖에 없는 부분을 입은 소년은 그의 영혼을 포기하고 죽었다. 지하실 주인은 두려움에 휩싸여 그를 자기 침대에 눕히고 덮어 준 다음 아바 겔라시오스의 발 앞에 엎드려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야기했다. 겔라시오스는 그에게 그 일을 아무에게도 말하지 말라고 충고하고, 저녁에 모두가 쉬러 갔을 때 그 소년을 디아코니쿰으로 데려와 제단 앞에 놓은 다음 물러가라고 명령했다. 디아코니쿰에 이르러 노인은 기도를 계속했다. 밤의 시편 기도가 끝나고 형제들이 모였을 때, 노인은 물러갔고, 그 뒤를 어린 소년이 따랐다. 그가 죽을 때까지 그와 지하실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했다.
4. Not only his disciples, but many of those who met him, often told this about Abba Gelasios. At the time of the Ecumenical Synod at Chalcedon, Theodosius who had taken the initiative in the schism of Dioscorus in Palestine, foreseeing that the bishops would return to their particular churches (for he was also present at Chalcedon, expelled from his fatherland because his fate was to stir up trouble), hastened to Abba Gelasios in his monastery. He spoke to him, opposing the Synod, saying that the teaching of Nestorius had prevailed. By this means he thought to win over the holy man and bring him to his own delusion and schism. But he, because of the bearing of his interlocutor and the prudence with which God inspired him, understood the injurious nature of his words. Not only did he not join himself to this apostasy, as almost all the others did, but he sent him away covered with reproach. In fact, he made the young child whom he had raised from the dead come into their midst and he spoke thus, with great respect, 'If you want to argue about the faith, you have those close to you who will listen to you and answer you; for my part, I have not time to hear you.' These words filled Theodosius with confusion. Hurriedly he left for the holy city and there got all the monks on his side, under the pretext of fervent zeal. Then, using this as his aid, he seized possession of the throne of Jerusalem. He had prepared the position for himself by assassinations and he did many things contrary to divine law and canonical precept. Having become master and attained his goal, laying hands on many bishops to set them on the thrones of bishops who had not yet retired, he made Abba Gelasios come to him. He invited him into the sanctuary, endeavoring to win him over, even while fearing him. When Gelasios entered the sanctuary, Theodosius said to him, 'Anathematize Juvenal.' But he remained unmoved and replied, 'I do not know any bishop of Jerusalem but Juvenal.' Theodosius, fearing others would imitate his holy zeal, ordered him to be driven out of the church, covering him with ridicule. The schismatics took him and put faggots round him, threatening to burn him. But seeing that even that did not make him give in nor frighten him and fearing a popular rising, for he was very celebrated (all this had been given him by Providence from above), they sent our martyr, who had offered himself as a holocaust to Christ, safe and sound away.
4. 그의 제자들뿐만 아니라 그를 만난 많은 사람들도 종종 아바 겔라시오스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칼케돈에서 에큐메니칼 회의가 열렸을 때, 팔레스타인의 디오스코루스 분열에 주도권을 잡았던 테오도시우스는 주교들이 그들의 특별한 교회로 돌아갈 것을 예견하고(왜냐하면 그는 또한 칼케돈에 있었고, 그의 운명이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의 조국에서 추방되었기 때문에), 그의 수도원에 있는 아바 겔라시오스에게로 급히 갔다. 그는 그에게 시노드에 반대하면서 네스토리우스의 가르침이 우세하다고 말했다. 이런 방법으로 그는 그 거룩한 사람을 설득하여 그를 자신의 기만과 분열로 몰아넣으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대화 상대의 태도와 하나님께서 그에게 영감을 주신 신중함 때문에 그의 말의 해로운 본질을 이해했다. 그는 거의 모든 다른 사람들이 그랬던 것처럼 이 배교에 가담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치욕을 뒤집어쓴 채 그를 돌려보냈다. 사실, 그분은 자신이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어린아이를 그들 가운데로 나오게 하시고, 큰 존경심을 가지고 이렇게 말씀하셨다. '네가 믿음에 대해 논쟁하고 싶다면, 네 말을 듣고 대답해 줄 사람들이 네 곁에 있어라. 나는 너의 말을 들을 시간이 없구나.' 이 말은 테오도시우스를 혼란에 빠뜨렸다. 그는 서둘러 거룩한 도시로 떠났고, 열렬한 열성을 구실로 모든 수도사들이 그의 편에 섰다. 그런 다음 그는 이것을 자기의 도움으로 이용하여 예루살렘의 왕좌를 차지하였다. 그는 암살을 통해 자신을 위한 지위를 준비했으며, 하나님의 율법과 교회법의 교훈에 어긋나는 많은 일을 저질렀다. 스승이 되어 목표를 달성하고, 아직 은퇴하지 않은 주교의 왕좌에 앉히기 위해 많은 주교들에게 손을 얹은 후, 그는 아바 겔라시오스를 그에게 오게 했다. 그는 그를 성소로 초대하였고, 그를 두려워하면서도 그를 설득하려고 애썼다. 겔라시오스가 성소에 들어갔을 때, 테오도시우스는 그에게 '유베날을 저주하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동요하지 않고 '나는 유베날 외에는 예루살렘의 어떤 주교도 알지 못합니다.'라고 대답하였다. 테오도시우스는 다른 사람들이 그의 거룩한 열심을 본받을까 두려워 그를 교회에서 쫓아내라고 명령하고 조롱을 퍼부었다. 분열주의자들은 그를 붙잡아 호모들을 둘러싸고 불태워 버리겠다고 위협했다. 그러나 그것조차도 그를 굴복시키거나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보고, 그가 매우 칭송받았기 때문에(이 모든 것은 위로부터의 섭리에 의해 그에게 주어졌다), 그들은 그리스도에게 홀로코스트로 자신을 바친 우리의 순교자를 무사히 돌려보냈다.
5. It was said of him that in his youth he had led a life of poverty as an anchorite. At that time in the same region there were many other men who, with him, had embraced the same life. Among them there was an old man of very great simplicity and poverty, living in a single cell to the end, although in his old age he had disciples. This old man's particular acts of asceticism had been to guard against having two tunics and till the day of his death not to think of the morrow whilst he was with his companions.
5. 그는 젊었을 때 닻을 내리는 사람으로 가난한 삶을 살았다. 그 당시 같은 지역에는 그와 함께 같은 삶을 받아들인 다른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그들 중에는 매우 소박하고 가난한 한 노인이 있었는데, 그는 노년에 제자들이 있었지만 끝까지 독방에서 살았다. 이 노인의 특별한 금욕적 행위는 두 개의 튜닉을 갖지 않도록 경계하고, 죽는 날까지 동료들과 함께 있는 동안에는 내일을 생각하지 않는 것이었다.
When Abba Gelasios, with divine assistance founded his monastery, he was given many gifts and he also acquired beasts of burden and cattle, which were needed for the monastery. In the beginning he had discussed the foundation of a monastery with the divine Pachomios and had recourse to him throughout its foundation. The old man, of whom we have spoken above, seeing him engaged on this, and wishing to preserve the great love he had for him, said to him, 'Abba Gelasios, I am afraid your spirit will become enslaved by the lands and all the other possessions of the monastery.' But he replied, 'Your spirit is more enslaved by the needle with which you work than the spirit of Gelasios by these goods.'
아바 겔라시오스 (Abba Gelasios)가 신의 도움으로 수도원을 세웠을 때, 그는 많은 선물을 받았고 수도원에 필요한 짐승과 가축을 얻었다. 처음에 그는 신성한 파코미오스와 수도원 설립에 대해 논의했으며 창립 기간 내내 그에게 의지했다. 우리가 위에서 말한 그 노인은 그가 이 일에 몰두하는 것을 보고, 그에 대한 그의 큰 사랑을 간직하기를 원하면서, 그에게 말하기를, '아바 겔라시오스여, 나는 당신의 영혼이 수도원의 땅과 다른 모든 소유물에 의해 노예가 될까 두렵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가 대답하기를, '당신의 영혼은 젤라시오스의 영혼이 이 물건들에 의해 노예가 되는 것보다, 당신이 일하는 바늘에 더 노예가 되어 있습니다.'
6. It was said of Abba Gelasios that he was often assailed by the thought of going to the desert. One day he said to his disciple, 'Do me the favor, brother, of bearing with whatever I may do, and say nothing to me for the whole of this week.' Taking a reed, he began to walk in his little atrium. When he was tired, he sat down a little, then stood up again to walk about. When evening came, he said to himself, 'He who walks in the desert does not eat bread, but herbs; so because you are weary, eat a few vegetables.' He did so, then said to himself again, 'He who is in the desert does not lie in a bed, but in the open air; so do the same.' So he lay down and slept in the atrium. He walked thus for three days in the monastery, eating a few chicory leaves in the evening and sleeping the whole night in the open air and he grew weary. Then, taking the thought which troubled him, he refuted it in these words, 'If you are not able to perform the works of the desert, live patiently in your cell, weeping for your sins, without wandering here and there. For the eye of God always sees the works of a man and nothing escapes him and he knows those who do good.'
6. 아바 겔라시오스(Abba Gelasios)는 사막에 간다는 생각에 자주 괴로워했다고 한다. 어느 날 그는 제자에게 '형제여, 내가 무슨 일을 하든지 참는 은혜를 베풀고, 이번 주 내내 나에게 아무 말도 하지 마십시오.'라고 말씀하셨다. 갈대를 잡고 그는 작은 아트리움을 걷기 시작했다. 그는 피곤해지면 조금 앉았다가 다시 일어나 걸어 다녔다. 저녁이 되자 그는 속으로 말하기를, '광야를 걷는 자는 떡을 먹지 않고 나물을 먹는다. 그러니 피곤하니 채소를 조금 먹어라.' 그는 그렇게 한 다음 다시 혼잣말로 말하기를, '광야에 있는 자는 침대에 누워 있지 않고 야외에 누워 있느니라. 그러니 그렇게 하십시오.' 그래서 그는 아트리움에 누워서 잠을 잤다. 그는 수도원에서 3일 동안 그렇게 걸었고, 저녁에는 치커리 잎 몇 장을 먹고, 밤새도록 야외에서 잠을 잤고, 그는 점점 지쳐갔다. 그러고는 그를 괴롭히는 생각을 취하여, '네가 사막의 일을 할 수 없다면, 여기저기 방황하지 말고, 네 죄 때문에 울면서 감방에서 참을성 있게 살아라. 하나님의 눈은 항상 사람의 행위를 보며, 그를 피할 것이 없으니, 그는 선을 행하는 자를 아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