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십자회
장미십자회(薔薇十字會, 독일어: Rosenkreuzer 로젠크로이처[*], 영어: Rosicrucianism)는 중세 후기 독일에 형성되었으며, 고대에 존재했다가 사라진 비교(秘敎)의 가르침은 물론 자연에 대한 식견과 물질적 분야와 영적 분야에 대한 학식을 비밀리에 보유했다고 말해지는 신비주의적 비밀결사로 묘사된다.
1607년과 1616년 사이에 《RC단의 명성》 (Fama Fraternitatis RC), 《RC단의 고백》 (Confessio Fraternitatis) 등 익명의 성명서가 처음에는 독일에, 나중에는 유럽 도처에 널리 퍼졌다. 신비주의자-철학자-박사의 “가장 훌륭한 모임”을 제시하고 “인류의 전면적인 개혁”를 촉구하는 이 문서들은, 역사가 프랜시스 예이츠가 “장미십자회의 계몽”이라 부른 사회적 열기를 불러일으켰다.
최근 들어서는 많은 프리메이슨과 오컬트 집단들이 자기네 교의가 장미십자회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장미십자회의 역사를 연구한 많은 이들은 오늘날 장미십자회에서 유래했다는 단체들과 17세기 초의 원조 장미십자회 간에는 어떤 유사점도 찾아볼 수 없다고 보고 있다.
기원
Fama Fraternitatis에 따르면, 독일 태생의 의사이자 신비주의 철학자인 크리스티안 로젠크로이츠라는 전설적인 인물이 장미십자회를 결성했다고 한다. 1378년 독일에 태어난 그는 어릴 때 양친과 사별하고 열여섯 살때까지 수도원에서 자랐다. 성장한 로젠크로이츠는 지식에 대한 욕구에 눈을 떠 동료와 함께 성지순례를 떠났다. 키프로스까지 왔을 때 동행자 가운데 한 사람이 죽었지만, 그는 그대로 다마스쿠스에 이르러 육로로 예루살렘을 향하기로 했다. 그러나 다마스쿠스에서 몸 상태가 나빠진 것을 계기로 아랍인 현자들과 만나게 되었다. 원래 지식욕이 왕성했던 로젠크로이츠는 현자들로부터 많은 지식을 배웠다.
아랍어로 씌어져 있던 비의의 책인 M의 책을 입수한 그는 이것을 라틴어로 번역하고, 고대의 다양한 영지를 터득했다. 그런 다음 그는 이집트를 경유하여 모로코의 도시 페즈에 들어가 마법사들로부터 비술을 이어받았다. 페즈에서 2년간의 수행을 마친 그는 스페인으로 돌아갔다.
로젠크로이츠는 아랍에서 얻은 지식 공유 개념에 근거해, 처음에는 여러 사람들에게 지식을 전하려 했다. 그러나 이런 그의 행동은 유럽의 지식인들에게 박해받는 원인이 되었다. 당시 유럽에서는 비밀스러운 지식은 일부 특권층에게만 독점되는 게 보통이었다. 그 덕분에 지식인은 존경과 명성을 누릴 수 있었던 것이다.
마법의 힘으로 사람들을 원조하는 것, 그것이 로젠크로이츠의 신념이었다. 그러나 지식을 전하는 것만으로도 박해받는 상황 아래에서는 제대로 활동할 수 없었다. 다른 사람의 도움과 권력자들의 박해를 피하기 위한 장소가 필요했다.
그는 일찍이 자신이 자랐던 수도원을 찾아가, 뜻을 같이하는 동료들을 얻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들에게 자신의 지식을 전수하고 사람들을 이끌며 도울 조직을 결성했다. 이것이 장미십자회의 시조다.
장미십자회는 ‘성령의 집’으로 불리는 숨겨진 집을 거점으로 각지에서 활동하면서, 특히 중병을 앓은 사람들 앞에 나타나 치료해주었다.
나중에 네 명의 동료가 더 모임으로써 총 여덟 명의 장미십자회원이 활동하게 되었다.
장미십자회의 규약
장미십자회원은 결속을 굳히고 일관된 이념을 지키고자 다음과 같은 규약을 만들었다. 그리고 규약 선언 이후 로젠크로이츠 옆에 있는 두 명을 제외한 나머지 회원은 각지에 흩어져 활동했다.
우리 가운데 누구라도 무료 치료 외의 일에 종사해선 안 된다.
일정하게 정해진 의복을 착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체류하는 나라의 풍습에 따라 입는다.
모두가 매년 C의 날[2]에는 성령의 집에 모여야 한다. 참석하지 못할 경우에는 그 이유를 명기해야 한다.
각 동지는 죽음을 맞이할 때 뒤를 이을 수 있는 적당한 인물을 찾아야 한다.
C와 R이라는 말은 우리의 도장이며 휘장이며 기호다.
장미십자회는 백년간 비밀에 지켜질 것이다.
평판
대다수 사람들은 성명서들을 글자 그대로 믿지 않았으며, 오히려 속임수 내지는 우화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일부 사람들은 로젠크로이츠의 정체를 유명한 역사적 인물 프랜시스 베이컨이 사용한 가명이라고 믿고 있다.
분명한 것은 최초의 장미십자회 선언서는 연금술사이자 Amphitheatrum Sapientiae Aeternae (1609)의 작가로 소문난 함부르크의 하인리히 쿤라드와 Monas Hieroglyphica의 작가 존 디에게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작가들이 종교개혁가들(개신교 신자들)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자신들의 사상과 믿음을 선전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화학(연금술)과 과학 기술을 이용한 것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장미십자회원 작가들은 대체로 종교 개혁을 지지하였고 로마 가톨릭교회와 이슬람교를 배척하였다. 또한, 마르틴 루터의 상징물은 활짝 핀 장미 안에 있는 십자가였다.
요한네스 발렌티누스 안드레(1586-1654)는 비록 나중에 자서전에서 장난이었다고 설명했지만, 자신의 저작 가운데 하나인 Chymische Hochzeit (크리스티안 로젠크로이츠의 화학적 결혼)를 익명으로 출판하였다. 그러나 그의 후대 저작에서 연금술은 조롱의 대상이 되었으며, 음악, 미술, 연극, 점성술과 함께 열등한 학문으로 취급받아 더 진지한 과학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장미십자회 전설의 기원에서의 그의 역할은 논쟁의 대상이다.
장미십자회(Rosicrucians , 薔薇十字會)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 유럽에서 활동한 비밀단체.
원어명 : Rosenkreuzer(독)
구분 : 비밀단체
설립목적 : 가톨릭 교리 부정
소재지 : 독일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구속을 뜻하는 십자가와 장미 문장이 그려진 깃발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여졌다. 17세기 초 독일에서 《Confessio Fraternitatis》라는 책에 언급됨으로써 실체가 알려지게 되었다. 책에 따르면 전설적인 인물 크리스천 로젠크로이츠(Christian Rosenkreutz)가 있었다. 그는 동방에 가서 아랍인들의 지혜와 명철을 배우고 고향에 돌아온 후에 마술, 연금술 등을 가르쳤다.
그에게 배운 사람들은 기존의 가톨릭교을 반대하는 반(反)가톨릭적인 기독교 비밀단체를 결성하였다. 가톨릭의 교리를 부정하는 입장을 내세워 가톨릭 단체 및 교회로부터 지탄과 경계의 대상이 되었다. 17세기 유럽에서 공상소설가들이 이 단체를 소재로 작품을 많이 썼다.
그 외에도 철학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등도 이 단체와 접촉을 시도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영국에는 R.플러드에 의해 소개되어 확산되었다. 이후 독일, 러시아, 폴란드 등에는 18세기에 소개되어 확산되었지만, 18세기 말에는 세력을 잃어 거의 소멸되었다.
장미십자회
1. 개요
17~19세기경 존재했다고 널리 믿어진 유럽의 비밀결사.
프리메이슨으로 인해 비밀결사가 크게 유행했던 시기인 17세기 초, 독일에서 《Confessio Fraternitatis》라는 책에 언급됨으로써 세간에 알려졌다.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구원을 뜻하는 십자가와 장미 문장이 그려진 깃발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여졌다.
2. 특징
책에 따르면 전설적인 인물 크리스티안 로젠크로이츠(Christian Rosenkreutz)가 있었다. 그는 동방에 가서 아랍인들의 지혜와 명철을 배우고 고향에 돌아온 후에 마술, 연금술 등을 가르쳤다고 한다.
그에게 배운 사람들이 기존의 가톨릭 교회를 반대하는 반(反)가톨릭적인 기독교 비밀단체를 결성하였는데, 가톨릭의 교리를 부정하는 입장을 내세워 가톨릭 단체 및 교회로부터 지탄과 경계의 대상이 되었다. 17세기 유럽에서 공상소설가들이 이 단체를 소재로 작품을 많이 썼다.
그 외에도 철학자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등도 이 단체와 접촉을 시도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영국에는 R. 플러드에 의해 소개되어 확산되었다. 이후 독일, 러시아, 폴란드 등에는 18세기에 소개되어 인식이 확산되었지만, 18세기 말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게 되었다.
형이상학자이자 카발라 연구자인 도널드 크레이그의 저서에 따르면, 역시 비밀결사였던 황금여명회에 잔존 세력이 흡수되었다고 한다. 알레이스터 크로울리와 이스라엘 리가디 등의 배신과 폭로로 인해 황금새벽회의 비밀이 드러나자 장미십자회를 흡수하고 황금새벽회의 내부 단체로 두었다고. 기존 황금새벽회는 친목단체에 가까운 외부 단체가 되었으며, 핵심적인 가르침은 내부 단체인 장미십자회로 초대되어야만 전수받게 된다.
이 단체가 남긴 것으로는 장미십자가 의식이 있다. 강력한 결계를 형성하여 자신을 보호하는 LBRP(소오망성 결계 의식)와는 달리, 자신을 숨기는 베일을 만드는 의식이다.
장미십자회란 단체는 종교개혁가들이 연금술과 과학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사상을 알린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그리고 프리메이슨, 일루미나티 항목에도 작성되어 있는 것이지만 명심해야 할 것은, 음모론은 재미로 보는 게 가장 좋으며 심취하지 않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3. 서브컬처
-일본의 라이트노벨 트리니티 블러드에 등장하는 조직인 장미십자기사단의 모티브이다.
-김진명이 자주 사용하는 소재로 묘사를 보면 암살자 집단마냥 먼치킨스러운 집단으로 포장해 놓았다.
-한국 영화 검은 사제들에서 악령 '12형상'을 쫓는 단체로 등장한다. 현실에선 반가톨릭 단체임에도 불구하고 극중에선 가톨릭 소속의 비공식 단체로 나온다. 물론 극의 흥미를 위한 각색으로 이해할 수 있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푸코의 진자에서 장미십자회는 주인공들이 창작해낸 음모론의 한 축을 담당한다.
-스팀펑크 시리즈의 주요 조직 서인도 회사의 현 총수 대리인의 이름이 《황금왕》크리스티안 브록켄 로젠크로이츠로 장미십자회의 창설자 크리스티안 로젠크로이츠에서 이름을 따온걸로 추측된다.
-나가노 마모루의 SF 만화 파이브 스타 스토리의 비밀결사 로젠 크로이츠의 모티브다.
-위자딩 월드에서는 마법사들 자체가 일종의 비밀 사회이기 때문에 장미십자회는 전혀 등장하지 않을 듯 했으나.... 신비한 동물사전 시리즈가 제작된 이후로는 위자딩 월드에도 장미십자회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기서는 국제비밀법령 이후에도 마법사들의 존재를 알고 있고 마법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도 일부 갖추고 있으나 마법을 쓸 수는 없는 머글 집단으로 나온다. 더불어 마법사들은 고대에 요정과 통혼한 인간들의 유전자가 발현한 사람들이라는 설정으로 머글과 마법사가 확실히 구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