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4357).10.20(일) 음력 9.18 (정사)
세계 통계의 날(World Statistics Day)
♡ 국 내
¤1107(고려 예종2) 윤관 장군 여진족 정벌 개시.
¤1920 청산리대첩에서 독립군 대승.
※ 수천 명의 독립군이 수만 명의 일본군과 싸워
3,500명 이상의 일본군 죽이고 독립군은 90여명
목숨 잃음.
¤1940 독립운동가 이범윤 세상 떠남(83살)
북간도와 연해주 등에서 무장독립운동 벌임.
¤1951 제1차 한일회담 열림.
¤1973 제1회 문화의 날, 10월 셋째 주 토요일.
¤1979 마산 창원에 위수령 발동.
¤1980 남북대화사무국 개국.
¤1986 카드사용 공중전화기 첫 설치.
¤1989 북경아시안게임 단일팀 구성 위한 제3차
남북체육회담 열림.
※ 단일팀 단기를 흰색 바탕에 하늘색 한반도 지도로
합의.
¤1990 평양 방문으로 국보법 위반해 옥살이 하던
문익환 목사 석방.
¤1998 정부 일본대중문화개방 전격 발표.
※ 영화와 대중음악, 극장용 애니메이션 우선 개방.
영화는 칸 베니스 베를린 미국 아카데미 등 4대
영화제 작품상 감독상 수장작과 한일공동제작 작품.
12.5 해방 뒤 처음으로 한국 극장에서 개봉한 기타노
다케시의 ‘하나비’는 서울관객 6만명, 12.12 개봉한
구로사와 아키라의 ‘가케무샤’는 10만명으로
흥행부진.
¤2003 부시 미 대통령 다자 틀 내 대북안전보장
제의.
¤2012 인천시 `기후변화·환경 분야의
세계은행`이라 불리는 녹색기후기금(GCF) 유치.
¤2014 남북이산가족 상봉(~10.25까지).
¤2014 '정보통신기술(ICT) 올림픽'인
국제전기통신엽합(ITU) 전권회의(의장 민원기)
부산에서 3주간 열림, 170여 개 나라 3천여명
(장·차관급 140여명 포함) 참가.
¤2015 피아니스트 조성진(21세) 제17회 국제 쇼팽
피아노콩쿠르(폴란드 바르샤바) 우승, 특별상인
폴로네이즈 최고연주자상도 받음.
¤2015 국내기업들 자유롭게 휘어지는 배터리 개발,
‘인터배터리(Inter Battery) 2015’ (코엑스)에서
삼성SDI는 종이처럼 얇은 배터리 LG화학은 전선
형태 배터리 선보임.
¤2017 공론화위원회(위원장 김지형 471명)
신고리원전 5,6호기 건설 계속, 핵발전 축소 권고.
¤2020 sk하이닉스 10조3천억원(90억$)에 인텔의
낸드 플래시 사업 인수 발표.
¤2022 2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위원장 정근식) 선감학원 사건이 공권력에 의한
중대한 인권침해라 규정.
※ 일제강점기 1940년대부터 경기도가 40년간
부랑아단속이라는 명분으로 경기도 안산 선감도에
만든 수용소로 군사정권 시절인 1980년대까지 아동
수천 명을 끌고 가 강제노역·폭행·학대·고문 등 인권
유린, 1982년 폐원.
¤2022 기독교 대한감리회 총회 재판위원회,
2019년 인천 퀴어문화축제에서 성소수자 축복식
진행한 이동환 목사 유죄 선고.
♡ 국 외
¤1935 중국 홍군 대장정 완수.
※ 홍군8만6천명이 368일 동안 12개성 24개의 강
18개의 산맥 넘어 정강산에서 옌안까지 9,656km
행군. 옌안 도착 시 10-20%만 살아남음.
¤1959 유엔총회 세계아동인권선언 채택.
¤1980 그리스 7년 만에 NATO 복귀.
¤1991 인도 북부에 진도 6.1 지진 5백여 명 죽고
8천여 명 다침.
¤1999 인도네시아 의회, 온건파 회교지도자
와히드를 대통령으로 뽑음.
※ 부통령은 메가와티 수카르노 푸르티. 이로써
36년간에 걸친 골카르당의 독재 막을 내림.
¤2011 리비아 독재자 카다피 고향 시르테에서
살해당해 시장의 고기 냉동창고에 전시됨.
※ 1969년 육군대위로 무혈쿠데타 정권 장악, 42년
집권기간에 52회 암살위기 두 차례 쿠데타 기도.
¤2014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취임,
첫 직선제 정권교체, 군부와 기성정치권 출신 아닌
첫 대통령.
¤2016 대만 2025년까지 핵발전소가동정지
재생에너지 20%까지 확대 태양광발전 43조원 투자
결정.
¤2016 에베레스트 오른 첫 여성산악인 다베이
준코(일본 77세) 세상 떠남.
¤2018 트럼프 미대통령 중거리핵전력(INF) 조약
파기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