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연재해 사망자의 1/3 은 산사태와 토석류 때문
2002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자연재해 사망자 중 33.8% 가 경사지 재해(산사태, 토석류)로 인한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11)
연간 약 23명 정도가 희생되고 있는데요 실종자나, 집계되지 않은 사례, 부상과 재산피해까지 합하면 매년 상당한 산사태와 토석류 피해가 일어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코난족분들은 산구석에 땅사고 집짓는것이 로망인분들이 많으므로
산사태와 토석류에대해 잘 알아보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산사태와 토석류의 차이점은?
산사태는 와르르 쏟아지고 끝이지만
토석류(Debris Flow) 는 쏟아진 진흙과 돌들이 마치 강물처럼 움직입니다
흙과 물, 공기, 자갈, 돌이 뒤섞이면서 물처럼 유동하는 특이한 상태가 되며
커다란 돌이 떠다니는 믿기힘든 장면이 펼쳐지기도 합니다.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며 강력한 파괴력을 지니고 있어 엄청난 인명피해를 끼치기도 합니다.
토석류의 특성이 잘 촬영된 영상
커다란 돌이 떠다닙니다.
국내 대표적인 토석류 사례로는 우면산 사례가 있습니다.
서울 우면산에서 다발적으로 일어난 토석류로 18명이 사망하였습니다.
해외 사례로는 무려 3만명이 사망한 1999년 베네수엘라 토석류 사례도 있습니다
이처럼 토석류는 엄청난 피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토석류 위험지역엔 집을 가능한 짓지말고
위험지역에서는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거나 피해를 줄일수 있도록 방재시공이 필요합니다. (사방댐 등)
산사태와 토석류에 대한 좀더 자세한 설명은 위의 YTN 사이언스 영상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15분 까지만 보시면 됩니다
다음글에서는 토석류 위험지역과 위험한 시기
방호수단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QnA
Q : 산사태가 한번 일어난곳은 산사태가 다시 일어나지 않는다는데 사실인가요?
A : 산사태가 일어나면 사면의 경사가 작아져 산사태 위험이 줄어든다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왜냐하면 산사태로 인해 토양이 지표수(빗물, 계곡물)의 유입이 쉬워지고 주변 지반이 파괴되어 연속적인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과거 산사태 지역은 오히려 새로운 산사태 발생에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QnA는 자연재해와 재난, Donald Hyndman, David Hyndman, 이동우 외 공역 내용일부를 발췌)
첫댓글 Good
Thank you
토석류를 막기워해서 사장댐을 계곡에 시공해야합니다. 물은 통과하되 덩어리는 잡는거죠~
네 좀더 공부해서 다음글에서 다뤄볼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탄소중독화성인(창원) 제가 사이버 대학 소방방재학과 다니거든요 ㅎㅎㅎ
뭔가 익숙하다 했어요
@그리핀(부산) 아 그렇군요^^ 일반인 누구나 들을수 있나요? 저도 기회되면 한번 들어볼까 싶네요
다음 글에서 부족한점 있으면 정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탄소중독화성인(창원) 자료는 찾아봐야 할거같구요.
사방댐이란것이 일회성입니다. 마치 머즐로딩 라이플같은...
한차례 토석류가 지나가고 나면 여러 충으로 된 사방댐즁 워위 몇개는 암석과 나무 등이 뒤엉켜 쌓여있겠죠.
이걸 제때(또 토석류를 유발할 수 있는 비가 올 경우) 제거해주지 않으면 다음 토석류는 이 높이가 높아져 댐 역할을 할수없는 사방댐울 그냥 지나가버레죠. 그래서 제때 제거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사방댐이 아무리 있다한둘 가장 안전한 것은 우면산같이 골짜기의 끝에 아파트를 짓는 멍청한 행동은 말아야겠지요.
재난대비가 좋아서 공부를 시작하게 됬는데요. 참 느끼는점이 많습니다. 언젠가 저도 이에 대한 글을 한번 올릴게요.
@그리핀(부산) 네 자세한 정보글 감사합니다^^ 사진속 댐은 꽤 커보이는군요
이게 가만히 놔두면 무용지물이 될 사방댐입니다.
잘 막아줬군요 ㅎㅎ 요 사진속 사방댐정도면 건설비가 얼마쯤 할까요?
민원넣으면 건설해줄지 궁금하네요
@탄소중독화성인(창원) 지자체 방재과에서 돌리는 GIS 지리정보시스템이 있을겁니다
거기서 급경사가 몇도며, 그밑에 인구밀도 생각해서 아마도 하지 싶습니다. 워험해 보인다는 구역있으시면 한번 사진찍고 실제로 토석류까지는 아니라도 좀 흘러내린 흔적있으면 민원올려보는것도 방법이죠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6.08.10 17:51
생각지도 못했던 재해가 무서운놈이었군요
네 사망자 1/3이라 될것이라곤 생각못했네요;;
사면공학이란 분야가 있습니다. 암반사면공학도 있구요
여기서 토석류의 밀도, 중력가속도, 마찰계수, 주 절리면의 방향, 경사각, 진동, 풍화정도, 협재물의 종류, 물(포화상태, 배수, 부력, 수압 등), 수평,수직 토압이나 지압 등의 변수에 따라 파괴나 붕괴의 안전율을 계산합니다.
변수가 매우 다양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