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해자평 서자평(서거이)는 고법사주학을 서술하고 있는 東晋 곽박(郭璞)이 저술한 <옥조신응진경>과 <낙록자삼명소식부>를 주해했다.
신법명리인 자평명리론과 고법명리론(삼명학)이 구별되는 특징으로 徐居易(자평)는 본명, 생월, 생일, 생시의 四柱마다 三元이 있다고 하는데, 삼원이란 天元, 地元, 人元이다.
천원은 천간, 지원은 지지, 인원은 지지 속에 들어있는 천간 곧 支藏干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학설이다. 고법에서는 년주의 천간을 祿, 년주의 지지를 命, 년주의 납음오행을 身이라고 하며, 이 祿, 命, 身을 三元(삼명)이라고 하였다. 고법에서는 년주를 중심으로 하여 삼원(삼명)을 정하고 태,월,일,시는 보조적인 역할을 할 뿐이었으나 서자평은 일간을 중심으로 사주 전체의 천간과 지지와 지장간을 골고루 사용한 것이다.
ㅡ
옥조신응진경玉照神應真經 주해註解
ㅡ건강부분만 발취한 내용.
19. 戊己忌卯寅,休囚而生大疾。
日干戊己,月令卯寅木為死令,無氣之地,主有大疾,或四肢風病,或癱瘓之疾。
무기는 묘인을 기피하는것은휴수이며 큰질병을 만든다.
일간무기토는 월령묘인목은 사령이 되어 기가없는 지인데,주는 대질병이거나 사지풍병 혹 마비의 질병이 있다.
20. 丙丁亥子,投於江水波河。
丙到亥,丁到子,為絕地,丙日主,見亥時生,丁日主,見子時生,主投河而沒,若四柱干支有合,可解,惟一生多眼目命。
병정해자는 강물 강파도에 던진다.
병은 해에서, 정은 자에서 절지가 되는데, 병일주는 해시 생을 보고, 정일주는 자시 생을 보면,주는 강에 던지며 잠기는데, 사주간지에 합이 있으면 풀수 있지만 일생 많은 눈병의 명조이다.
21. 巳午庚辛,男女病多心血。
庚辛,金也,主腸肺,巳午,火也,主心,如庚午日,見辛巳時,主男女多心血病也,乃下火剋上金。
사오 경신은 남녀 심혈 병이 많다.
경신은 금이다 주로 폐장이고 사오는 화이다 주로 심장이다, 만일 경오일이 신사시를 보면 주는 남녀 심혈병이 많다 이는 아래 화가 위 금을 극한다
22. 甲申乙酉,小兒風病肝經。
甲乙木命,見申酉日或時支,主小兒多肝病也,甲乙木,主肝,申酉金剋之,乃肝經受邪。
갑신 을유는 소아 간경 풍병이다.
갑을 목명은 신유 일 혹은 시지를 보면 주는 소아 간병이 많고, 갑을목은 주로 간장인데 신유금이 극하여, 이는 간경의 간사함을 받는다
23. 辛卯庚寅,尤忌大人勞骨病。
寅卯木,屬肝又主筋骨及四肢,庚辛金命,見寅卯日或時,為金剋木,主筋骨之疾,或四肢之痛。
신묘 경인은 더욱 인노골병을 크게 기피한다.
인묘목은 간에 속하고 또 주는 근골과 사지 이며 경신금 명조인데, 인묘는 일 혹은 시를 보면 금극이 되어 주는 근골 질병이거나, 사지의 통증이다.
24. 門中有土,土金而腰腳須沈。
卯為日出,酉為日入,故言門戶,及主關格,己卯,己酉日時見之,主腰腳沈帶。
문중 유토는 토금이며 허리 다리가 깊다.
묘는 일출이 되고 유는 일입이 되므로 문호를 말하고 또 주는 관격이고, 기묘 기우 일시를 보는 것으로 주는 허리 다리 체가 깊다.
25. 甲巳雙加,遇刑則臂肢有患。
申巳雙加遇刑,則臂肢有患。신사 둘은 형을 만나 더하면 팔다리는 우환이 있다.
四柱內見申,又巳加臨刑剋者,則主臂肢有患。
사주 안에 신이나 또 사를 보아 형극에 임해 더하면 주는 팔다리에 우환이 있다.
26. 丙丁歲月,癸壬遇而眼目有疾。
丙丁火命,能照物象,為眼目,若逢年月時壬癸水剋,主眼目之疾。
병정의 세월은 계임을 만나며 눈에 병이 있다. 병정화 명조는 물상을 비출 수 있어 눈이 되는데, 만일 연월시에서 임계수 극을 만나면, 주는 눈의 질병이다
27. 甲乙若見庚辛,忌疾生於頭面。
甲乙木命,主頭面,若逢庚辛金來刑剋,則主傷於頭面。
갑을이 만일 경신을 보면 질병을 기피하는데 머리 얼굴에 생긴다.
갑을목 명조는, 주로 머리 얼굴로. 만약 경신금을 만나 형극이 오면 주는 얼굴 머리가 상한다
28. 水土同來寅卯,平生隔氣風痰。
日干戊己土命,或壬水命,逢寅卯,主風疾之病,乃木剋土,壬水寅卯為病死之地。
수 토는 인묘가 오면 평생 풍담 격기이다. 일간 무기토 명조, 또는 임수 명조는 인묘를 만나면, 주는 풍질의 병이다.이는 목극토이고, 임수 임묘는 사지의 병이 된다
29. 再入天罡,小腸腹急。
壬辰,戊辰為天罡之位,戊己土命,或壬水命,逢寅卯,再逢一辰位,主男小腹急疾,女則血病。
다시 천강에 들면 소장은 복병이 급하다.
임진 무진은 천강의 위치가 되고, 무기토 명조 또는 임수 명조인데, 인묘를 만나서, 다시 1진위를 만나면, 주로 남자는 소복의 급질병이고 여자는 혈병이다.
30. 五行十干,略定一端,其外參詳,依經用法。
五行金木水火土,各有所主之疾,甲乙木主頭面,丙丁火主眼目,戊己土主脾胃,腹肚,庚辛金主筋骨,四肢,壬奐水主膀胱,腎,
오행 십간은 대략 한 단이 정해지고 그 외에는 상세히 참조하고 경에 의지하는 용법이다.
오행 금목수화토는 각각 소주의 질병이 있는데 갑을목은 주로 머리 얼굴이고 병정화는 주로 눈이며 무기토는 주로 비위, 복부이고, 경신금은 주로 근골 사지이며, 임수는 주로 방광 신 이다.
又子丑為足,寅亥為膝,卯戌為中隔,辰酉為肚,申巳胸背,未面午後,
또한 자축은 다리가 되고 인해는 무릎이며 묘술은 중 흉격이고 진유는 배가 되며 신사는 가슴 등이고, 미는 얼굴 오는 뒤모습이다.
另金主肺,水主腎,火主心,土主脾胃,日柱干支受剋,或命局五行偏枯或過旺,則易災疾。
그리고 금은 주 폐, 수는 주로 신장, 화는 주심장,토는 주로 비위인데, 일주의 간지가 극을 받거나, 명국 오행이 편고 하거나 과왕이면,쉽게질병이 재앙이다.
39. 當生有虎,怕入山岩,狼虎之傷,歲刑足病。
六庚為白虎,見寅卯,甲申得庚寅重,庚寅得甲申輕,歲刑者,庚寅日,歲到丙申,當有口舌官事,如剋身,當尤足病。
경은 백호가 되어. 인묘를 보는데, 갑신이 경인을 얻으면 중하고,경인이 갑신을 얻으면 가볍다, 세형은, 경인일로, 세에 병신이 오면, 의당 구설관사가 있다, 만일 몸을 극하면 의당 발병이 더욱난다.
45. 天后狂情,到魁罡忌於身厄。
壬為天后,見辰戌土又見寅者,主身厄難也,乃壬水,寅為病地,辰戌土剋壬水也。
임은 천후가 되고, 진술 토를 보고 또 인을 보면 주는 몸이 어려운 액이다, 이 임수는 인이 병지가 되고, 진술토는 임수를 극한다.
47. 休囚十干墓地,而久病之源。
五行受剋,十干受剋,及休囚墓死之地,可知病源之出。
휴수는십간의 묘지이며,오랜병의 근원이다.
오행은 극받고, 십간은 극받고, 또 휴수는 묘사의 땅인데, 병근원의 나옴을 알수 있다.
58. 生逢酉戌,小人奴婢憂患焉。
如四柱地支酉戌全者,多與小人奴婢憂患焉。
만일 사주의 지지가 유술이 온전하면 다소사람은 노비 우환일것이다.
63. 三丁二丙到金,口舌生瘡。
丙丁火人,到申酉之地,或壬癸水人,到寅卯,主口舌生瘡,生是非。
3정2병은 금이 오면 구설은 창을 만든다.
병정화 사람은,신유의 땅에 오거나,임계수 사람은인묘에 오면, 주로 구설은 창이 생기고 시비를 만든다.
89. 辛乾丙巽,術士醫流。
戌亥,為天門,乃天醫,辰巳為地戶,乃地醫,丙藥醫師,乾為天門,巽為地戶,辛金為針,丙火為藥,醫卜卦命僧道之術。
신건괘 병손괘는 술사로 의사류이다.
술해는 천문이 되어 천의이고, 진사는 지호가 되어 지의이다,병은 약의사인데, 건은 천문이 되고, 손은 지호가 되어 신금은 침이 되고, 병화는 약이 되며, 의복괘 명조는 승도의 술이다.
90. 陽干支有相刑,主人斜眼之疾。
陽干者,甲丙戊庚壬,其干支有刑剋者,主頭面眼目疾。
양 간지는 상형이 있고,주는 사시 질환이다.
양간은 갑병무경임이고, 그 간지는 형극이 있으면 주는 눈 얼굴 머리병이다.
124. 從魁與亥木,丁辛遇太常,酒家利路。종괴와 해목, 정신이 태상을 보고, 주가이로이다.
酉從魁酒神,亥登明漿神,巳太乙主酒家,未小吉,太常主酒食,未亥巳見辛丁者,主酒家利路。
유는 우두머리 주신을 쫒고, 해는 명장신을 오르는데, 사 태을은 주로 주가이고, 미는 소길조이며, 태상은 주 술을 먹고, 미해사가 신정을 보면, 주는 주가 이기이다.
125. 亥逢金盛,癱瘓長生。
亥為甲木之長生,逢庚辛申酉,盛旺之金來剋,主癱瘓之疾。
해는 금왕성을 보면 마비의 장생이다.
해는 갑목의 장생이 되는데, 경신신유를보아 왕성한 금의 극이 와,주로 마비의 질이다.
126. 水立金中,門生陰病。
凡壬癸水居申酉金之上,或庚辛居亥子水上,或合巳酉丑金上,或居乙庚合金之鄉,金又生水,主門生陰病。
수는 금중에 서고, 문은. 음병을 만든다.
보통임계수는 신유금의 위에 거하거나 경신은 해자수 위에 거하거나 사유축금위에 합이거나 을경합금의 향에 거하여 금또한 수를 생하면, 주는 문이 음병을 생한다.
161. 丑逢戌未犯支刑,肢病難痊。
丑為金墓,戌為火墓,未為木墓,命見丑戌未地支三刑,各持墓之毒元有傷,
主四肢之病難痊。
축은 술미를 만나 지형을 범하면 사지병은 회복이 어렵다.
축은 금묘가 되고, 술은 화묘가되며,미는 목묘가 되는데,명조가 축술미 지지3형을 보면, 각특별한 묘로 독원이 돼 상처가 있는데, 주는 사지의 병이. 회복하기 어렵다.
162. 辰卯相加,必有獄刑腰腳。
辰為天罡,主獄事,卯為太沖,主私門,卯木剋辰土,必有獄刑,腰腳之病。
진묘가 서로 더하면 반드시 감옥의 허리다리 형벌이 있다.
진은 천강이 되면 주는 옥사이고, 묘는 태충이 되면주는사문이다, 묘목이 진토를 극하면 반드시 감옥형벌이 있어 허리다리 병이다.
163. 寅來加巳,子孫憂勞熱燒身。
寅木,巳火,謂木人火家之象,寅為陽火長生,剋陽金長生巳,命逢寅巳,
主子孫有癆病,發熱也,或有火燒身之病,乃寅刑巳也。
164. 巳立功曹,必見兩宮所失。
乙巳,十二辰中,太乙為尊,被功曹所刑,有犯上之過,有所失也。
165. 午逢丑位,久病內氣之災。
午為旺火也,丑乃金墓也,丑午相害,故旺火剋墓中之金,主久病由內氣之災。
166. 丑人炎陽,必有四肢深厄。
丑乃金墓也,炎陽,火也,火剋金,如辛丑見丙午火,主四肢深厄。
167. 子臨井宿,須生脾胃之災。
未,乃井宿,子未相害,子旺水臨未土,主有脾胃之疾。
자가 정궁에 오면비위의 재앙을 따른다.
미토는 정궁이다, 자미 상해는 자왕수가 미토에 오는 것이고, 주는 비위의 질병이다.
168. 未到子鄉,定見尊凶婦厄。
未,小吉也,子,神後也,主婦人及尊人須有厄也。
미가 자향에 오면. 존은 흉 부인은 액을 정한다.
미는. 소길조이다,자는 신 후이다,주로 부인과 남편은 액이 있다.
197. 將十神言其面色。
甲青,乙碧,丙赤,丁紫,戊黃,己紅,庚白,辛淡白,壬黑,癸綠。詳日時之上,言其面色也。
십신은 그 얼굴 색을 말한다.
갑은청,을벽,병적,정자,무황,기홍,경백,신담백,임흑,계록이다. 상세히 일시의 위이고,그얼굴 색을 말한다.
198. 地支神見,身貌俱詳。
支神生旺為大,休囚為小,卯酉為瘦,子午為雄,
지지 신을 보면 몸 모양을 잘 갖추었다.
지신 생왕은 크게 되고,휴수는 적게 되며, 묘유는 외소하고, 자오는 멎지다.
199. 干傷頭面之災,支損者四肢為患。
천간이 상하면 두면의 재앙이고, 지지가 상하면 사지가 재앙이 된다.
첫댓글 오행질병을 봅니다
위글을 사주 원조쯤으로 본다면, 현재의 사주 풀이도 같을것인데,
오행 생극 풀이는 쉽게 봐야 합니다.
생에는 억부 극에는 승모가 있어 그 깊고 얕음을 세분합니다.
생 극(상생 상극은 생극의 세분임)의 상세를 아는대로 설명 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