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우리경영 모의고사 25번 문제입니다
지금까지 현금흐름표 문제를 마주하면 영업CF는 영업관련 손익에서 영업관련자산부채 증감해서 풀고, 투자CF와 재무CF는 분개로 푸는 게 빨라서 주어진 자료 이용해서 퍼즐 풀 듯이 분개식을 그려 풀며 지금껏 한번도 이런 풀이가 막혔던 적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오늘 24년 우리 모의고사를 풀다가 현금흐름표 투자CF 계산하는 문제가 분개로는 도저히 풀리지가 않아서 당황스러웠는데, 선지 5번에 아주 달콤한 속삭임이 있길래 5번으로 골랐다가 틀렸네요 ㅠ
아래 사진은 이 문제 해설입니다
혹시 이런 유형의 문제는 푸는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해설 보고도 이해가 안 가네요 ㅠㅠ
첫댓글 유형자산 10,000 | 재평가잉여금 5,000
감가비 13,000 | 처분이익 4,000
이렇게 하면 대변이 14,000원 부족하니까 순현금유출액이 나옵니다. 여기선 순현금유출액을 물어봤기때문에 각 계정의 변동액을 통해 순현금흐름을 역산할 수 있습니다. 마치 자산부채의 변동액을 통해 자본의 변동액을 구하는 논리랑 비슷하죠. 영업활동현금흐름에서 자산부채의 변동을 통해 현금흐름을 찾는 논리도 이와 동일합니다. 다만, 이건 순현금흐름만 물어보기때문에 쓸 수 있는 방법이고, 총유출액과 총유입액을 구분해서 물어본다면 자료부족이 맞습니다
아하 순현금흐름을 물어보았기 때문에 차변에는 비현금자산의 변동액, 대변에는 부채와 자본의 변동액을 넣으면 결국 남는 변동액은 현금의 변동액이군요! 현금유입액과 현금유출액을 묻는다면 이 문제는 풀 수 없는 게 맞지만 그 둘을 합친 순현금흐름은 구할 수 있네요. 역시 재무회계 핵고수 bzong20 당신은 대체...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도 하나 배워갑니다
@엽떡에 오이를 넣어 먹어봐요 네 그리고 꼭 차변에는 자산이 오고, 대변에는 부채나 자본이 올 필요는 없습니다. 자산 증가나 부채/자본 감소는 차변에, 자산 감소나 부채/자본 증가는 대변에 오기 때문이죠. 남은 공부도 화이팅하세요!
@bzong20 감사합니다! 이런 유형의 현금흐름표 문제도 익혀놓고 정리해놔야겠어요. Bzong님도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