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쇼와의 날' '환율 개입'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최대한 했지만… 일본은행에 요구되는 '땜질식' 아닌 '개혁' 시나리오 / 5/7(화) / 현대 비즈니스
◇ 역사적인 엔저
도쿄시장이 휴장했던 쇼와의 날(4월 29일) 오전 10시를 넘어서면서 외환시장에서는 엔화 환율이 역사적인 엔화 약세에 흔들렸다. 우선, 미 달러에 대해서, 전일대비로 한때 6엔 가까이나 급락해, 대략 34년만의 최저치인 1달러=160엔 24전까지 내린 것이다.
이날과 5월 1일, 각각 엔화는 급락하는가 하면, 1달러=154엔대, 153엔으로 엔고 방향으로 크게 반전하기도 해, 시장은, 당국이 각각 5조엔, 3조엔 규모의 환개입을 단행했다고 보고 있다.
움직임이 거칠었던 만큼 대중매체의 보도도 뜨겁게 달아올랐다. 그 중에서도 눈에 띈 것은, 「외화 준비 중, 개입에 사용할 수 있는 실탄은 얼마나 있는가」라든가 「개입 효과는 한정적」 「엔 매수 개입은 시간벌기」라고 하는 개입의 수법이나 시비를 논하는 논의와, 일본은행에 「향후, 압력이 강해질 전망이다」라고 금리 인상의 앞당김을 요구하는 톤이다. 배경에는, 엔저의 방아쇠가, 4월 26일에 우에다 카즈오·일본은행 총재가 발언한 「지금으로서는 기조적인 물가 상승률에의 큰 영향은 없다」라고 하는 말로, 이것이 엔저의 용인이라고 받아들여진 것이었던 만큼, 총재 발언에의 초조함도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언론의 이 같은 재촉은 환율 개입이나 금리 인상이 엔저라는 중병에 대한 대처요법에 불과하다는 시각을 결여하고 있다.
오히려 이번에야말로 과거의 미봉책을 반성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거국적으로, 엔저의 주된 원인으로 여겨지는 일미간의 금리 격차를 일으키고 있는, 잠재 성장력의 낮음의 해소에 임하는 각오를 나타내, 조기에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겨, 엔의 선저 기대를 불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시도한 투기꾼도, 방위로 돌아선 정부 일본은행도, 거래량이 적고, 가격이 크게 변동하기 쉬운, 일본의 대형 연휴를 노린 것은 분명하다.
1막은 첫머리에서도 언급했듯이 4월 29일 월요일이다. 보도에 의하면, 아시아의 외환 시장에서, 1달러=158엔대 전반으로 추이하고 있던 엔은, 일본 시간의 오전 10시 반 지나에 단번에 엔저로 흔들려, 한때, 1990년 4월에 기록한 대달러의 최저가 160엔 35전 이래, 실로 34년만에 1달러=160엔 24전까지 내렸다.
그런데, 오후 1시가 넘어서자 일전해 엔고 방향을 향해, 역시 155엔대까지 되돌렸다. 이 역시 보도 기준이지만 이 시간대에 5조엔 규모의 환거래가 있었다고 말하는 환딜러도 있었다.
이어 오후 3시경 정부중앙은행을 시험하듯 다시 157엔대까지 내려갔다가 오후 4시가 넘어서야 154엔대까지 올랐다.
객관적으로 보면 정설대로 쇼와의 날 개입은 효과가 오래가지 않았다. 2일 후인 5월 1일에는, 뉴욕 외환 시장에서 엔 시세가 1달러=157엔대가 된 것이다. 이 움직임에 대해서, 정부·일본은행은 일련의 엔저 국면에서 2번째가 되는 엔 매수·달러 매도 개입을 단행해, 153엔대까지 되돌렸다, 라고 되어 있다.
이 두 번째 개입은 타이밍도 특이했다. 파월 연준 의장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후 기자회견에서 "다음 정책금리 움직임이 인상될 가능성은 낮다"며 엔화 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였던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강조했다. 이 말을 받고, 엔 시세가 1달러=157엔 딱 부근까지 엔고 방향으로 흔들린 타이밍을 포착해, 엔 매수 개입이 들어갔다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매도되었을 때가 아니라, 소강상태를 되돌렸을 때에, 여세를 몰아 엔고로 유도하려고 시도하는 개입을 단행했다고 할 수 있는 것부터, 이러한 패턴은 드물다고 하는 것이다.
◇ 대중매체의 논조는?
지금까지, 일본은행 공표의 당좌 예금 잔고 전망으로부터 추정되고 있을 뿐, 스즈키 재무대신이나 칸다 재무관 등은 노코멘트를 밀고 있어 정부 일본은행이 개입의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잇따른 것으로 알려진 환율 개입에 대해 언론이 개입의 규모나 효과에 대한 논증 등과 함께 열심히 보도한 것은 오히려 냉랭하고 부정적인 측면이었다.
즉, 투하할 수 있는 자금은 유한하며, 개입할 수 있는 횟수를 제약한다는 포인트 등을 보도하는 매스미디어가 많았던 것이다. 그 주장의 근거는, 엔저 국면에서 실시하는 엔 매수·달러 매도 개입에는, 매각하는 달러 자금이 필요하다는 점에 있었다.
설명하자면 엔화 약세 저지를 위해 쓸 수 있는 자금은 외환특회 외환보유액이다. 특회에는 올 3월 말 기준으로 약 200조엔의 외환보유액이 있지만 실제로 외환개입에 투입할 수 있는 금액은 이 중 20% 정도로 알려져 있다는 점을 근거로, 현 국면의 두 차례 개입에 이미 8조엔 이상의 자금을 썼다면 (외환보유액의) 나머지는 (32조엔 미만이고) 실시할 수 있는 개입 횟수는 8회 정도 남았다는 식의 보도가 TV 뉴스와 신문지상을 떠들썩하게 했다. 대부분 환율 개입은 효과에도, 자금에도 한도가 있어 그리 많은 것을 기대할 수 없다고 시사했다.
또 하나 눈에 띈 것은, 이러한 논의의 연장선상의 문제로서, 급격한 엔저에 따라, 일본은행에 의한 추가 금리인상의 앞당길 필요가 있지 않은가 하는 재촉 기사였다.
과거 며칠, 텔레비전의 보도 프로그램이 「엔저로 추가 금리 인상의 앞당김은 있는가」라고 하는 테마를 내걸거나 신문이나 넷 매체가 「일본은행은 지금까지의 완화적인 금융 환경을 당분간 유지한다」라고 하는 자세의 수정을 재촉당할 것 같아 왔다」라고 전하거나 「우선 일어나지 않는다고 보여지는 리스크 시나리오에 지나지 않았던 「 「7월 앞당김」설이 현실미를 띠기 시작했다」라고 하는 이코노미스트의 코멘트등을 소개하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그러한 논조와 비교하면, 필자는, 환율 개입에도, 금리 인상의 앞당김에도 결코 부정적인 입장은 아니다. 모두 필요하다면 과감하게 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오히려 이번 1차 환율 개입에 대해서는 절묘한 타이밍이었다고 평가할 정도다. 그것은, 투기꾼이 도쿄 시장 휴장으로 전체적으로 거래가 적은 가운데, 엔을 팔아 치기 쉽다고 노려 보고 시도해 왔다면, 반대로도 가능하다. 박판이라서 되돌리기 쉽다고 보고, 최근, 신중하게 개입의 타이밍을 엿보고 있던 정부 BOJ가 움직인 것은 대체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환율 개입에 시장의 흐름을 바꿀 만한 힘은 없으며 대부분 일시적 견제로 끝난다는 것은 과거의 교훈에서 얻은 경제 상식 중 하나다. 이번에도, 그 영역은 아니었다. 그러나 쇼와의 날 순간적인 사건이라고는 하지만 환율 개입으로 5엔 안팎이나 되밀었던 기세는 만만치 않다. 투기꾼들에게 정부 일본은행의 결의는 보여줄 수 있었을 것이고, 할 수 있는 것은 최대한 잘했다고 말해도 좋을 것이다.
게다가 금리 인상의 앞당김에 대해서도 필자는, 그 필요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보고 있다. 왜냐하면, 우에다 일본은행은 금년 3월, 마이너스 금리 정책의 해제를 단행해, 17년만의 금리인상을 단행했다고는 하지만, 정책금리인 무담보 콜 익일물 금리의 유도 목표는 00.1%정도로 여전히 극단적으로 낮은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애초부터 금융정책 정상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느꼈지만 최근 미국에서는 물가 진정 지연으로 금리 인하 전환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즉, 일미간의 금리 격차의 시정이 종래의 예측보다 늦어진다고 하는 견해가 시장의 컨센서스가 되는 가운데에서는, 일본은행이 금리인상을 앞당기지 않으면, 투기꾼을 기세를 올릴 수 있는 리스크가 커졌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 발본책이 더욱 중요하게
요즘 같은 급격한 엔저의 심각한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이런 경우 반드시 반론이 있기 때문에 보충해 두지만, 확실히, 엔저는 엔화로 수출하는 기업이나, 엔저로 늘어나는 외국인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는 관광, 숙박, 음식, 소매 등의 산업에는 특수라는 일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식품이나 의류, 에너지라고 하는 산업에 있어서는, 원재료의 수입 코스트가 급등해 경영의 압박을 면치 못한다. 특히 중소기업 상당수는 원자재 가격 급등을 제품 가격에 충분히 전가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개인도, 외화로 많은 돈을 굴리는 특별한 자산가도 아닌 한 대부분의 일반 개인에게 엔화 약세는 가혹한 가계 압박 요인일 뿐이다.
여기서 가장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은, 이러한 엔저의 곤경을 회피 또는 완화하기 위해, 환율 개입이나 금리인상의 앞당김이 필요해, 실시를 단행한다고 해도, 그러한 대책이 구조적인 엔저의 흐름을 반전시킬 만한 힘은 없다는 것이다.
일례로 앞당김을 포함해 일본은행이 금리인상을 2, 3회 정도 진행한다고 해도 일본의 정책금리 도달점은 0.5%~0.75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2024년)와 내년(2025년) 일본의 실질 성장률을 각각 0.9%와 1.0% 정도로 보고 있다. 이런 낮은 성장 전망이 있는 이상 그 수준을 웃도는 수준으로 정책금리를 올리는 것은 통화정책의 선택지로 있을 수 없다. 즉 인상되는 정책금리의 폭에는 스스로 제약이 있다.
반면 미국의 정책금리는 5.25~5.5%다. 미국에서는 최근, 고물가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금년 6월에도 행해질 것이라고 여겨졌던 금리 인하가, 금년 가을이나 내년 이후로 어긋난다고 하는 견해가 강해지고 있다.
다시 말해 미일 간 금리 격차 축소는 당분간 거의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두 나라의 금리 격차에 주된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엔화 약세는 앞으로도 당분간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온존하게 된다.
거기서 쳐야 할 수 있는 방법은, 환율 개입이나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의 앞당김이라고 하는 대증 요법적인 대책만으로는 결코 아니고, 일미간의 금리 격차의 배경에 있는 양국의 잠재 성장력의 격차를 메우는 발본책이 보다 중요하게 된다.
역대 총리들이 시도 때도 없는 정권부양책으로 강구해온 식의 선심잡기나 퍼주기식 대형 경제대책이 아니라 거품경제 붕괴 이후 방치된 근본적인 성장력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
비교적 최근의 경우로 말하면, 전회, 2022년 10월의 엔저 국면의 직후인 같은 달 28일의 임시 각의에서, 키시다 총리가 결정한, 고물가 대책이 주안의 종합 경제 대책 등은 최악의 패턴의 하나였다.
그 뒷받침이 되는 2022년도 제2차 추가경정예산안은, 일반 회계로 29조1000억엔을 계상했다. 아베 정권 말기인 2020년도부터 스가 정권, 기시다 정권 3년간 통산 5번째로 파격적인 대형 경제대책이었다. 일반회계에 재정투융자 등을 포함한 재정지출은 39조엔. 여기에 민간투자 등을 더한 사업 규모는 72조엔으로 불어났지만 기시다 총리를 포함해 여권 정치인 상당수가 이 규모가 큰 것만 보면 된다며 가슴을 펴고 있었던 점은 한심하기 짝이 없었다.
◇ 개혁 시나리오
중요한 것은 39조엔이라는 재정지출 가운데 가장 큰 것이 전체의 3분의 1에 가까운 '고물가-임금 인상 대응'인 12조 2000억엔이었다면 생각나는 독서도 많을 것이다. 이것은, 지구 온난화 대책을 위해서 본래는 절약을 진행했어야 할 전기료나 가스비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등에, 거비를 투자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업용 요금을 후하게 지원하는 내용이었다. 국비를 뿌려 절전과 에너지 절약을 방해하겠다는 우책이었던 것이다. 당시, 전술의 국제기구 IMF도, 이러한 정책을 혹독하게 비판하고 있었다.
덧붙여서, 그때는, 기시다 정권에 있어서, 구통일 교회 문제를 단서로, 눈을 가리기만 했던 지지율의 저하에 브레이크를 거는 것에, 대형의 경제 대책이 이용된 것은 기억에 새롭다.
그리고 이번에는 엔화 약세가 일어나기 어려운 성장력 회복을 중점적으로 해야 할 때인데도 또다시 대형 경제대책이 정치자금 파티 관련 비자금 문제를 외면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다시는 그런 일을 용납하지 않는 식견을 국민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지면도 다했지만, 성장 전략으로서 무엇을 해야 할까.노포의 민간 싱크 탱크인 일본 경제 연구 센터가 3월에 공표한 이코노미스트 리포트가 그 점을 잘 알고 있으므로, 간단하게 소개해 두자.
그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표준 시나리오에 의하면, 일본은 현 상태 그대로, 발본적인 개혁을 실현하지 못하고, 2031년도부터 5년간의 실질 성장률이 「마이너스 목전에 빠진다」라고 한다.
이에 반해, 생성 AI의 활용에 의한 생산성의 향상이나, ⾼연령자의 노동 참가율 향상에 의한 일손 부족의 해소, 그리고 탈탄소를 새로운 수익 분야로서 도입하는 것 등에 모조리 성공할 수 있다면, 현재 수준의 실질 성장률 1% 정도의 「개혁 시나리오」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번 역사적 엔저는 다시 한번 우리가 게을리 해 온 근본 개혁의 중요성을 상기시켜 준 것으로 받아들여 실효 있는 근본책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치다 토오루(경제 저널리스트)
https://news.yahoo.co.jp/articles/fda7c0e54913ea00142676152949fab63fcf7064?page=1
「昭和の日」の「為替介入」でできることは最大限やったが…政府日銀に求められる「その場しのぎ」ではない「改革」のシナリオ
5/7(火) 7:03配信
14
コメント14件
現代ビジネス
歴史的な円安
photo by gettyimages
東京市場が休場だった「昭和の日」(4月29日)の午前10時過ぎ、外為市場では、円相場が歴史的な円安に揺れた。まず、米ドルに対し、前日比で一時6円近くも急落し、およそ34年ぶりの安値である1ドル=160円24銭まで下げたのである。
【マンガ】「長者番付1位」になった「会社員」の「スゴすぎる投資術」の全容
この日と5月1日、それぞれ円は急落したかと思えば、1ドル=154円台、153円と円高方向に大きく反転する場面もあり、市場は、当局がそれぞれ5兆円、3兆円規模の為替介入に踏み切ったとみている。
根動きが荒かっただけに、マスメディアの報道もヒートアップした。中でも目立ったのは、「外貨準備のうち、介入に使える実弾はいくらあるのか」とか「介入効果は限定的」「円買い介入は時間稼ぎ」といった介入の手法や是非を論じる議論と、日銀に「今後、圧力が強まる見通しだ」と利上げの前倒しを求めるトーンである。背景には、円安の引き金が、4月26日に植田和男・日銀総裁が発言した「今のところ基調的な物価上昇率への大きな影響はない」という言葉で、これが円安の容認と受け止められたことだっただけに、総裁発言への苛立ちもあったのだろう。
しかし、マスメディアのそうした催促は、為替介入や利上げの前倒しが「円安という重い病」に対する対処療法に過ぎないという視点を欠いている。
むしろ、今度こそ過去の彌縫策を反省することを求められている。国を挙げて、円安の主因とされる日米間の金利格差を引き起こしている、潜在成長力の低さの解消に取り組む覚悟を示し、早期に具体的な行動に移り、以って、円の先安期待を払しょくする必要があるはずなのである。
仕掛けた投機筋も、防衛に回った政府日銀も、取引量が少なく、価格が大きく変動しやすい、日本の大型連休を狙ったことは明らかだ。
第一幕は、冒頭でも触れたように、4月29日の月曜日だ。報道によると、アジアの外国為替市場で、1ドル=158円台前半で推移していた円は、日本時間の午前10時半すぎに一気に円安に振れ、一時、1990年4月に記録した対ドルの最安値160円35銭以来、実に34年ぶりに1ドル=160円24銭まで下げた。
ところが、午後1時過ぎになると一転して円高方向に向かい、同じく155円台まで戻した。これも報道ベースだが、この時間帯に、「5兆円規模の為替取引があった」と話す為替ディラーもいた。
さらに、午後3時頃、政府日銀を試すかのように、再び、同157円台まで円安方向に戻ったものの、午後4時過ぎには同154円台まで値上がりした。
客観的に見れば、定説通り、「昭和の日」の介入は効果が長続きしなかった。2日後の5月1日には、ニューヨーク外国為替市場で円相場が1ドル=157円台となったのである。この動きに対して、政府・日銀は一連の円安局面で2度目となる円買い・ドル売り介入に踏み切り、153円台まで押し戻した、とされている。
この2度目の介入は、タイミングもユニークだった。というのは、米連邦準備理事会(FRB)のパウエル議長が連邦公開市場委員会(FOMC)後の記者会見で、「次の政策金利の動きが引き上げになる可能性は低い」と、大幅な円安要因になりかねないと見られていた米国の利上げの可能性が薄いと強調。この言葉を受けて、円相場が1ドル=157円ちょうど付近まで円高方向に振れたタイミングを捉えて、円買い介入が入ったとされているからだ。売り叩かれた時でなく、小康状態を戻し戻した時に、余勢をかって円高に誘導しようと試みるような介入に踏み切ったと言えることから、こうしたパターンは珍しいというのである。
マスメディアの論調は?
photo by gettyimages
これまでのところ、日銀公表の当座預金残高見通しから推定されているだけで、鈴木財務大臣や神田財務官らはノーコメントを押し通しており、政府日銀が介入の事実を公式に認めたわけではない。
が、それでも相次いだとされる為替介入について、マスメディアが介入の規模や効果を巡る論証などと並べて熱心に報じたのは、どちらかと言えば、冷ややかでネガティブな側面だった。
つまり、投下できる資金は有限であり、介入できる回数を制約するというポイントなどを報じるマスメディアが多かったのだ。それらの主張の根拠は、円安局面で行う円買い・ドル売り介入には、売却するドル資金が必要となる点にあった。
説明すると、円安阻止のために費やすことが可能な資金は、外為特会の外貨準備である。特会には今年3月末時点で約200兆円の外貨準備があるものの、実際に為替介入に投入できる金額はこのうちのせいぜい20%くらいとされていることを根拠に、今局面の2回の介入にすでに8兆円以上の資金を費やしたとすれば、「(外貨準備の)残りは、(32兆円弱であり、)実施できる介入回数は、あと8回ぐらい」といった調子の報道が、テレビのニュースや新聞紙上を賑わせた。ほとんどが、為替介入は、効果にも、資金にも限度があり、それほど多くを期待できないと示唆していた。
もう一つ目立ったのは、こうした議論の延長線上の問題として、急激な円安を受けて、日銀による追加利上げの前倒しが必要ではないのか、という催促記事だった。
過去数日、テレビの報道番組が「円安で追加利上げの前倒しはあるのか」といったテーマを掲げたり、新聞やネット媒体が「日銀はこれまでの緩和的な金融環境を当面維持する」という姿勢の修正を迫られそうになってきた」と伝えたり、「まず起きないとみられるリスクシナリオに過ぎなかった『「7月前倒し』説が現実味を帯びてきた」といったエコノミストのコメントなどを紹介する動きが活発だった。
そうした論調と比べると、筆者は、為替介入にも、利上げの前倒しにも決して否定的な立場ではない。いずれも、必要に迫られれば、果敢に実施すべきだと考えている。
それどころか、今回の1回目の為替介入については、絶妙のタイミングだったと評価しているほどだ。というのは、投機筋が東京市場休場で全体として取引が少ない中にあって、円を売り叩き易いと睨んで仕掛けてきたのならば、逆も真なりだ。薄商いで押し戻し易いと見て、このところ、慎重に介入のタイミングをうかがっていた政府日銀が動いたのはおおいに理解できる。
もちろん、為替介入に市場の流れを変えるほどの力はなく、ほとんどが一時的なけん制で終わるというのは、過去の教訓から得た経済の常識のひとつだ。今回も、その域はでなかった。しかし、「昭和の日」の一瞬の出来事とはいえ、為替介入で、5円前後も押し戻した勢いはなかなかのものだ。投機筋に、政府日銀の決意は示せたはずで、できることは最大限うまくやったと言ってもよいだろう。
さらに、利上げの前倒しについても、筆者は、その必要性が一段と高まってきたとみている。なぜならば、植田日銀は今年3月、マイナス金利政策の解除に踏み切り、17年ぶりの利上げに踏み切ったとはいえ、政策金利である無担保コール翌日物金利の誘導目標は0~0.1%程度と依然として極端に低い状態にあるからだ。
それゆえ、筆者は当初から金融政策の正常化を急ぐべきだと感じていたわけだが、ここへ来て、米国では、物価の沈静化の遅れから、利下げ転換が遅れる可能性が高まっている。つまり、日米間の金利格差の是正が従来の予測より遅れるとの見方が市場のコンセンサスになる中では、日銀が利上げを前倒ししないと、投機筋を勢い付かせかねないリスクが大きくなってきたと見なさざるを得ない。
抜本策がより重要に
photo by gettyimages
昨今のような急激な円安の深刻な影響は無視できない。こういうと必ず反論があるので補足しておくが、確かに、円安は円建てで輸出する企業や、円安で増える外国人観光客を取り込んでいる観光、宿泊、飲食、小売りなどの産業にとっては特需という一面を持っている。
しかし、食品や衣料品、エネルギーといった産業にとっては、原材料の輸入コストが急騰して経営の圧迫を免れない。特に、中小企業の多くは、原材料価格の高騰を製品価格に十分転嫁できないとされる。加えて、個人でも、外貨で多くを運用しているような特別な資産家でもない限り、大半の一般の個人にとって、円安は過酷な家計の圧迫要因でしかない。
ここで最も注意する必要があるのは、こうした円安の苦境を回避もしくは緩和するため、為替介入や利上げの前倒しが必要になり、実施に踏み切ったとしても、それらの対策が構造的な円安の流れを反転させるほどの力はないということだ。
一例を挙げれば、前倒しを含めて、日銀が利上げを2、3回程度進めたとしても、日本の政策金利の到達点は0.5%~0.75程度にとどまるだろうということだ。
国際通貨基金(IMF)は、今年(2024年)と来年(2025年)の日本の実質成長率をそれぞれ0.9%と1.0%程度とみている。こうした低い成長見通しがある以上、それを上回るような水準に政策金利を引き上げることは、金融政策の選択肢としてあり得ない。つまり、引き上げられる政策金利の幅には、自ずから、制約がある。
一方で、米国の政策金利は5.25~5.5%だ。米国では昨今、物価高がなかなか沈静化せず、今年6月にも行われると見られていた利下げが、今年秋か来年以降にズレ込むとの見方が強まる一方だ。
言い換えれば、日米間の金利格差の縮小は、当面、ほとんど期待できないということである。この結果、両国の金利格差に主因があるとされる円安は今後も当分の間、発生し易い環境が温存されることになる。
そこで打たなければならない手は、為替介入や日銀の利上げの前倒しといった対症療法的な対策だけでは決してなく、日米間の金利格差の背景にある両国の潜在成長力の格差を埋める抜本策がより重要になってくる。
歴代総理が時々の政権浮揚策として講じてきたような人気取りやバラマキに巨費を投じるような大型経済対策ではなく、バブル経済の崩壊以来放置されてきた抜本的な成長力の強化策こそが求められるのだ。
比較的最近のケースで言えば、前回、2022年10月の円安局面の直後である同月28日の臨時閣議で、岸田総理が決めた、物価高対策が主眼の総合経済対策などは最悪のパターンのひとつだった。
その裏付けとなる2022年度第2次補正予算案は、一般会計で29兆1000億円を計上した。安倍政権末期の2020年度から菅政権、岸田政権の3年間で、通算5度目となる破格の大型経済対策だった。一般会計に財政投融資などを入れた財政支出は39 兆円。さらに民間投資などを加えた事業規模は72兆円と膨らんだが、岸田総理を含めて、与党の政治家の多くが、この規模の大きいことだけを捉えて良いことだと言い、胸を張っていた点は情けない限りだった。
改革のシナリオ
肝心の中身では、39兆円という財政支出の中で、最も大きいのが全体の3分の1近い「物価高・賃上げ対応」の12兆2000億円だったと言えば、思い出す読書も多いはずだ。これは、地球温暖化対策のために本来は節約を進めるべきだった電気代やガス代の負担を軽減するためなどに、巨費を投じるものだったからだ。しかも、企業向け料金を手厚く支援する内容だった。国費をバラまいて、節電や省エネを妨げるという愚策だったのである。当時、前述の国際機関IMFも、こうした政策を手厳しく批判していた。
ちなみに、あの時は、岸田政権にとって、旧統一教会問題を端緒に、目を覆うばかりだった支持率の低下に歯止めをかけることに、大型の経済対策が利用されたことは記憶に新しい。
そして、今回は、円安が起きにくい成長力の回復を主眼にすべき時にもかかわらず、またしても大型の経済対策が政治資金パーティ関連の裏金問題から目をそらすために利用されかねない状況だ。
二度とああしたことは許さない見識を国民も求められているのである。
紙幅も尽きたが、成長戦略として何をすべきか。老舗の民間シンクタンクである日本経済研究センターが3月に公表したエコノミストリポートがその点に詳しいので、簡単に紹介しておこう。
その最も実現可能性が高い標準シナリオによると、日本は現状のまま、抜本的な改革を実現できず、2031年度から5年間の実質成長率が「マイナス目前に陥る」という。
これに対して、生成AIの活用による生産性の向上や、⾼齢者の労働参加率向上による人手不足の解消、そして脱炭素を新たな収益分野として取り込むことなどにことごとく成功できれば、現状並みの実質成長率1%程度の「改革シナリオ」を維持できるというのである。
今回の歴史的円安は、改めて、我々が怠ってきた抜本改革の重要性を思い起こさせてくれたものと受け止めて、実効ある抜本策を講じることが重要なのである。
町田 徹(経済ジャーナリス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