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지하철,광주지하철 1호선 일평균 승객수(승하차합계) | |||||||
대전지하철 |
광주지하철 | ||||||
역명 |
승객 |
순위 |
역명 |
역명 |
승객 |
순위 |
역명 |
판암 |
8,150 |
1 |
대전역 |
녹동 |
110 |
1 |
금남로4가 |
신흥 |
3,462 |
2 |
서대전네거리 |
소태 |
4,063 |
2 |
상무 |
대동 |
8,220 |
3 |
시청 |
학동,증심사입구 |
4,339 |
3 |
남광주 |
대전역 |
18,390 |
4 |
중앙로 |
남광주 |
8,648 |
4 |
문화전당 |
중앙로 |
11,422 |
5 |
용문 |
문화전당 |
8,492 |
5 |
운천 |
중구청 |
4,146 |
6 |
유성온천 |
금남로4가 |
11,181 |
6 |
쌍촌 |
서대전네거리 |
12,334 |
7 |
정부청사 |
금남로5가 |
4,508 |
7 |
송정공원 |
오룡 |
6,500 |
8 |
대동 |
양동시장 |
4,117 |
8 |
농성 |
용문 |
11,364 |
9 |
판암 |
돌고개 |
3,410 |
9 |
금남로5가 |
탄방 |
7,148 |
10 |
탄방 |
농성 |
4,856 |
10 |
화정 |
시청 |
11,914 |
11 |
월평 |
화정 |
4,425 |
11 |
학동,증심사입구 |
정부청사 |
8,270 |
12 |
오룡 |
쌍촌 |
6,054 |
12 |
송정리 |
갈마 |
5,674 |
13 |
갈마 |
운천 |
6,184 |
13 |
양동시장 |
월평 |
6,732 |
14 |
노은 |
상무 |
8,819 |
14 |
소태 |
갑천 |
1,928 |
15 |
구암 |
김대중컨벤션센터 |
1,611 |
15 |
돌고개 |
유성온천 |
9,776 |
16 |
반석 |
공항 |
2,517 |
16 |
도산 |
구암 |
5,140 |
17 |
지족 |
송정공원 |
5,479 |
17 |
공항 |
현충원 |
2,316 |
18 |
중구청 |
송정리 |
4,213 |
18 |
평동 |
월드컵경기장 |
3,884 |
19 |
월드컵경기장 |
도산 |
2,728 |
19 |
김대중컨벤션센터 |
노은 |
5,600 |
20 |
신흥 |
평동 |
1,820 |
20 |
녹동 |
지족 |
4,712 |
21 |
현충원 |
합계 |
97,574 |
평균 |
4,879 |
반석 |
5,020 |
22 |
갑천 |
|
|
|
|
합계 |
162,102 |
평균 |
7,368 |
|
|
|
|
자료는 2008년 5월기준이며 출처는 대전광역시,광주광역시 도시철도공사홈페이지입니다.
승하차 자료가 없어서 승차인원에 X2를 하였습니다.
첫댓글 녹동역 많이 늘었군요. 하루 이용객이 평균 40~60명 정도라고 들었었는데...
광주가 노선이 참 안타깝네요 진짜 역별 평균도 그렇구요
이니그마 // 대전과는 달리 전구간이 개통되고 한 달 후의 통계이기 때문에 적어도 내년까지는 추이를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대전지하철 전구간 완공 이후 수요가 2배로 늘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광주 또한 머지않아 크나큰 상승폭을 그릴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헉 그렇군요 한달 정도 밖에 안됐네요 전 그냥 많이 탔으면 하는 바람에.........^^
광주지하철은 녹동역을 빼면 평균이 급증하는데...
급증은 아니네요 5,130정도 되요^^
그래도 연장개통전에 비하면 매우 많이 늘어난 것 같습니다. 예전엔 만명은 커녕 5000명 넘기는 역이 상무역 달랑 하나에다가 대부분의 역이 1000~2000명대였는데, 지금은 5000명 이상 역이 무려 (녹동-상무구간 중에)6개나 되고, 기타 다른역들도 상승세가 눈에 띕니다.
아마 3개월 이후에는 금남로, 송정리역 등 주요 역들은 10000명대를 넘을것 같습니다.
두 노선 모두 연장 논의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는데(대전 : 북측의 행정도시 방향으로, 광주 : 서남측의 나주 방향과 동남측의 화순 방향으로)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중거리수요의 유치로 지금보다는 낫겠지요...
솔직히...광주는 돈벌자는 노선인지 뭔지 모르겠습니다 ㅡ;....상무에서 사실상 광주시가지는 끝나는건데...송정리에 집착하다가 노선 진짜좀 이상하게 짯다는 느낌이 많이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