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주 통변에서 공통적인 특성 - 펌♡
1) 명식에 충이나 형이 있으면 파란이나 변화가 많은 사람이다.
2) 일반적으로 명식이 한습하거나 난조하면 육친간의 결함이 있거나 신체의 이상이 있으며 성격도 편성에 흐른다.
3) 기후가 완비되면 처자가 갖추어져 있으나 종격의 일방적인 기세로 격을이룬 명은 길흉의 진폭에 차이가 크다.
4) 생지인 인신사해의 지장간이 차지하는 비율 중 인은 갑이 6 할, 병이4 할, 신은 경이 6 할, 임이 4 할, 사는 병이 6 할, 경이 4 할, 해는 임이 6 할, 갑이 4 할씩을 각각 차지한다.
5) 인월생은 아직 겨울의 한기가 남아 있는 계절로서 따뜻한 방위인 목화의 방위로 운이 진행함을 요하며 용신 역시도
따뜻한 것을 취함이 많다.
6) 유는 더운 작용을 묘는 습한 작용을 많이 받는다.
7) 격국이 좋은 명일 때 용신이 금·화·토·수라면 대운에서
경진과 신사는 금의 작용을 하고 병술과 정해는 화의 작용을 하며 무자와 기축은 토의 작용을 하고 임진과 계사는 수의작용을 하지만 격국이 이치에 어긋난 명은 이러한 작용을 받지 못한다.
8) 육신중 3위 이상이면 태과한 것이 되어 식신·인수·정관·재성 등의 사길신도 흉신으로 변한다.
그러므로 태과할 때는 구태어 육신으로 나눌 필요가 없다.
예컨대 식신이 많으면 여명에는 자식으로서 부를 나타내는
정관을 강하게 극하므로 인해서 해가 나타나게 되고,
남명에서는 정관이 녹 및 명예를 상징하므로 이에 대한 작용도 같다.또 일주의 기를 설기함이 과하니 신체 허약이나 언어의 과다누설로 구설이 많고 식상이 생하는 재의 해도 같이 일어남을 알아야 한다.
이럴 때는 과다한 식상을 제하는 인성이 희신이 되므로 이 경우는 조상의 덕·부나 귀인의 도움·문서관계에 의한 길함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일부분의 육신에 얽매이면 그릇됨이
많으니 잘 살펴야 할 것이다.
9) 질병에는 오행인 목화토금수 중에서 어느 오행이 기신이
되느냐에 따라 신체 해당부분이나 오장이 발병하는 것이다.
목은 풍이니 간이고, 화는심과 소장이며, 토는 비와 위이고,
금은 폐와 대장이며, 수는 신과 방광을 뜻한다.
10) 남명은 양일에 태어남이 좋고 여명은 음일에 태어남이 가급적 좋은데 양일은 외향적이고 음일은 내향적인 성질을 갖추게 된다.
11) 연주에 식신이 있으면 조상이 부유 하고 일지에 재가 있으면 처의 내조가 있다는 해설이 있으나 그것은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고 기신이나 희신이냐에 따라서 변하므로 잘 살펴서 판단해야 한다.
12) 금이 많으면 살을 좋아하고 수가 많으면 색을 좋아한다.
13) 인수격에 관이 없으면 고한의 고라 하여 기예는 향상되나 고위직에 오르지 못한다.
14) 지지용신은 귀가 적고 생년에서 생일을 형하면 타향살이 한다.
15) 정재가 고에 있으면 인색하고 정재가 묘에 있어도 같다.
16) 간합이나 지합 등 합이 많으면 조혼 아니면 만혼이며 남자는 외교관이나 중개업자와 같은 직업이 좋으나, 여자는 음란하여 좋지 않다.
17) 음일생 편재에 관이나 인이 없는것은 고음이라 하여 공상만을 일삼는 사람이다.
18) 경신금을 용할 때 자운을 만나면 사망하는 일이 많은데 경은 자가 사가 되기 때문이며, 운에서 묘운을 만나도 절이되어 상을 당하는 일이 많다.
19) 일주가 간합이나 지합하는 세운이나 월운에 결혼을 하게 된다.
20) 편인이 월지에 있으면 의사·운명가· 이발사·요리사 등의 직업이 많다.
21) 살이 약한데 식신의 제살이 강하면 학문은 있어도 늦도록 관직이 없으며, 도식인 편인은 부업의 신이나 상관은 산업의 신이다.
22)비겁은 배경, 재성은 재화, 관성은 두뇌, 인성은 지식, 식상은 표현을 의미하기도 한다.
23) 자·오·묘·유가 많으면 호색하고 진축이 많거나 계가 많아도 호색하며 정력이 왕성하고, 화가 많으면 대체로 정력이 약하다.
24) 정화가 용신인데 계수가 많으면 언행이 불일치하고 목일주에 수가 많으면 표류의 명으로 죽어도 관이 없다.
24) 무기일생이 화토가 많아 건조하면 진가색격이 아니다.
25) 천간을 합하고 지지가 충이면 처음은 급하나 뒤는 약하고,
천간을 합하고 지지의 형은 자기경솔로 인하여 일이 실패하거나 남녀 모두 색정의 화가 있다.
26) 간합하고 지지에서 형을 보면 어깨나 다리에 아픈 병이 있게 된다.
27) 식신이 없고 재가 있으면 노력은 하지 않고 재물을 얻으려 하고 천라인 술해와 지망인 진사가 명암이 분명치 않는 자리의 오행으로 명식에 있으면 감옥에 가는 수가 있게 된다
28) 술해가 있으면 종교에 관심이 많고, 무일주가 계천간인데 지지에서 해나 유를 보면 처가 호색하다.
29) 살이 왕하면 차마의 액이 있거나 안면에 흠이 있고 병정화에 수제가 심하면 눈에 이상이 있고, 관성의 재가 많으면 서출자녀가 있을 수 있다.
30) 재관이 합신하면 총각이 자식을 얻고, 재인이 합신하면 모친이 재취이거나 전후모이며, 재식이 합신하면 장모를 봉양한다.
31) 비견이 녹을 얻으면 처에게 외정이있고 정재가 타간과 합하면 맞벌이 부부이거나 바람을 피운다.
32) 재가 많으면 처가 가정을 주사하고 관성이 있으면 공처가이다.
33) 병신이 간합하고 진사를 만나면 의사나 역술의 직업을 가진다. 축미의 상층은 식견이 부족하고 인오술이 있는데 수가 없으면 천화살이라 하여 화재의 액이 있다.
34) 명식에 기·을·사·축이 있으면 곡각살이라 다리에 이상이 있다.
35) 삼합국에 시묘를 만나면 종교에 관심이 많고 여자가 임계일생이나 무자일생은 나이 많은 남편과 인연이 있다.
36) 여명으로 4고인 진술축미는 무자식이 많고, 4 왕지인 자오묘유는 외롭고 음란하며, 4맹지인 인신사해는 변덕이 많고 사랑에 집착한다.
37) 여자의 천원일기격은 외롭거나 파하며 지지일자격은 재혼의 명이다.
38) 여자에 경진, 경술, 임진, 무술인 괴강이 있으면 용모는 아름다우나 고집이 세어 부부간 불화로 사이가 좋지않으며, 이혼·질병이 아니면 자신이 남편을 부양하게 된다.
39) 여자의 재성이 용신이면 용모가 아름답고 천간에 상관이 일위이면 미인이다.
40) 금수상관격이면 미남미녀가 많고, 여자에 진술이 있으면 외로운 규수라 음란하거나 남편을 극한다.
41) 천을귀인이 3개 이상 있으면 첩이나 기생 또는 무당이 되고 상관이나 편인이 중중하면 남편을 등지고 자녀를 버린다.
42) 을사, 계사, 신사, 기해, 정해일에 관성이 나타나면 아기 낳고도 가출하고, 관식이 합신하면 결혼 전에 잉태하거나 남의 자식을 갖게 된다.
43) 식상이 많으면 아이 낳고 이별수요, 관성이 있고 수가 많으면 남편이 술을 좋아하거나 익사한다.
44) 여자에 정재와 인성이 많으면 음란하고, 여명이 한습하면 월경불순·대하증·냉증이 있다.
45) 상관이 왕하고 관성이 없으면 남편이 죽더라도 수절하고, 편인이 많으면 식상을 극하므로 산액이 있다.
https://band.us/band/70926910/post/1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