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레지스트리를 백업하는 방법부터...레지스트리를 백업하려면 scanregw.exe라는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파일은 windows 폴더에 있는데 이것을 수행시키면 레지스트리를 검사한 뒤 알아서 백업해 주는 구실을 하죠.
- 그럼 시작 단추에서 '실행'을 열어 보세요. 단축키는 '윈도우즈 키 + R 키'입니다.
- 입력창이 나타나면 '열기'란에 'scanregw'라고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하세요.
- 잠시 후 레지스트리 검사를 한다는 메시지가 나오면서 이상이 없으면 레지스트리 백업을 수행합니다.
- 이렇게 백업된 데이터는 windows 폴더 아래에 있는 sysbckup 디렉토리에 rb001, rbo02, rbo03식으로 저장되는데 확장자는 *.cab 형태입니다. 기본적으로 5개로 지정이 되어있죠.
- 그리고 새로운 백업 파일이 만들어지면 가장 오래된 파일이 자동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 자, 이제부터는 이러한 백업 파일의 복구 과정을 살펴보죠. 이 작업은 직접 사용자가 작업을 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백업 작업보다는 까다롭습니다. 또한 윈도에서 도스 모드로 빠져나가 하시면 안되고 완전히 처음부터 도스 모드에서 하셔야 안전합니다. 그래도 한글만 안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수준^^
- 이제 시스템을 종료하고 재부팅을 하여 멀티부팅 메뉴로 들어가야 합니다. 보통 F8키를 누르면 되는데, 이 멀티 부팅 메뉴 중에서 5번의 도스 프롬프트 모드(command prompt only)를 선택하여 도스창을 띄웁니다.
- 도스 프롬프트에서 'scanreg/?'라고 입력하고 엔터를 쳐보세요. 옵션 메뉴가 나타나죠. 이중에서 레지스트리를 되살리기 위해서는 'restore'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 이제 'scanreg/restore'라고 입력하면 자신의 레지스트리 백업 파일들이 보이는데 그 중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날짜의 백업 파일을 선택하여 하단의 'Restore...'를 선택합니다.
- 잠시 후 레지스트리 복구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와 함께 컴퓨터를 재 시작하라는 안내문이 나타나죠. 이것으로 레지스트리 복구는 성공적으로 끝난 셈입니다.
|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