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이름은 알수 없으나,
플라나리아[planarian]종류
편형동물문(扁形動物門 Platyhelminthes)의 와충강(渦蟲綱 Turbellaria)
구룡사 오르는 길에 발견(06.8.22)
플라나리아(Planaria)는 한 속(屬)의 이름이며, 플라나리아류라는 명칭은 플라나리아과(─科 Planariidae) 및 이 과에 가까운 여러 과의 구성원들을 지칭한다. 대부분의 플라나리아류는 민물에 있고 때로는 대집단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어떤 종류는 해양성이고, 땅 위에 있는 것들도 있다. 어떤 종류는 기생성이어서 다른 살아 있는 동물의 몸에서 양분을 얻는다.
몸은 연하고 잎 모양이며 섬모가 나 있다. 삽 모양의 머리에는 2개의 눈이 있으며 때로는 촉수가 있다. 꼬리는 뾰족하고, 입은 배쪽, 즉 아래쪽 면에 있는데 흔히 꼬리 쪽으로 몸의 반(半)도 더 지나 있다. 몸의 빈 곳, 즉 체강은 없다. 인두는 입에서 내밀 수 있으며 창자에서 끝나는데, 창자는 보통 뒤가 막혀 있다. 길이는 보통 3~15㎜이며, 어떤 것들은 30㎝ 이상 자란다. 열대산 종(種)들은 흔히 체색이 화려하다. 북아메리카산 두게시아속(Dugesia)의 종류들은 검은색·회색·갈색을 띤다.
플라나리아류는 파동운동으로 헤엄치거나 민달팽이처럼 긴다. 대부분은 육식성이고 밤에 먹이를 먹는데 먹이는 원생동물, 미소한 복족류, 벌레들이다. 모두 자웅동체(기능을 하는 양 성[兩性]의 생식기관이 같은 개체에 들어 있음)이며, 생식기관은 초가을에 발달하기 시작한다. 수정란을 지니고 있는 고치는 봄에 만들어지며, 완전히 발생한 어린 것이 이 고치에서 나와 변태(즉 근본적인 변화) 없이 자란다. 플라노케라속(Planocera)에서는 유생단계를 알상자 안에서 보낸다.
어떤 종은 고치 안에 있는 생물이 2부분으로 나뉜 다음 그 각각이 완전한 개체로 발달한다. 미크로스토뭄속(Microstomum)에서는 싹(bud)이라고 하는 새 개체들이 다른 개체들의 꼬리 끝에 생겨 얼마 동안 모체에 붙어 있을 수 있는데, 때로는 3~4개의 싹으로 이루어진 연속체가 나타난다. 플라나리아류는 잃은 부분을 재생하는 능력이 뛰어나 실험실에서 실험용으로 흔히 쓰인다.
편형동물문(扁形動物門 Platyhelminthes)의 와충강(渦蟲綱 Turbellaria)에 속하며 널리 분포하고 대개 자유생활을 하는 한 무리의 무척추동물.
플라나리아는 두마리로 갈라져도 살수있나요? |
플라나리아는 재생력이 마우 강한 하등 동물로 실험용으로 많이 쓰이며, 가로나 세로로 2등분 하거나 여러 도막으로 잘라도 재생됩니다
몸이 둘로 나누어져 무성 생식으로 번식하기도 하고, 때로는 유성 생식을 하기도 하죠.그러나 플라나리아를 믹서기에 갈면 그 세포조직 자체를 분해하고 파괴되기 때문에 다시 재생하고자하는 능력을 다 잃어버기게 되죠. 또한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생물 자체는 살아있어야 하는 존재이므로 몸속의 물질대사가 가능할 때 재생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즉, 플라나리아는 어느정도까지는 그 몸을 나누어도 재생이 가능하지만 완전히 갈아버리면 조직이 완전 분해 되므로 살 수 없게 되는 것이죠 네.. 플라나리아는 일직선,대각선, 아무렇게나 잘라도 두마리로. 재생할 수있습니다.
플라나리아는 재생력이 마우 강한 하등 동물로 실험용으로 많이 쓰이며, 가로나 세로로 2등분 하거나 여러 도막으로 잘라도 재생됩니다
몸이 둘로 나누어져 무성 생식으로 번식하기도 하고, 때로는 유성 생식을 하기도 하죠. 그러나 플라나리아를 믹서기에 갈면 그 세포조직 자체를 분해하고 파괴되기 때문에 다시 재생하고자하는 능력을 다 잃어버기게 되죠. 또한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은 그 생물 자체는 살아있어야 하는 존재이므로 몸속의 물질대사가 가능할 때 재생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즉, 플라나리아는 어느정도까지는 그 몸을 나누어도 재생이 가능하지만 완전히 갈아버리면 조직이 완전 분해 되므로 살 수 없게 되는 것이죠 |
첫댓글 이거 인제 방태산에서도 봤어요. ㅎㅎ
큰 거머리 같네요... 엿가락 길게 늘어진 것 같기도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