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백운지맥 제2구간
일시: 2012년 3월 15일 목요일 맑음(안개짙음)
산행구간: 가리파재(5번도로)~796.1m봉~임도(금창-금대)~▲937.6m봉(벼락바위갈림길)~회론재~
피맥재~보름가리봉~986m봉~부대앞~백운산(▲1087.1m)~909.4m봉~조두봉(966.6m)~
935m봉(대양아치갈림길)~971m봉(천등지맥갈림길)~840.2m봉~동막봉~작은양아치(19번도로)
산행자: 천자봉 홀로
가리파재에서 작은양아치까지의 거리가 만만찮은 두 번째 구간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서울에서 원주방향의
대중교통을 이용해 가리파재로 운행하는 첫 시내버스를 이용하기가 어려워 본인의 차량으로 중부와 영동
고속도로를 달려 원주톨게이트를 나와서 좌측 근처에 위치한 예식장의 주차장에서 약30분간의 휴식을
취한후 도로건너편에 위치한 장양리초등학교 버스정류장에서 가리파재를 거쳐 학산으로 운행하는 21번의
첫 버스를 05:40에 승차하여 약30여분을 소비한후 가리파재에 도착하여 간단한 산행준비를 마치고
버스정류장 뒤편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을 출발합니다
가리파재에서 855m봉 헬기장 구간입니다 ↓
855m봉에서 941m봉 구간입니다 ↓
941m봉에서 840.2m봉 구간입니다 ↓
840.2m봉에서 작은양아치(19번도로) 구간입니다 ↓
가리파재에 도착했습니다 ↓
06:21 가리파재를 출발했습니다
버스정류장 건너편으로 음식점이 자리하며 뒤편으로 커다란 비석두개와 사당이 자리하고 이동통신사의
중계탑이 설치된 마루금을 짧게 진행하여 중앙고속도로가 이어지는 절개지 상단부에 도착하여 더 이상
진행을 못하고 좌향으로 전환하여 고속도로와 나란히 진행되는 절개지를 따라 내려가 5번도로와 고속도로가
교행하게되는 금창육교를 통과하여 “백운산,칠봉암1km”의 표지목이 설치되어있는 우측 비포장의 임도를 따라
올라 쇠사슬 차단기를 지나서 좌측으로 높은 콘크리트 옹벽과 가느다란 자작나무가 조림되어 있으며 우측의
콘테이너와 비닐하우스가 자리한 넓은 공터의 갈림길에 도착합니다
성황당이 자리한 가리파재를 출발했습니다 ↓
고속도로의 절개지에 도착하여 좌향으로 진행합니다 ↓
고속도로와 5번도로가 교행하는 금창육교에 설치된 표지목입니다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
금창육교에서 진행하게되는 임도입니다 ↓
06:35 공터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우측 공터에서 좌측의 옹벽을 따라 이어지는 임도를 진행하여 많은 쓰레기가 널려있는 공터를 지나서 억새가
군락을 이루고있는 넓은 개활지에 도착하여 좌향으로 전환후 오름길을 약5분간 올라서 사각형의 넓은 바위가
자리한 지점에 도착후 얇은 눈이 쌓여있고 커다란 바위들이 이어지는 가파른 오르막길을 약20여분을 올라서
지면에 넓고 둥그런 바위가 돌출되어있는 능선정상에 도착하여 가쁜숨을 고르며 완만한 오름길을 짧게 올라
넓은 공터가 자리한 헬기장에 도착합니다
임도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갈림길 우측입니다 ↓
봄의 전령사입니다 ↓
억새 군락지를 통과합니다 ↓
07:11 헬기장에 도착했습니다
넓은 공터를 통과하여 우향의 오르막길을 올라서 표지목(벼락바위1.9km ↑●↓금창리 →관리사무소1km)이
설치된 바위 하단부를 지나 796.1m봉에 도착하여 우측의 전망바위에서 1시방향의 백운산과 후방의 치악산을
조망후 전망바위를 좌측으로 우회한 내리막길을 내려가 좌측의 세멘트포장 임도와 우측의 차단기가 설치된
임도에 도착합니다
헬기장에 도착했습니다 ↓
안내표지목을 지나갑니다 ↓
진행해야할 벼락바위봉 방향의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치악산의 능선을 조망했습니다 ↓
796.1m봉의 전망대입니다 ↓
07:38 임도에 도착했습니다
좌우측으로 연결되어 굽어돌아가는 임도를 가로질러 오름길을 올라서 좌향과 우향으로 번갈아 오르내린 후
좌측에 표지목(대광장1.2km←●→벼락바위0.9km ↓관리사무실)이 설치되어있으며 좌측의 깊은 고랑의 길과
우측의 잣나무 숲으로 연결되는 안부갈림길에 도착하여 정면의 가파른 오르막길을 약23분간 올라 표지목이
(벼락바위0.4km) 설치된 갈림길에 도착하여 우향으로 올라 굵은 로프가 설치되었고 작은 석문이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여 우측으로 짧게 올라 벼락바위봉에 도착합니다
임도에 도착했습니다 ↓
임도의 우측입니다 ↓
임도에 설치된 안내판입니다 ↓
관리사무실 갈림길 안부를 통과합니다 ↓
08:36 벼락바위봉에(860m) 도착했습니다
표지목(벼락바위:해발860m)이 설치되어있으며 우측으로 치악산의 능선과 좌측으로 올라야할 백운산 방향의
마루금이 조망되는 암봉에서 조망을 즐긴후 다시 되돌아 내려가 표지목과 등산로 안내판이 설치된 안부를
통과하여 짧은 오름길을 올라 “벼락바위봉정상”의 표지목과 2등삼각점(제천 21 1994 복구)과 좌측과 우측의
길이 연결되는 937.6m에 도착하여 우측의 내리막길을 내려가 좌측으로 벼락바위봉0.3km의 표지목이 자리한
좌측과 직진의 갈림길을 지나 좌측의 커다란 바위들을 우회하는 급경사를 내려가 좌측으로 잣나무 숲이
형성된 얕은 안부를 통과하여 낮은 구릉을 넘어 또 다른 안부인 회론재에 도착합니다
벼락바위에 도착했습니다 ↓
벼락바위의 어느동물 머리모양입니다(본인생각) ↓
↓
벼락바위에서 조망했습니다 ↓
백운산 방향을 조망했습니다 ↓
벼락바위를 내려와 안부를 통과합니다 ↓
벼락바위의 안부를 통과하여 937.6m봉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09:09 회론재에 도착했습니다
좌측 차도리로 이어지는 갈림길인 안부를 통과하여 약23분간의 오르막길을 올라서 좌측으로 백운산 시설물이
조망되는 909.9m봉에 도착하여 좌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우측 바위 하단부를 지나서 별다른 특징없이 이어가
전망바위에서 백운산 시설물을 조망후 내림길을 진행하여 우측에 표지목(보름가리봉←●→벼락바위봉1.6km
↓차도리3.4km)이 설치되어있으며 좌측 차도리로 연결되는 갈림길인 피맥재에 도착하여 정면의 오르막길을
약19분간 올라 좌측에 커다란 바위가 자리하며 보름가리봉이 나무사이로 조망되는 암봉을 지나 진행해야할
직진길과 우측 보름가리봉으로 연결되는 갈림길에 도착합니다
회론재에 도착했습니다 ↓
회론재를 출발하여 909.9m봉에 도착했습니다 ↓
909.9m봉의 하단부입니다 ↓
우측의 전망바위입니다 ↓
우측의 전망바위에서 조망했습니다 ↓
피맥재에 도착했습니다 ↓
피맥재를 지나서 보름가리봉을 조망했습니다 ↓
10:15 보름가리봉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마루금에서 우측으로 벗어나있는 보름가리봉으로 약4분간 진행후 바위로 형성되었으며 좌측으로 백운산과
시설물을 비롯해 986m봉이 조망되는 전망지에서 짧은 휴식을 마치고 갈림길로 되돌아와 우측의 내리막길을
내려가 우측으로 희미한 길이 연결되는 안부갈림길을 통과하여 오르막길을 오르며 후방의 보름가리봉을
조망후 정면으로 986m봉이 가깝게 조망되며 페헬기장의 공터봉인 855m봉에 도착합니다
보름가리봉의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보름가리봉에 도착했습니다 ↓
보름가리봉에서 좌측을 조망했습니다 ↓
갈림길에서 내려와 후방의 보름가리봉을 조망했습니다 ↓
10:56 855m봉에 도착했습니다
폐헬기장에서 우측3시 방향의 완만한 내림길을 이어가 좌측의 뚜렷한 길이 합류되어 정면의 봉우리를 오르는
희미한길과 우사면으로 우회하는 뚜렷한 길의 갈림길에서 직진의 희미한 오르막길을 올라 봉우리를 넘어서
우사면으로 후회했던 길과 합류되어 뚜렷한 길이 우측으로 굽어 돌아가는 넓은 안부에 도착후 직진하여
간벌된 나무들이 가지런히 쌓여있는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백운산과 986m봉이 뚜렷하고 가깝게 조망되는
페헬기장에 도착하여 우향으로 전환하여 약30여분간을 좌향과 우향으로 번갈아 별다른 특징없이 오르내리며
진행후 986m봉에 도착합니다
855m봉의 헬기장에 도착했습니다 ↓
백운산을 조망했습니다 ↓
정면의 986m봉입니다 ↓
11:40 986m봉에 도착했습니다
개인호인듯한 구덩이 두개가 파여있는 봉우리에서 우측으로 전환하여 크고작은 바위들이 돌출된 완만한 길을
진행후 직진과 가느다란 로프가 설치된 우측의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 도착하여 좌측의 내리막길을 내려가
안부에 도착해 정면의 오르막길을 약6분간 올라서 폐헬기장이 자리한 봉우리에 도착하여 우향으로 진행후
“군사시설보호구역”의 표시석이 설치된 철망 앞에서 좌향의 철망을 따라 사면길을 오르내려 좌측과 우측으로
도로가 연결된 군부대 정문에 도착해 좌측에 설치된 표지목(차도리3.7km←●↑백운산1.0km)을 확인하고
우측 헬기장으로 오르는 도로를 올라 넓은 광장의 헬기장에서 좌향으로 짧게 오른후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약36분간의 점심식사를 마치고 구조물 뒤로 이어지는 오르막길을 약30여분 올라 백운산 정상에 도착합니다
986m봉에 도착했습니다 ↓
백운산 시설물을 조망했습니다 ↓
직진과 우측의 갈림길에서 직진합니다 ↓
철망앞에서 백운산을 조망했습니다 ↓
군부대앞에 도착했습니다 ↓
구조물 안에서 식사를 마치고 뒤편의 오르막길을 올라갑니다 ↓
군용 통신선이 나란히 진행되는 등산로를 올라 갈림길을 지나서 정상으로 올라갑니다 ↓
13:28 백운산(▲1087m) 정상에 도착했습니다
등산로 종점 안내판 두개와 콘테이너에 무인카메라 시설이 설치되어있으며 좌측과 우측으로 길이 연결된
정상에서 삼각점(엄정 308 1989 재설)과 제천시와 원주시에서 설치한 두 개의 정상석을 확인하고 우측의
표지목(오두봉3.6km←●→운학임도3.9km↑차도리3.7km)을 지나서 바위들이 널려있는 내리막길을 내려가
커다란 바위가 직벽을 이루고 표지목(오두봉2.0km←●→백운산0.3km)과 119표지목(A-12)이 설치되었으며
좌측과 우측 백운산휴양림 방향으로 길이 연결된 안부갈림길에 도착하여 직진의 오르막길을 올라 흙묘1기가
조성된 1021m봉에 도착합니다
백운산정상에 도착했습니다 ↓
↓
↓
↓
↓
↓
백운산정상에서 오두봉 방향의 내리막길을 내려갑니다 ↓
백운산정상에서 담아봤습니다 ↓
백운산정상을 내려와 안부에 도착했습니다 ↓
14:00 1021m봉에 도착했습니다
“慶州崔公“의 묘지터를 지나서 지나온 후방의 백운산을 조망하고 119표지목(백운산 2)이 설치된 1001m봉에
도착후 좌향의 내림길을 내려가 합장묘(漢陽趙公과 延日鄭氏)가 조성된 묘지터에서 우향으로 전환하여
좌향과 우향의 오르내림을 반복하여 119표지목(백운산 3)이 설치된 909.9m봉에 도착후 좌향으로 이어가
좌측 상학동임도로 연결되는 갈림길에 도착합니다
1021m봉에 도착했습니다 ↓
지나온 백운산을 조망했습니다 ↓
1001m봉입니다 ↓
14:39 상학동임도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우측에 표지목(오두봉1.3km←●→백운산2.3km↓상학동임도1.?km)이 설치된 갈림길을 지나 우측1시 방향의
조두봉이 조망되는 평지의 길을 편안하게 진행하여 짧은 오르막길을 올라 119표지목(백운산 4, A-11)이
설치되어있으며 좌측과 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인 941m봉 갈림길에 도착하여 우측의 조두봉을
조망하며 내리막길을 내려가 두 번의 오르내림을 한후 좌우측으로 통나무 간이의자가 설치된 넓은 안부의
쉼터를 통과하여 약5분후에 조두봉에 도착합니다
상학동임도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우측의 조두봉을 조망했습니다 ↓
941m봉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941m봉을 지나면서 정면의 조두봉을 조망했습니다 ↓
안부 쉼터를 통과합니다 ↓
15:12 조두봉(966.6m)에 도착했습니다
좌,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며 넓은 공터의 헬기장 좌측에 표지목(흥업면←●→오두치1.7km↑백운산3.6km)과
119표지목(백운산 5)이 설치되어있고 억새가 군락을 이루며 좌측으로 진행해야할 마루금이 시원스럽게
조망되는 조두봉에서 좌측의 내리막길을 내려가 수북히 쌓여있는 낙엽속의 얼음으로 인해 엉덩방아를 찧으며
미끄러지듯 진행하여 좌측과 우측으로 길이 연결되는 안부갈림길인 오두치에 도착합니다
조두봉에 도착했습니다 ↓
↓
조두봉에서 천등지맥의 마루금과 오두치에서 올라야할 분기봉을 조망했습니다 ↓
15:40 오두치에 도착했습니다
좌측의 백운면 덕동리와 우측의 흥업면 매지리를 연결하는 안부 우측에 표지목(←십자봉↓덕동임도0.4km●
→백운산5.3km↑흥업면)과 119표지목(A-10)이 설치된 갈림길에서 직진하여 약24분간의 가파른 오르막길을
올라 좌측으로 고사목들이 지면에 널려있는 봉우리에 도착하여 짧은 휴식을 취한후 우향으로 진행해 잡목과
억새가 우거진 헬기장의 공터를 통과하여 오르막길을 올라서 우측 표지목(백운산A-9●대양안치3.6km→)이
설치된 좌측과 우측의 갈림길인 935m봉에 도착하여 좌측의 평지의 길을 짧게 진행후 971m봉에 도착합니다
오두치에 도착했습니다 ↓
↓
↓
억새군락지의 헬기장을 통과합니다 ↓
935m봉의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17:00 971m봉에 도착했습니다
좌측의 천등지맥과 우측의 백운지맥이 분기되는 갈림길이며 좌측에 표지목(오두봉,백운산←●→십자봉1.5km
↓산촌마을3.8km)과 낮은 돌무더기가 쌓여있는 분기봉에서 좌측 천등지맥의 십자봉을 조망후 우측의 암릉을
완만하게 진행하여 직진과 우측으로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직진길을 버리고 선답자님들의 표지리본이
매달려있으며 굵은 로프가 설치된 우측의 내리막길을 내려가 흙묘2기가 줄지어 조성된 넓은 묘지터를 지나
천은사 갈림길 안부에 도착합니다
천등지맥과 백운지맥의 분기점인 971m봉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
↓
좌측 천등지맥의 십자봉을 조망했습니다 ↓
17:16 천은사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좌측에 표지목(십자봉2.0km←●→산촌마을3.6km↓천은사2.5km)이 설치된 직진과 우측의 갈림길 안부를
통과해 오르막길을 올라서 869m봉에 도착후 우향으로 전환되어 깊은 안부를 통과후 820m봉에서 좌향의
암릉을 내리막길로 내려가 다시 오른후 우측에 표지목(산촌마을3.1km←●→십자봉2.1km)이 설치된 직진과
우측의 갈림길인 암릉의 사면갈림길에 도착합니다
묘지터를 지나서 천은사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
869m봉의 바위입니다 ↓
17:37 산촌마을 갈림길에 도착했습니다 (길주의 지점입니다)
표지목에서 직진길을 버리고 우측의 암릉을 올라 로프가 설치된 오름길을 짧게 올라 로프가 끝나는 암봉에서
우향의 급경사 내리막길을 내려가 굵은 로프와 가느다란 로프가 번갈아 설치된 내리막길과 깊은 안부를
번갈아 통과하여 갈림길이 없는 뚜렷한 길을 진행후 정면의 커다란 바위 좌측으로 수십길의 낭떠러지가
형성된 로프구간을 통과하며 좌측방향의 천등지맥 마루금을 조망후 내리막길을 내려가 얕은 안부를 지나서
좌측으로 깊은 구덩이가 파여있는 좌측 길과 우측의 암봉으로 이어지는 갈림길의 능선정상에 도착하여 우측
오름길을 짧게 올라 암봉을 좌사면으로 우회하여 동막봉에 도착합니다
갈림길 암릉에 도착했습니다(길주의지점입니다)↓
갈림길 표지목에서 우측의 로프구간을 올라갑니다 ↓
좌측을 내려다보면 현기증이 일어나는 로프구간입니다 ↓
로프구간에서 좌측으로 탁트여 천등지맥의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18:09 동막봉에 도착했습니다
녹색의 표지판(십자봉(천은사,큰양아치)⇦⇨동막골)이 설치되어있으며 얼기설기 엮어진 통나무에 찢어진 청색의
천막이 나부끼는 좁은 공터에서 완만한 내림길을 진행하여 우측의 19번 신도로를 조망하고 세멘트로 포장된
헬기장에 도착후 약20여m를 진행하여 직진과 우측으로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직진길을 버리고 가느다란
로프가 설치된 우측의 내리막길을 내려가 바위지대가 끝나며 검정색 차광망이 설치된 안부에 도착합니다
능선갈림길에서 우측의 암봉을 우회한후 도착한 동막봉입니다 ↓
동막봉을 내려가며 조망했습니다 ↓
헬기장을 통과하여 우측으로 내려갑니다 ↓
18:24 안부에 도착했습니다
우측으로 경고판과 차광망이 설치된 깊은 안부를 통과하여 우측에 설치된 검정색의 차광망과 나란한 길을
진행후 좌측으로 벌목지대가 형성된 구릉정상에 도착하여 우향으로 이어가 우측에서 진행되던 차광망이
우향으로 굽어 돌아가고 좌측의 벌목지를 따라서 좌향의 반원을 그리듯 진행하여 직진과 우측의 길이
갈라지는 갈림길에 도착해 직진의 오름길을 올라 작은 바위가 자리한 구릉정상에 도착하여 이제 서서히
어둠이 깔리는 시간에 좌측으로 지나온 마루금을 조망하고 벌목후 낙엽송을 조림해놓은 잡목지대를 내려가
직진과 우측의 갈림길에서 직진길을 버리고 우측의 내림길을 내려가 잡목이 우거진 희미한 길을 진행하여
우측으로 길이 연결된 얕은 안부를 통과후 낮은 봉우리를 넘어 우측의 사면을 내려가 마루금에서
약100여m를 좌측으로 벗어남을 알았지만 어두워지는 시간이기에 진행하여 마루금에서 내려서게되는
묘지터를 지나서 커다란 비석이 설치된 작은양아치에 도착합니다
헬기장을 내려와 안부에 도착했습니다 ↓
좌측의 벌목지대와 작은양아치를 통과하여 진행하게될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좌측의 벌목지를 따라 진행하며 지나온 마루금을 조망했습니다 ↓
18:49 작은양아치(19번도로 청원휴게소)에 도착했습니다
편도1차로가 연결되며 정면으로 휴업중인 청원휴게소가 자리하며 좌측아래에 31번 시내버스 정류장표시봉이
설치된 도로에서 계획했던 오늘의 산행을 마치고 배낭을 정리하며 18:44에 용암을 출발하는 버스를 기다리다
눈길에 젖은 등산화와 쌀쌀한 날씨에 더 이상 기다리지 못하고 우측의 동막골로 이동하는 시간에 원주에서
귀래로 운행하는 버스가 지나가고 청원휴게소 다음 버스정류장에 도착직전에 원주행 버스가 내려와 손을들어
승차를 요구하자 버스기사님의 배려로 승차한후 약1시간을 소비하고 원주톨게이트 근처 장양리초등학교앞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여 예식장 주차장에서 차량을 회수하여 영동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를 막힘없이 달려
무사히 귀가를 했습니다.
작은양아치에 도착했습니다 ↓
↓
↓
산행거리 : 총 21.27km
산행시간 : 총 12시간28분(점심시간=36분포함)
가리파재 출발(06:21)~작은양아치 도착(18:49)
이동방법 : *산으로 갈때 잠실~원주장양리초등학교버스정류장(원주톨게이트)=본인차량
원주장양리초등학교버스정류장~가리파재=21번시내버스(₩1,200원)
동서울~원주= 06:10(첫차) 22:25(막차) 01시간30분 7,200원
원주~가리파고개 방향 첫차 시간표
** 시외버스를 이용하게 되면 터미널에서 원일로 중앙시장으로 이동하여 승차 합니다
21번= 장양리출발: 05:35 06:20
22번= 장양리출발: 05:55 08:20
23번= 장양리출발: 06:50 08:50
25번= 장양리출발: 07:10
*집으로 올때 작은양아치재(19번도로)~장양리초등학교버스정류장=31번시내버스(₩1,200원)
장양리초등학교버스정류장~잠실=본인차량
작은양아치에서 원주방향 31번시내버스 오후시간표(고속,시외버스터미널경유함)
13:40(귀래출발) 14:17(귀래출발) 14:53(귀래출발) 15:39(귀래3리출발) 16:17(귀래출발) 16:55(귀래출발)
17:40(단강출발) 17:45(귀래출발) 18:44(용암출발) 18:40(운남출발) 19:36(귀래출발) 20:21(귀래출발)
20:57(귀래출발) 21:35(귀래출발) 22:24(귀래출발)
장양리(원주)~작은양아치(31번 오전시간표) *시외,고속버스터미널 맞은편에서 승차
장양리출발: 5:25 05:30 05:35 05:50 06:20 07:00 07:30 08:00 08:40 09:25 10:00
첫댓글 잔설이 깔려있고 갑자기 몰아닥친 꽃샘추위의 날씨에 장거리를 진행하시느라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잔설에 암봉 그리고 로프구간들 정말 힘든 고난의 산행길인 듯싶은데
백운지맥 2구간은 교통접근을 생각할 때 길게 끊어야 되는 모양이군요.
또한 한겨울에 진행하기에는 좀 힘들 것도 같아 보이구요.
암튼 백운지맥은 그 조망이나 산행느낌이 정말 좋아 보여
저도 몸이 조금 더 회복되면 백운지맥으로 달려가 보겠습니다.
자차를 이용하는 저에게는 차량회수가 정말 힘든데
자세한 교통정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수고 많으셨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