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묘제홀기墓祭笏記(歲一祀) (略式 1)
○제자손 이차서립(諸子孫 以次敍立) : 헌관, 집사, 모든
자손은 동쪽(우측)부터 차례대로 서시오.
○점시진설(點視陳設) : 초헌관은 상석 앞으로 가서 진설의
이상 유무를 살펴 보시오.
○강복위(降復位) : 진설에 이상이 없으면 내려와서 본래의 제자리
로 가시오.
□행참신례(行參神禮) : 참신례를 행하시오.
○제자손 재배, 국궁, 배, 흥, 배, 흥,평신(諸子孫 再拜,
鞠躬, 拜, 興, 拜, 興, 平身) : 헌관,집사,
모든 자손은 동쪽(우측)부터 차례대로 서서 재배 하시오. 허리를
굽히시오,절하시오,일어나시오,절하시오,일어나시오,바로서시오.
□행강신례(行降神禮) : 강신례를 행하시오.
○제집사 각취위(諸執事 各就位) : 좌집사,우집사,집주는 상석
좌우측의 각자 봉무할 위치로 들어 가시오.
○초헌관 향안석전궤(初獻官 香案石前跪) : 초헌관은 향안
석 앞으로 들어가 꿇어 앉으시오.
○우집사 서향궤 봉향합(右執事 西向跪 奉香盒) :우집사
는 서쪽을 향하여 꿇어 앉아 향합을 받드시오.
○좌집사 동향궤 봉향로(左執事 東向跪 奉香爐) :좌집사
는 동쪽을 향하여 꿇어 앉아 향로를 받드시오.
○헌관 삼상향(獻官 三上香) : 초헌관은 향을 세 번 올려
피우시오.
○헌관 재배(獻官 再拜) : 초헌관은 잠간 업드렸다가
일어나 배석에서 재배 하시오.
○향안석전궤(香案前跪): 초헌관은 다시 향안석앞에
꿇어앉으시오.
○좌집사 봉강신잔반 수헌관(左執事 奉降神盞盤
授獻官) :좌집사는 강신잔반을 받들어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집주 침주(執注 斟酒) : 집주는 서향으로 꿇어 앉아 술을
조금 따르시오.
○헌관 삼관우지상 지진(獻官 三灌于地上 至盡) :
초헌관은 술을 땅위에 세 번으로 나누어 다 따르시오.
○봉잔반 수좌집사(奉盞盤 授左執事) : 초헌관은
이 빈잔반을 받들어서 좌집사에게 주시오.
○좌집사 봉잔반 전우고처(左執事 奉盞盤 奠于故處)
: 좌집사는 빈잔반을 받들어서 본래의 제자리에 놓으시오.
○헌관 재배(獻官 再拜) : 초헌관은 배석에서 재배 하시오.
○평신 강복위(平身 降復位) : 바로 서시오. 내려와서 본래
의 제자리로 가시오.
□행초헌례(行初獻禮) : 초헌례를 행하시오.
○초헌관 향안석전궤(初獻官 香案石前跪) :초헌관은 향안석
앞으로 들어가 꿇어 앉으시오.
○좌집사 봉고위잔반 수헌관(左執事 奉考位盞盤
授獻官) :좌집사는 고위잔반을 받들어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집주 침주(執注 斟酒) : 집주는 서향으로 꿇어 앉아 술을
가득히 따르시오.
○헌관 삼제우 지상소경(獻官 三祭于 地上少傾) :초헌관
은 술을 땅위에 조금씩 세 번 지우시오.
○봉잔반 수좌집사(奉盞盤 授左執事) : 초헌관은
이 잔반을 받들어서 좌집사에게 주시오.
○좌집사 봉잔반 전우고위전(左執事 奉盞盤 奠于
考位前) : 좌집사는 잔반을 받들어서 고위앞에 올리시오.
○우집사 봉비위잔반 수헌관(右執事 奉妣位盞盤
授獻官) :우집사는 비위잔반을 받들어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집주 침주(執注 斟酒) : 집주는 서향으로 꿇어 앉아 술을
가득히 따르시오.
○헌관 삼제우 지상소경(獻官 三祭于 地上少傾) :초헌관
은 술을 땅위에 조금씩 세번 지우시오.
○봉잔반 수우집사(奉盞盤 授右執事) : 초헌관은
이 잔반을 받들어서 우집사에게 주시오.
○우집사 봉잔반 전우비위전(右執事 奉盞盤 奠于
妣位前) : 우집사는 잔반을 받들어서 비위앞에 올리시오.
○육적전적(肉炙奠炙) : 좌집사는 육적을 받들어서 초헌관에게
주시오. 초헌관은 육적을 받들어서 좌집사에게 주시오. 좌집사는
육적을 받들어서 시저앞에 올리시오.
○계반개 삽시정저(啓飯蓋 揷匙正筯) :좌우집사는 고비위
의 메그릇의 뚜껑을 벗기시오. 숟가락을 바닥이 우측(동쪽)으로 가도
록하여 메그릇에 꽂고, 젓가락의 자루가 서쪽으로 가도록 하여
시접위에 가지런히 걸쳐 올려 놓으시오.
○제자손 부복(諸子孫 俯伏) : 헌관,집사,모든 자손은 자기가
서있는 현위치에서 무릎을 꿇고 부복 하시오.
○축독축(祝讀祝) : 축관은 초헌관의 좌측에서 동향으로 꿇어
앉아 축문을 읽으시오.
○흥평신(興平身) :헌관,집사,모든자손은 일어나서 바로 서시오.
○초헌관 재배(初獻官 再拜) :초헌관은 배석에서 재배하시오.
○강복위(降復位) : 초헌관은 내려와서 본래의 제자리로 가시오.
○철주(撤酒) : 좌우집사는 고비위 잔반을 내려서 철주기에 철주
후 빈잔반을 제상위 제자리에 올려 놓으시오.
□행아헌례(行亞獻禮) : 아헌례를 행하시오.
○아헌관 향안석전궤(亞獻官 香案石前跪) : 아헌관은 향안석
앞으로 들어가 꿇어 앉으시오.
○좌집사 봉고위잔반 수헌관(左執事 奉考位盞盤
授獻官) :좌집사는 고위잔반을 받들어서 아헌관에게 주시오.
○집주 침주(執注 斟酒) : 집주는 서향으로 꿇어 앉아 술을
가득히 따르시오.
○헌관 삼제우 지상소경(獻官 三祭于 地上少傾) :아헌관
은 술을 땅위에 조금씩 세 번 지우시오.
○봉잔반 수좌집사(奉盞盤 授左執事) : 아헌관은
이 잔반을 받들어서 좌집사에게 주시오.
○좌집사 봉잔반 전우고위전(左執事 奉盞盤 奠于
考位前) : 좌집사는 잔반을 받들어서 고위앞에 올리시오.
○우집사 봉비위잔반 수헌관(右執事 奉妣位盞盤
授獻官) :우집사는 비위잔반을 받들어서 아헌관에게 주시오.
○집주 침주(執注 斟酒) : 집주는 서향으로 꿇어 앉아 술을
가득히 따르시오.
○헌관 삼제우 지상소경(獻官 三祭于 地上少傾) :아헌관
은 술을 땅위에 조금씩 세 번 지우시오.
○봉잔반 수우집사(奉盞盤 授右執事) : 아헌관은
이 잔반을 받들어서 우집사에게 주시오.
○우집사 봉잔반 전우비위전(右執事 奉盞盤 奠于
妣位前) : 우집사는 잔반을 받들어서 비위앞에 올리시오.
○계적전적(鷄炙奠炙) : 좌집사는 계적을 받들어서 아헌관에게
주시오. 아헌관은 계적을 받들어서 좌집사에게 주시오. 좌집사는
계적을 받들어서 시저앞에 올리시오.
○아헌관 재배(亞獻官 再拜) :아헌관은 배석에서 재배하시오.
○강복위(降復位) : 아헌관은 내려와서 본래의 제자리로 가시오.
○철주(撤酒) : 좌우집사는 고비위 잔반을 내려서 철주기에 철주
후 빈잔반을 제상위 제자리에 올려 놓으시오.
□행종헌례(行終獻禮) : 종헌례를 행하시오.
○종헌관 향안석전궤(終獻官 香案石前跪) : 종헌관은 향안석
앞으로 들어가 꿇어 앉으시오.
○좌집사 봉고위잔반 수헌관(左執事 奉考位盞盤
授獻官) :좌집사는 고위잔반을 받들어서 종헌관에게 주시오.
○집주 침주(執注 斟酒) : 집주는 서향으로 꿇어 앉아 술을
가득히 따르시오.
○헌관 삼제우 지상소경(獻官 三祭于 地上少傾) :종헌관
은 술을 땅위에 조금씩 세번 지우시오.
○봉잔반 수좌집사(奉盞盤 授左執事) : 종헌관은
이 잔반을 받들어서 좌집사에게 주시오.
○좌집사 봉잔반 전우고위전(左執事 奉盞盤 奠于
考位前) : 좌집사는 잔반을 받들어서 고위앞에 올리시오.
○우집사 봉비위잔반 수헌관(右執事 奉妣位盞盤
授獻官) :우집사는 비위잔반을 받들어서 종헌관에게 주시오.
○집주 침주(執注 斟酒) : 집주는 서향으로 꿇어 앉아 술을
가득히 따르시오.
○헌관 삼제우 지상소경(獻官 三祭于 地上少傾) :종헌관
은 술을 땅위에 조금씩 세번 지우시오.
○봉잔반 수우집사(奉盞盤 授右執事) : 종헌관은
이 잔반을 받들어서 우집사에게 주시오.
○우집사 봉잔반 전우비위전(右執事 奉盞盤 奠于
妣位前) : 우집사는 잔반을 받들어서 비위앞에 올리시오.
○어적전적(魚炙奠炙) : 좌집사는 어적을 받들어서 종헌관에게
주시오. 종헌관은 어적을 받들어서 우집사에게 주시오. 우집사는
어적을 받들어서 시저앞에 올리시오.
○종헌관 재배(終獻官 再拜) :종헌관은 배석에서 재배하시오.
○강복위(降復位) : 종헌관은 내려와서 본래의 제자리로 가시오.
○철갱 진숙수(撤羹 進熟水) : 좌우집사는 고비위의 갱을
내리고 숭늉을 올리시오.
○철시 숙수접중(撤匙 熟水楪中) :좌우집사는 메그릇의 숟가
락을 빼어 메를 세 번 떠서 숭늉 그릇에 말고, 숟가락의
자루가 서쪽(좌측)으로 가도록하여 숭늉그릇에 놓으시오.
○제자손 국궁(諸子孫 鞠躬) : 헌관,집사,모든 자손은 자기가
서 있는 현위치에서 잠시 허리를 굽히시오.
○평신(平身) : 헌관,집사,모든 자손은 허리를 펴고 바로 서시오.
□행사신례(行辭神禮) : 사신례를 행하시오.
○하시저 합반개(下匙筯 盒飯蓋) :좌우집사는 수저를 시접에
거두고, 메그릇의 뚜껑을 덮으시오.
○제집사 강복위(諸執事 降復位) : 좌집사,우집사,집주는
내려와서 본래의 제자리로 가시오.
○제자손 재배, 국궁, 배, 흥, 배, 흥,평신(諸子孫 再拜,
鞠躬, 拜, 興, 拜, 興, 平身) : 헌관,집사,
모든 자손은 동쪽(우측)부터 차례대로 서서 재배 하시오. 허리를
굽히시오,절하시오,일어나시오,절하시오,일어나시오,바로서시오.
○분축문(焚祝文) :축관은 향안석 앞으로 들어가 꿇어앉아서 축문을
불사르시오.
○고이성(告利成) :축관은 초헌관 좌측에 서서 “이성”을 고하시오.
○예필(禮畢) : 묘제 의식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출처] 묘제홀기(약식 1) (호원 이강욱) |작성자 이강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