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씨에게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요가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아리랑’이라는 것에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지요.
아리랑’은 ‘아리랑’ 또는 이와 유사한 음성이
후렴에 들어있는 민요의 총칭으로
남북을 통틀어 약 60여종 3천6백여 수에 이른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아리랑’으로는 평안도의 '서도 아리랑',
강원도의 '강원도 아리랑'과 '정선 아리랑'이 있고
함경도의 '함경도 아리랑', '단천 아리랑', ‘어랑타령이 있으며
경상도의 '밀양 아리랑',
전라도의 '진도 아리랑',
경기도의 '긴 아리랑' 등이 있습니다.
‘아리랑’은 외국인들에게도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로 잘 알려져 있어
외국인이 우리들에게 ‘아리랑’이 무슨 뜻이냐고 묻는다면
선뜻 설명해줄 수 있는 답을 우리는 갖고 있지 못합니다.
일반 대중들은 그렇다 하더라도
민요를 전공으로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똑같은 질문을 하였을 때도 마찬가지라면
이것은 참으로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물론 ‘아리랑’의 어원에 대한 이론이 워낙 많고
정설로 굳어진 것이 없는지라 답답한 것이 현실입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아리랑’의 어원에 대한 설은 너무 많고
각기 제 나름대로의 주장이 있지만
제가 보기에는 무리한 해석이 많은 듯 싶습니다.
‘아리랑’의 어원에 대하여서는 워낙 많은 이론들이 있기 때문에
무엇이 정설이라고 분명히 할 수는 없지만
한국인이라면 최소한 ‘아리랑’이란 이러 이러한 뜻을 갖고 있으며
‘아리랑’이 갖는 상징성은 이러이러 하다고 설명해 줄 수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초․중등 학생들과 만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아리랑’의 어원과
그 낱말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에 대하여 질문을 던지면
유감스럽게도 대답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었습니다.
이것은 우리의 초․중등교육에 허점이 있었다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학생들이나, 일반 대중들이
국제교류 현장에서 외국인들로부터 똑같은 질문을 받았을 때
당황하지 않고 ‘아리랑’의 어원과 그 낱말이 갖는 상징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겠다고 생각하여
사람들과 만날 때 마다
내 나름대로 연구하였던 ‘아리랑’의 어원과 그 상징성에 대하여 설명해 주었습니다.
물론 제가 전문적으로 어원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자가 아니므로
학문적 오류가 있을 수 있으나
‘아리랑’에 대하여 어차피 굳어진 정설이 없고
제 나름대로의 설명의 근거가 있는 만큼
나는 감히 나의 주장을 피력해왔습니다.
제가 연구하고 생각해온 ‘아리랑’의 어원과 상징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리랑’이라는 낱말은
각 지방 ‘아리랑’의 후렴 구로 자주 등장하는데
그 낱말의 구성은
진도 ‘아리랑’의 가사(아리 아리 랑 쓰리 쓰리 랑 아라리가 났네)에 나타난 것처럼
‘아리’+‘랑’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리’라는 말은 무슨 뜻이고 ‘랑’은 무슨 뜻을 갖고 있는 것일까요?
광개토대왕비문(廣開土大王陵碑文) 을 보면
수도 서울을 가르고 흘러가는 오늘날의 ‘한강(漢江)’을
‘아리수(阿利水)’라는 명칭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 殘不服義, 敢出迎戰, 王威赫怒, 渡阿利水, 遣刺迫城, ......
(....., 잔불복의, 감출영전, 왕위혁노, 도아리수, 견자박성, ......)
- 광개토대왕비문(廣開土大王碑文) 2면 3행
釋文 : ......, 백잔은 의에 복종하지 않고 감히 나와 영전했다.
왕은 위엄으로 대로하여 아리수를 건너 선두부대를 보내 성으로 진격했다.
물론 아리수(阿利水)라는 명칭의 구성도 ‘아리’+‘수’일 것입니다.
지금과는 달리 옛날에는 강(江)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수(水)라고 불렀으니
‘아리’+‘수’가 틀림없을 것입니다.
한강도 옛날에는 한수(漢水)라고 불렀지요.
그래서 요즘도 한수 이북, 한수 이남이라는 말을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광개토대왕비에 나타난 ‘아리(阿利)’라는 한자 자체가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순수한 우리말 음(音)을 한자로 차용하여 쓴 것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아리수(阿利水)’의 ‘아리(阿利)’라는 우리말은
무슨 뜻을 가진 것일까요?
또한 ‘아리’라는 낱말은 한강의 ‘한(漢)’과는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을까요?
오늘날 한강의 한자표기 ‘한(漢)’은
‘큰’, 혹은 ‘위대한’이란 뜻으로 쓰인
순수 한국 고대어 ‘한’의 차음(借音) 표기라는 설이 지배적이며
중국에 있는 강인 한수(漢水)의 이름을 차용한 것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또한 한강 양안에 살던 고대인들은
한반도에서 원시 농경단계에 먼저 들어간 선진부족이었으며
‘한부족으로 불렸고
이들의 일부가 고조선 건국에 참가했다고 합니다.
이 ‘한부족이 그 후 한문자(漢文字)로
韓, 桓 등 여러 글자로 차음 표기됐다고 합니다.
한강의 ‘한(漢)’을
우리의 고유한 말인 ‘한’의 한자 차용어라는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한’과 ‘아리’는 같은 뜻이거나
비슷한 뜻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아리’는 ‘크다’는 뜻으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아리랑’의 ‘랑’은 어떤 뜻을 지닌 말일까요?
‘아리랑’ 뒤에 항상 등장하는 낱말이 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고개라는 낱말입니다.
왜 각 지방의 ‘아리랑’ 다음에는 반드시 고개라는 낱말이 따라 나올까요?
‘랑’과 ‘고개’는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어느 날 여행 중 대관령 고개를 우연히 넘다가
나의 뇌리를 치는 것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다름이 아니라
우리말에는 같은 뜻의 형태가 겹쳐
글에 군살을 끼게 만드는 비경제적 동의중복(同意重複) 표현,
즉 겹말이 많다는 것입니다.
이는 한자어와 고유어의 동의어가 많다보니 생긴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추풍령고개(‘령’과 ‘고개’ 중복), 동해바다(‘해’와 ‘바다’ 중복), 약숫물(‘수’와 ‘물’의 중복), 무궁화꽃(‘화’와 ‘꽃’ 중복), 농번기철(‘기’와 ‘철’), 황토흙(‘토’와 ‘흙’ 중복), 초가집(‘가’와 ‘집’ 중복), 역전앞(‘전’과 ‘앞’ 중복), 족발(‘족’과 ‘발’ 중복), 고목나무(‘목’과 ‘나무’ 중복), 단발머리(‘발’과 ‘머리’ 중복) 등과 같은
동의 반복 현상을 흔히 볼 수 있는데,
추풍령의 ‘령(嶺)’은 고개‘령(嶺)’인데
그 뒤에 또 고개라는 같은 뜻의 우리말을 습관적으로 붙여 말하고 있듯이
‘아리랑 고개’의 ‘랑’은
고개 ‘령(嶺)’의 변음(變音)으로
‘랑’ 다음에 고개를 습관적으로 붙여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다시 말해 ‘아리랑’의 ‘랑’을
고개 ‘령(嶺)’의 변음으로 본다면
자연스럽게 ‘아리랑 고개’는 ‘크고 높은 고개’로 해석되는 것입니다.
옛날 우리 조상들의 마을에는
임을 보내고 가신 임을 기다리는 고개가 어디에나 있었습니다.
고개는 이별과 기다림의 의미를 지닌 특별한 장소였습니다.
각 지방에 퍼져있는 ‘아리랑’의 가사를 보면
떠나는 임을 아쉬워하고,
돌아오지 않는 임을 원망하고 목놓아 기다리는 한(恨)의 정서가
군데 군데 잘 배어져 있습니다.
정리해 본다면 ‘아리랑’이라는 낱말은
‘아리’+‘랑’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아리’는 ‘크고 높다’는 뜻을 가진 우리의 순수 고대어이며
‘랑’은 고개 ‘령(嶺)’의 변음으로서, ‘
아리랑’은 ‘크고 높은 고개’라는 뜻입니다.
고개라는 것이 우리 조상들에게
이별과 기다림의 장소였으므로
‘아리랑’이 갖는 상징성은 이별과 기다림,
그리고 한(恨)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나라 각 지역에 퍼져있는 ‘아리랑’은
그 곡조와 가사가 서로 달라도
공통적으로 이별과 기다림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저의 이러한 주장에 오류가 있을지 모릅니다.
허나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아리랑’의 어원과 그 낱말이 갖는 상징성에 대하여
한번쯤은 심각하게 생각해보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사람이라면 어린 자식들이나 혹은 외국인들이 물었을 때
옹색하나마 나름대로 답변할 말은 준비해두었으면 하는 것이
저의 소박한 바램입니다.
첫댓글 잘 읽었습니다. 왜워야할텐데, 머리가.... "크고 높은 고개" 이것만 기억하면 안 될까요?
그리고 아리랑은 '이별과 기다림' 그리고 '한'을 상징한다는 것을 기억해 주시면 돼요. ㅎㅎㅎ
우리의 인생전체가 녹아있는 말 이네요
참, 정리를 잘해주시네요. 특별한 재능을 갖고 계시네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