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SM5신형/플래티넘/노바 : 올뉴SM7/뉴SM7노바 사이드미러 기능
차는 달라도 표면적인 디자인은 동일. 그러나 구분은 필요하다.
이 모델들은 사이드미러방향지시등이 전구 형식과 LED 형식이 있다.
또 언급이 되겠지만 2010년대 뉴SM5 모델들을 비롯해 몇몇 차종들은
사이드미러 기능 구성이 왼쪽(Lh)과 오른쪽(Rh)의 핀 수가 다르다.
그 이유는 외기온도센서 때문이기도 하고 L 또는 R 어느 한 쪽에만 기능구성이 추가된 경우가 다수
있기 때문이다.
모델 | 년식 | 구동방식 | 핀 수 |
L | R |
뉴 SM5 신형 | 2010년 01월 ~ 2012년 11월 | 수동/전동 | 9, 10 | 7, 8 |
뉴 SM5 플래티넘 | 2012년 11월 ~ 2015년 01월 | 수동/전동 | 9, 10 | 7, 8, 12 |
뉴 SM5 노바 | 2015년 01월 ~ 2019년 12월 | 전동 | 10, 14 | 8, 12 |
올 뉴 SM7 | 2011년 08월 ~ 2014년 09월 | 전동 |
뉴 SM7 노바 | 2014년 09월 ~ 2020년 01월 | 전동 |
사이드미러 기능 구성과 핀 수
왼쪽(Left) | | 오른쪽(Right) |
수동 | | |
09핀 : 수동접이식 전동미러조절 열선 방향지시등 외기센서 | | 07핀 : 수동접이식 전동미러조절 열선 방향지시등 |
전동 | | |
10핀 : 전동접이식 전동미러조절 열선 방향지시등 센서 | | 08핀 : 전동접이식 전동미러조절 열선 방향지시등 |
14핀 : 10핀 기능 + 거울후진연동 | | 12핀 : 8핀 기능 + 거울후진연동 |
여기에 열거된 모델들의 사이드미러 기능 중에 거울후진연동 기능이 되는 것은
L 또는 R 어느 한쪽만 적용되어 있거나 양측 모두 적용되기도 하는 등 모델등급별로 나뉘는듯하다.
XM3나 SM6 같은 경우에도 이런 것들이 종종 발견되는 것으로 봐서 트림별로 나뉘어지는 기능인가보다 한다.
※ 수동접이식 사이드미러를 전동개조할 때 이 모델들을 드레스업하려면 사이드미러 배선을 먼저 만져야 되고
그것이 완벽하게 되었을 때 개조작업에 사용해야 한다. 배선을 만질 수 없다면 아예 시도도 하지 말 것.
운이 좋으면 사이드미러가 사망하는 것으로 끝날 수 있지만 운이 나쁘면 휴즈박스 날아갈 수도 있음.
사이드미러 방향지시등인 등화가 전구 형식과 LED 형식의 두 가지 형태로 있다.
핀 수는 동일하므로 기능 역시 동일하다. 다만 커넥터형식이 달라진다.
등화가 전구냐 LED냐 차이 정도만 있다. 생김이 다르니까 당연히 부품도 달라진다.
방향지시등이 전구 형식인 경우엔 전구와 글라스리피터 라는 각각의 개별 부품으로 이뤄져 있고
LED 형식인 경우엔 그 자체로 독립된 개별이며 일체형부품이다.
흔히 LED리피터, LED 램프 등으로 부르고는 있지만 전구도 LED라고 말하는 이가 부지기수. 꼭 구별하기.
이 모델은 각각의 개별품목으로 구입할 수 있는 부품은
외장커버, 거울, 글라스리피터, 전구 외 몸체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