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3일~18일 시사한자
매흉<흉>(매주)[埋兇<凶>(埋呪)]산소(山所) 거취(去就) 조문(弔問) 해체(解體) 경황(景況) 내락(內諾) 자충수(自充手) 사이비(似而非) 예금내취(預金雷取)
- 글자풀이
매흉<흉>(매주)[埋兇<凶>(埋呪)];
.저주하여 남이 병들거나 죽기를 바라는 뜻으로, 흉한 물건을 일정한 곳에 묻는 일.
산소(山所); 1)무덤을 높이어 이르는 말. 2)뫼의 높임말.
거취(去就); 1) 물러감과 나아감. 2)직장(職場) 따위에서 일신상(一身上)의 진퇴(進退).
조문(弔問); 상주(喪主)된 사람을 조상(弔喪)하여 위문(慰問)함.
언
조상(弔喪); 상가(喪家)에 대(對)하여 슬픔을 나타내는 인사(人事)를 함. 또는 그 인사(人事) 문상(問喪).
언(唁) 산 사람에게 하는 위로 唁 위문할 언; ⼝-총10획; [yàn] 위문하다, 위로하다
조(弔)는 죽은 이에 대한 위로
해체(解體); 1)단체(團體)가 흩어짐. 2)여러 가지 부분품(部分品)으로 맞추어 이룬 물체(物體)를 뜯어 헤침. 3)해부(解剖).
경황(景況); 재미로운 형편(形便). 당면한 상황 // 경황이 없다
내락(內諾); (남에게 눈치 채이지 않게)먼저 승낙(承諾)함.
자충수(自充手); (바둑에서) 자기(自己)가 돌을 놓으면 도리어 자기(自己) 수가 죽게 되는 수(手). 호구(虎口)에 놓는 일 따위.
사이비(似而非);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듯하지만 근본적(根本的)으로는 아주 다른 것.
예금뇌취(預金雷取);미국 svb은행 뱅크론 사태를 일컫는 용어로, 은행창구 방문없이 스마트폰이나 PC등을 이용해 불안정한 금융사태에 예금인출이 번개같이 진행되는 것
유사용어, 뱅크런사태
- 말만들기
옛 시극에서나 봤을 법한 매흉<흉>(매주)[埋兇<凶>(埋呪)]행위가 조상 산소(山所)에도 행해 졌는지의 진위 여부를 경찰에서 수사 중이다. 관련 인사는 거취(去就)표명 요청에도 자기 살 궁리를 모색하는 억지 조문(弔問)을 강행하여 자신의 소속단체를 점진적 해체(解體)수순으로 내 몰고 있다. 아무리 경황(景況)이 없다고 하더라도 주변에서 권고한 출구전략을 내락(內諾)함이 옳다. 나만 살겠다는 꼼수는 자충수(自充手)가 될 뿐이다. 진짜 장수인지 사이비(似而非) 장수인지를 구분하지 못한다면 은행의 예금뇌취(預金雷取)와 같은 당원탈퇴(黨員脫退)의 후폭풍에 직면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