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점검 및 정비방법
가. 각부 점검 기준
1) 일상점검
점 검 개 소 |
점검시기 |
점 검 내 용 |
작 업 전 |
작 업 중 |
작 업 후 |
연
료
계
통 |
연료 탱크의 유면
연료 탱크의 캡
연료 탱크 및 스 트레이너
연료가 샌다. |
○
○
○
○
|
|
○
|
작업 전 연료량을 점검하고 작업 후에는 탱크에 연료를 가득 채워 둔다. 꼭 닫아둔다.
물이나 침전물이 있으면 제거한다.
연료관 및 연결부의 새는 곳을 수리한다.
|
윤
활
계
통 |
오일의 유면
오일의 더러워짐
오일이 샌다.
그리이스 니플 |
○
○
○
○ |
|
○
○ |
규정량을 확인,점검한다.
더러워진 정도를 점검한다.
연결부의 새기 쉬운 부분을 확인, 점검한다.
필요 부분에 그리이스를 보급한다. |
냉
각
계
통 |
냉각수의 수면
라디에터 캡
라디에터
물이 샌다. |
○
○
○
○ |
|
|
규정량의 유무를 점검한다.
꼭 잠근다.
부착된 먼지를 제거한다.
새는 곳을 점검, 수리한다. |
전기
계통 |
등화장치(전조등, 미등, 제동등 기타)
경음기 방향 지시기 |
|
○
○ |
|
등화 작용의 양부를 점검한다.
작용의 양부를 점검한다. |
흡기
계통 |
공기 청정기 |
|
|
○ |
엘리먼트 및 오일을 점검 또는 청소 한다. |
엔진
계통 |
운전상태
계기류 |
|
○
○ |
|
배기 가스 색과 이상 음향을 조사한다.
충전계, 유압계, 수온계, 엔진, 회전계, 시간계 등의 지시를 확인한다. |
주
행
장
치 |
브레이크 페달 및 클러치 페달
주차 브레이크
조향 핸들
타이어 공기압
타이어 림의 손상
림 허브 |
○
○
○
○
○
○ |
○
○
○
|
|
조작하여 양호한가 또는 좌,우가 동일한가 확인한다.
작동이 확실한가 확인한다.
조작이 확실하고 유격이 적당한가 확인한다.
앞바퀴, 뒷바퀴의 공기압이 적당한가 확인한다.
손상의 유무를 점검한다.
볼트 너트의 풀림 상태를 점검한다. |
기
타
점
검 |
3점 링크 장치와 드로바
유압레버
P.T.O축의 캡
후사경
반사기
휴대공구
|
○
○
○
○
|
○
○
|
○
|
핀이 빠지지 않았나 확인한다.
작업기가 규정치대로 상하 조작이 가능한가 점검한다. P.T.O를 사용치 않을 때는 캡을 끼워둔다.
운전석에서 뒤의 물체를 확인할 수 있는가를 점검한다.
더러워짐, 손상을 점검한다.
충분한 공구가 있으며 파손된 것은 없나 점검한다.
|
· 점검 시기는 30~60 시간은 7~10일, 100~250 시간은 3~6개월, 500~1,000 시간은 1년으로 계산한다.
· 점검표에서 '◎' 표시는 전문 정비공장에서 정비하는 것이 좋다.
나. 연료계통
1) 연료 취급관리
가) 빗물이 스며들지 않게 저장
나) 연료 공급시에는 물이 혼입되지 않게 공급(호스나 펌프로 공급함은 좋지 못함)

연료 저장법
다) 밤을 새울때는 기체 연료탱크내에 연료를 가득채움.(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
연료를 가정에서 저장할 시는 그림과 같이 저장탱크를 설치하고 사용하면 연료공급시 물 및 불순물이 연료계통에 들어가지 않는다.
2) 연료필터 교환법
가) 교환시기 : 600시간(청소는 50시간마다)
나) 교환법
- 대형 : 위 취부볼트를 풀어내고 밑으로 빼면 빠짐
- 소형 : 필터 채움너트를 좌측으로 돌리면 빠짐
다) 점검 정비
1. 필터 테이스 등 모든 부품을 솔벤트로 깨끗이 닦아 낸다.
2. 필터가 오손되었거나 결함이 있으면 새것으로 교환한다.
3. 필터 케이스나 아래 커버의 손상이나 변형은 점검한다.
4. 연료관이나 필터 콕크를 열고 연료가 잘나오는지 점검한다.
5. 필터 내에 물이나 오물의 침전 상태를 점검하고 중심 파이프 스프링 및 배유 플러그의 부식상태를 점검 정비한다.
6. 조립시에는 취부면을 깨끗이 닦고 팩킹에 연료를 바른다음 조립하여야 한다.
3) 공기빼기
연료필터 교환시나 가동중 연료가 떨어져 연료계통 내에 공기가 잠입하였을 시 반드시 공기빼기를 하여야 한다.
가)대형
연료탱크에 연료보충 → 연료필터 위 공기빼기 볼트를 풀고(연료가 나오는 것을 확인) 다시 잠금 → 인젝션펌프 공기 빼기 나사를 풀고 공기를 제거후(기포가 섞인 연료가 모두 나올 때 까지) 다시잠금 →노들에 취부된 고압관 취부너터를 조금풀고 →키를 넣어 시동모터를 작동시켜 기포가 섞인 연료가 모두 빠지고 연료만이 힘차게 내뿜으면 잠근다.(이때 시동됨)
나) 중, 소형

중형에는 공기가 자동으로 빠지고 분사펌프 공기빼기는 공기빼기 손잡이를 좌측으로 돌리면 자동으로 빠진다.
소형은 연료를 채우고 필터상부에 있는 공기빼기 나사를 풀어 공기를 뺀후 연료분사펌프의 플러그를 풀어 공기를 빼고 감압레버 손잡이를 당기면서 시동모터를 돌린다.
4) 고장원인 및 처치
고장원인 |
증 상 |
처 치 |
○ 물혼입
○ 필터청소불량
○ 펌프고장 |
○회전이 고르지 못하다
○ 연료필터가 막혀 시동이 자주 꺼진다.
○ 심하면 펌프가 소부 또는 절손된다.
○ 회전이 고르지 못하며 시동이 자주 꺼진다.
○ 엔진정지 및 시동이 되지 않는다. |
○ 작업 후 연료 채움.
○ 연료주입시 펌프나 호스로 주입치 말것.
○50시간 마다 반드시 필터 청소를 할것.
○ 연료관리를 잘하여야 하며 청소를 자주하여 준다.
○펌프분해 정비(수리점에 의뢰)
|
다. 윤활계통
1)용량
가) 각부오일 급유 (엔진이 뜨거운 상태에서)
구분 |
인젝션펌프 |
엔진 |
핸들 |
밋션 |
후차축 |
유압 |
국제 |
23HP |
0.11 |
4.00 |
그리이스 |
21 |
33HP |
6.4 |
6.40 |
0.26 |
20 |
금성 |
32HP |
|
6.5 |
0.3 |
5.5 |
26 |
50HP |
|
7.50 |
0.40 |
17.8 |
대동 |
50HP |
|
6.62 |
0.90 |
13 45.7 |
22HP |
|
4.90 |
0.30 |
21 |
16HP |
|
3.80 |
0.30 |
11.5 |
동양 |
28,32HP |
0.85 |
5.00 |
0.30 |
16 |
8 |
2) 윤활유의 작용
○ 윤왈작용, ○ 응력분산작용, ○마찰 및 마모방지작용, 방청작용,
○냉각작용, ○밀봉작용(기밀작용)
3) 회로
가) 오일펌프 → 오일필터 → 록커암축, 메인베어링 메탈, 기타 주요부 → 크랭크 케이스
나) 엔진오일 펌프형식 : 기어 또는 트로코이드(로타리) 펌프
4) 계절에 따른 오일선택
가) 엔진오일
봄, 을 을 - SAE, 20~30 # 또는 20W/30#
여름 - SAE, 30~40#
겨울 - SAE, 10W/20#
사계절공통 10W/40~10W/30#
나) 미션 및 유압오일 : 유압오일로서 80# 정도, 미션오일은 SAE 90#.
5) 교환시기
구분 |
인젝션 펌프 |
엔진 |
핸들 |
미션 |
후차축 |
유압 |
앞차축 차동 |
앞차축 기아 |
국제 |
23HP |
200 |
50 |
수시보충 |
200 |
|
|
3HP |
|
50 |
" |
200 |
|
|
금성 |
32HP |
|
100 |
" |
200 |
|
|
50HP |
|
200 |
" |
1600 |
|
|
대동 |
50HP |
|
150 |
" |
1200 1200 |
|
|
22HP |
|
150 |
" |
1200 |
1200(2.1) |
1200(0.6) |
16HP |
|
150 |
" |
1200 |
1200① |
1200(0.5) |
동양 |
28,32HP |
200 |
100 |
" |
900 |
300 |
|
|
가) 엔진오일
1. 첫회 : 35~50시간 후
2. 2회 : 100시간사용 후
3. 3회부터 : 12도 이하일 때 150시간마다 ±12도 이산일 때 200시간마다
※ 엔진오일 교환시 오일필터도 동시 교환
나) 유압 및 미션오일
1. 첫회 : 35~50 시간 후 교환하고 2회 부터는 규정시간마다
※ 유압오일 교환시 필터를 동시 교환하고 세척해서 재사용하는 필터는 파손부위가 없으면 세척 후 재사용
다) 조향기어 오일 : 600시간마다 점검하고 교환은 하지 않음.(단 수동식 조향장치 일 때)
6) 오일교환시 준수사항
가)엔진이 뜨거울 때 교환할 것. 나)오일을 빼기전에 주위를 깨끗이 닦을 것. 다) 폐유는 즉시 버리지 말고 색깔 점도 불순물 혼합상태를 점검한 후 참고로 기재하여 놓을 것. 라) 오일 교환시 규정된 오일(#)을 적당한 시기에 규정량으로 교환할 것.
7) 필터 교환법
가) 필터렌치로 풀고 조일 것.(조일때는 너무 꽉 조이지 말 것) 나)필터부착시에는 부착부위를 깨끗이 닦고 "O"링에 오일을 발라 제위치에 적당히 조일 것.
8) 윤활계통 고장원인
가) 오일부족 및 과다 나) 오일상태불량(교환시기 늦음) 다)규정된 오일이 아님 라)밖으로 새어나옴. (패킹 및 "0"링의 파손, 볼트너트가 풀려있음)
9) 각부 그리이스 주입부위 및 주입시기

라. 냉각계통
1) 라디에터 용량

2) 냉각회로
◎ 썸머스타터 밸브 열리기 전
①→②→③→④→②→③→④→②→③ ····
◎ 썸머스타터 밸브 열린 후
①→②→③→①→①→② ···· ①→②→③→④ ②→③→④→②→③→④ ····
◎ 썸머스타터 밸브 완전 열린 후
①→②→③→④→①→②→③→④→①→②→③ ····

※ 정온기(썸머스타터) 열림 온도

3) 냉각수 조건
가)맑은 청수(우물물보다는 맑은 시냇물이 좋은: 순수한 연수) 나)염분과 철분이 없을 것. 다) 협잡물이 없을 것.
4)라디에터 보정제 사용법
라디에터 보정제는 냉각회로 내의 물때를 제거하고 또는 방지하여 회로 내의 청결을 유지시키며 물때로 인한 열 발생을 방지케함.
가) 냉각수와 희석비율 : 제조회사의 취급설명서에 따를 것. 나) 유효기간 : 3개월(3개월 후에는 필히 교환) 다) 사용법 : 물에 용해되게 잘 혼합하여 넣거나 사용중에 있는 냉각수에 적당량을 그냥 넣어도 됨. 라) 부동액과 라디에터 보정제를 혼합하지 말것.(혼합시에는 2가지 성분 모두 없어짐)
5) 부동액 사용법
가) 부동액은 겨울철 동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수로 사용한다. 나) 주입방법은 희석된 용량을 그냥 주입하거나 냉각회로에 물을 주입한 후 적당량의 부동액을 넣어도 된다. 다) 부동액 혹은 라디에터 보정제를 사용하지 않고 여름철에 기계를 사용한 후 늦가을에 부동액을 주입하시는 냉각계통에 물때를 먼저 제거하고 난 후 부동액을 넣어야 한다. 라)이때 물때가 얇게 끼었을 때는 탄산나트륨(50g)을 냉각계통에 넣고, 물때가 두꺼울 때에는 중황산나트륨100g을 물 18l에 풀어서 주입하고 잠시 가동 후 냉각수를 제거하고 물만 주입하여 헹굼작업을 한다. 마) 부동액 희석비율과 빙결온도

바) 부동액 사용 유효기간(반영구적 부동액을 사용시):부동액 25% 희석시 12개월이며, 50%희석시 24개월임. 사) 냉각수 보충시 부동액 사용법 : 자연적인 증발로 인하여 조금 줄어들때는 물만 보충하고, 누수로 인하여 줄어 들었을 때는 먼저 사용하던 것과 같은 부동액을 희석하여 보충할 것.
6) 열발생 원인
가)냉각회로에 협잡물 기타 물때가 끼었을 때 나)팬벨트가 늘어져 팬을 제 회전대로 돌리지 못할 때 다)정온기 및 워터펌프가 고장일 때 라) 라디에터 사이 또는 방충망에 협잡물이 끼었을 때
7) 냉각 온도조절 부품 점검
가)압렵캡 점검

압력캡의 기능점검
1. 그림과 같이 압력 시험기에 어댑터를 끼우고 그 끝에 압력캡을 설치 한다. 2. 압력 시험기의 펌프로 규정 압력(0.9kg/cm2)이 될 때까지 가압해 준다. 3. 계기의 지시 바늘이 10초간에 0.3kg/cm2 이상의 압력 강하가 없으면 정상이다.
나) 기관 운전에 의한 압력캡 점검
1. 냉각계통 내에 냉각수를 가득히 채워 넣고 오우버플로우 파이프 끝에 물컵을 담근다. 2. 수온계와 냉각수의 온도 차이가 있으면 안된다. 온도 차이가 크면 기관이 과열될 염려가 있다. 3. 기관을 시동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100도까지 상승시켰을 때 기포가 발생하지 않으면 정상이다. 4. 냉각장치 내에 누수부분이 있으면 안 된다. 5. 냉각수의 온도가 100도가 되기전에 기포가 생기면 압력캡을 새 것으로 교환해준다.
운전에 의한 압력캡 측정
다) 코어 막힘 점검
1. 팬 시라우드를 떼내고 라디에터의 부식, 균열 등의 손상을 점검하여 손상 정도가 크면 라디에터를 교체한다. 2. 라디에터의 코어 막힘율을 계산하여 20%이상이면 교체한다.

3. 라디에터의 공기 통로가 먼지나 이물질로 막혔으면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라디에터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불어낸다. 이때 철사를 사용하면 코어를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
라) 라디에터 누유 점검

라디에터 누유 측정
1. 물탱크에 맑은 물을 가득 채운다. 2. 라디에터의 주입구에 압축시험기를 설치한다. 3. 시험기의 공기를 압축시험 압력까지 올려준다. 4. 이때 라디에터의 누출이 없으면 압력계의 눈금이 내려가지 않는다. 5. 누출이 있으면 시험기의 눈금이 내려가므로 이때 누출 개소를 살펴 수리 또는 교환한다.
마) 수온 조절기의 점검
1. 수온 조절기를 빼내어 실끈으로 붙잡아맨 다음 물그릇에 넣는다. 2. 그릇의 물을 가열하면서 수온 조절기의 밸브가 열릴 때의 온도를 측정한다. 3. 수온 조절기의 열림 시작 온도는 65도 정도이고, 완전 열림 온도는 85도이며, 가압 압력이 높은 수온 조절기는 80도 정도에서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여 95도 정도에서 완전히 열리면 정상이다.

수온조절기 온도 측정
마. 배터리 점검
1)배터리 매일 점검
가)단자볼트의 풀림
1. 기준치 : 전압의 저하 0.1V 까지 2. 방법 ·배터리 +단자와 차체사이 측정 ·배터리 -선과 차체사이 측정 ·위의 차가 0.1V 이상일때는 단자를 청소하던가 더 조임.
나)표면청소 주입구의 공기구멍에서 전기분해에 따라 나오는 전해액의 개스가 배터리의 표면을 더럽히므로 뜨거운 물로 이를 청소한다.
다)전해액의 점검
1. 기준치 : 극판위 10~13mm(대형), 소형은 극판위 6mm 2. 방법 : 충전시의 전기분해 또는 자연증발에 따라 전해액은 감소하므로 규정량이 들어있는지 점검한다. 부족시에는 증류수로 보충.
2) 충전상태의 점검
가) 기준치

나) 방법 순서
1. 비중계로 비중점검(눈금측정) 2. 막대온도계로 온도측정 3. 비중계는 기울이지 말고 수직으로 잡는다. 4. 액면이 표면장력에 의해 눈금이 올라가므로 올라간 부위를 읽는다. 5. 비중은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무조건 눈금을 기준치로 하지말 것. ※ 전해액의 비중은 온도가 1℃ 상승할 때마다 0.0007 작아지고 반대로 1℃ 내려갈 때마다 0.0007 커진다. 규정온도 20℃환산할 때의 비중 = 측정한 비중 + 0.0007 × (전해액의 온도 -20℃)
다) 보통충전법
1. 전해액이 적을 때는 증류수 보충 2. 전해액 비중이 1,250 이상으로 일정치를 1시간 이상 계속한다. 3. 충전중의 단자전압이 15V 이상으로 일정치를 1시간 이상 계속한다. 4. 각 셀에서 개스가 많이 발생하게 한다. 5. 예정의 충전시간에 달하게 한다. 6. 충전 전류는 배터리 용량의 1/10 ~ 1/20 정도로 함. 7. 충전시 전해액의 온도는 45℃이상 넘지 않도록 함. 8. 충전중엔 주입구의 마개를 열어준다.
※ 충전시간의 설정

3) 배터리 장기 보관방법
가) 완전히 충전한 후 햇빛이 닿지 않고 통풍이 좋은 장소에 보관 나) 배터리는 사용하지 않아도 1일 약 0.5% 전후의 자기방전을 하므로 보관중에도 1개월에 1회 보충 충전을 한다. 다) 트랙터에 장착한 채 보관할 때는 -단자를 떼어둔다.

4) 배터리 취급시 주의사항
가) 충격삼가, 청결유지, 단자부위에 그리이스 도포(부식방지), 화기엄금 나) 엄쳐나온 액은 금속부위난 옷에 묻지 않게 할 것. 다) 탈부착시 순서를 지켜야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어스선(-)부터 이탈, 조립시에는 반대). 라) 트랙터에 붙어있는 배터리를 충전할 때는 어느 한쪽의 단자를 떼고 한다. 마) 과방전에 주의 바) 차체를 전기용접할 때는 배터리선을 떼어낼 것. 사) 금속부위에 전해액이 묻었을 때는 소다를 뿌려 중화시킨다.
바. 유압계통 고장과 진단
1)유압의 주요고장
가)작업기가 올라기지 않을 때 나)천천히 올라가거나 부하를 걸었을 때 올라가지 않는다. 다) 올라가기 했으나 내려오지 않을 때 라) 유압조정 레버를 맨 아래나 중립에 놓았을 때 올라가지만 유압조정 레버를 중립에 두고 시동을 껐을 때 작업기가 내려오는 경우. 마) 작업기를 올려놓고 유압조정 레버를 중립위치나 상승위치에 둘 때 작업기가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
2) 고장 수리전 먼저 점검할 사항
가) 보조 써비스 콘트롤 밸브(포드 전용밸브)를 충분히 속으로 밀어 넣었는지 확인 나) 외부의 연결부가 고장난 곳. 다) 뒷차축속의 오일 등급 및 수치 확인. 라) 유압펌프의 작동여부 마) 포지숑(위치제어)에서 올라 가는지의 시험 바) 드래프트(견인부하)에서 올라가지 않으면 내부 연결부에 고장이 있다. ※ 포지숀에서 올라가나 드래프트에서 올라가지 않으면 내부 연결부에 고장이 있다.
3) 고장 발견순서(포드)
가) 적당한 무게난 작업기를 리프트암에 부착할 것. 나) 엔진을 가동하여 1,650회전에 고정할 것. 다) 드래프트 콘트롤을 선택하고 유압조정판 맨위까지 유압조정 레버를 움직일 것. 라) 유량조절 레버를 사용하여 오일이 최대로 흐르게 할 것. 마) 다음 고장진단 방법에 준하여 유압계통의 작동여부를 진단하고 잘 관찰하여 살핀다.
4) 고장진단 방법
가) 올라가서 내려오지 않을 때
1. 유압조정 레버를 맨밑이나 중립에 올려놓고 엔진시동을 끄고 유압조정 레버를 밑으로 내렸을 때 작업기가 내려오면, 가. 점검 : 언로드 밸브가 리프트 포지숀에 고착됐는지 : 페더링 밸브가 리프트 포지숀에 고착됐는지 2. 작업기를 올려놓고 유압조정 레버를 중립이나 올라가는 위치에 놓았을 때 작업기가 내려오면 가. 점검 : 피스톤씰. : 리프트 실린더 안전밸브 : 리프트 실린더의 마모 또는 금이 갔는지 확인한다.
나) 작업기가 올라가지 않을 때
1. 릴리프 밸브에 압력을 불어 넣고 압축상태에서 가. 점검 : 실린더 마모 또는 쪼개짐. : 실린더 안전밸브 "O"링과 씰. 2. 유압펌프의 압력이 없을 때 가. 점검 : 펌프 작동상태 : 주유파이프 "O"링 : 흡일필터
5) 응급처치
가) 유압을 전체 결합시 볼트구멍에 오일이 있을 경우 볼트를 빠른 속도로 조이면 본체가 파손된다. 나) 작업기를 올렸다가 안내려올 때는 언로드밸브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쌜랙트 밸브를 움직이면 내려간다. 다) 트레일러를 올렸을 때 잘 내려오지 않거나 잘 올라가지 않을때는 리모트 너트를 풀어서 커프링을 길게 한다. 라) 시동을 껐을 때 압력이 서서히 내려가는 것은 램실린더나 콘트롤 밸브쪽이 샌다. 마) 작업기가 덜덜 떨리는 것은 밸브가 달라붙었거나 연결부분의 고장이다. 바) 오일압력은 쌜랙트 밸브를 3단까지 열고 게이지를 리스펀스(유량조절)레버 밑 볼트에 기고 게이지의 밸브를 열러놓고 시도을 걸어 R.P.M 1,650 에 올리고 오일이 비닐파이프에 흘러내릴때(비닐파이프 끝은 오일탱크로 연결) 빨리 잠그지 말고 천천히 잠구어서 압력이 2,250~2,650 파운드 사이면 된다. 조정은 릴리프 밸브에 조정판으로 시임을 빼면 압력이 내려가고 시임을 끼면 올라간다. 사) 오일이 너무 묽어도 작업기가 들리지 않는다. 아) 유압계통엔 화이버 팩킹을 쓸 수 없다.
사. 공기청정기
1) 취급법
가) 필요없이 탈부착하지 말 것. 나) 카바내부에 먼지가 반이상 모이지 않게 할 것. 다) 카트리지 청소시 카트리지가 손상되지 않게 조심할 것. 라) 건식은 오일을 넣지 말 것.
2) 청소불량으로 발생되는 제 고장
가) 실린더벽과 피스톤면에 긁힌자국이 생김(압축이 떨어짐) 나) 엔진오일 오염이 심함 다) 배기개스 색깔 짙음(검은색) 라) 오일엎 상태 유발
3) 청소시간
가) 50시간 사용 후 나) 먼지가 많은 작업일때는 매일
4) 청소방법
가)습식 : 엔진오일 교환시 오일 교환 나)건식
1. 털기 : 손바닥이나 타이어 등에 두드려서 턴다. 2. 불어내기 : 70파운드 미만의 압축공기로 약 5 Cm 거리를 두고 불어낸다. 3. 세척 : 온수에 중성세제를 섞어서 청소한 다음 잘 말린다.
아. 팬 벨트
1) 유격

2) 팬 벨트 긴장도 점검
가) V벨트의 긴장도는 두 축의 중간 위치에서 벨트를 누를 때의 처짐을 높이로서 측정한다. 나) 스프링 저울로 2kg의 힘으로 잡아 당겼을 때 10 ~ 15 mm 가 적당하다.
3) 조정법
가) V벨트의 긴장도가 느슨해질 정도로 발전기의 고정볼트를 약간 풀어 준다. 나) 발전기를 밖으로 잡아당겨 벨트가 긴장되는 상태로 고정볼트를 약간 조여 준다. 다) V 벨트 점검 요령으로 긴장도를 조정하고 발전기의 고정볼트를 완전히 조여준다. 라) V벨트를 새 것으로 교환하였을 때에는 2~3일 후에 다시 조정해야 한다.

팬밸트의 조정
4) 조정시기 : 200~300시간 마다 5) 장력이 맞지 않을 시 발생되는 기계적 하자
가) 강할시 : 교류발전기 및 워터 펌프 베어링이 마모됨. 나) 약할시 : 냉각 및 충전상태가 불량하고 벨트수명이 단축됨.
자. 클러치와 브레이크
1) 클러치 페달의 유격조정
가) 유격

나) 조정법
1. 클러치 로드의 고정너트를 풀어준다. 2. 클러치 레버와 조정링크를 연결한 분할 핀과 연결 핀을 빼낸다. 3. 조정링크를 돌려서 유격을 조정한 다음 페달을 놓은 상태에서 손으로 가볍게 눌러 압력 저항을 느끼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자로 측정한다. 4. 조정링크와 클러치 레버를 연결핀으로 결합하고 페달의 유격을 다시 측정하여 기준값에 적당한지를 확인한다. 5. 연결핀에 새 분할 핀을 고정시키고 클러치 로드의 고정너트를 확실히 죈다.

클러치의 구조
2) 안전 시동 스위치의 작용점검
가) 클러치 페달의 유격을 조정하였을 때에는 반드시 안전시동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나) 클러치 페달을 놓은 상태에서 시동 스위치를 돌렸을 때 시동 전동기가 회전하지 않아야 한다. 다) 대자나 틈새 게이지로 안전시동 스위치와 접촉면의 떨어진 간격을 규정값에 맞춘다.

라) 조정할 때에는 고정너트를 풀고 접촉면(볼트)의 간격을 측정하면서 조정한다. 조정이 끝난 다음에는 반드시 고정너트를 확실히 죄어야 한다.
3) 브레이크 페달의 유격조정
가) 유격

나) 조정법

1. 터언 버클의 고정너트를 풀고 다음 분할 핀과 고정 핀을 제거한다. 터언 버클을 돌려서 길이를 조절한다. 2. 손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가볍게 눌러서 압력 저항을 느끼는 위치가 유격의 기준값이 되도록 맞춘다. 3. 터언 버클의 고정핀은 조립하고 다시 유격을 확인한 다음 새로운 분할 핀으로 고정시키고 터언 버클의 고정너트를 고정시킨다. 4. 양쪽의 브레이크를 똑같이 조정한 다음 브레이크 작동이 같은 지를 점검한 다음 지상에서 주행 제동시험을 실시한다. 5. 브레이크 페달 연결 핀을 연결하여 고속으로 주행하다가 급격히 클러치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밟아 정지시켜 본다. 지상에 나타난 좌우 바퀴의 미끄러진 자리가 같은지를 확인한다. 6. 브레이크 유격을 조정한 다음 주차브레이크를 걸어을 때 이상이 없어야 한다.
차. 조향장치
1) 조향핸들
가) 유격측정
1. 앞바퀴를 정면으로 하여 핸들을 돌린다. 2. 트랙터의 계기판 위에 지침계를 고정시킨다. 지침계의 끝이 핸들의 주위를 지시하도록 놓고 핸들을 돌려도 지침계가 움직이지 않도록 설정한다. 3. 핸들을 오른쪽으로 돌려서 앞바퀴가 움직이지 않는 한 최대로 돌려놓고 분필로 지침계가 지시하는 위치를 핸들에 표시한다. 4. 다시 핸들을 왼쪽으로 돌려서 앞바퀴가 움직이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로 하여 지침계가 지시하는 위치를 분필로 핸들에 표시한다. 5. 직선자로 핸들에 표시한 두지점 사이를 측정하여 규정된 핸들의 유격과 동일한지를 확인한 다음 핸들 유격의 측정값이 규정값과 차이가 있을때에는 조정해야 한다.

핸들 유격 측정
나) 유격조정
1. 조향축 기어 케이스 커버를 제거하고 섹터축에 있는 고정너트를 풀어준다. 2. 조정나사를 -자 드라이버로 돌려서 조정한다. 오른쪽으로 돌려서 잠그면 핸들 유격은 작아지고, 왼쪽으로 돌려서 풀어주면 핸들유격은 커진다. 만일 조정나사가 좌우게 있을 경우에는 좌우를 같게 조정하여 핸들 유격을 규정값에 일치 시켜야 한다. 보통 핸들 유격은 20 ~ 50 mm 정도이다. 3. 핸들 유격 조정이 되었으면 조정나사를 -자 드라이버로 돌지 않게 잡고 고정너트를 죈다.
2) 앞바퀴 폭의 조정
가) 앞바퀴를 직진 방향으로 놓고 잭을 사용하여 한쪽 바퀴를 들어올린다. 나) 앞차축 고정볼트를 풀어 낸다. 다) 중앙 지지대에서 차축을 빼내어 적당한 위치에 고정볼트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라) 다른 쪽 바퀴도 같은 방법으로 조정하며 볼트의 간격을 넓게 해준다.

핸들 유격 조정

앞바퀴 폭 조정
3) 뒷바퀴 폭의 조정
가) 림 러그의 너트를 대각선으로 돌아가며 조금씩 풀어준다. 나) 잭으로 한쪽 뒷바퀴를 들어 올린다. 이때 브레이크를 풀어 주고 앞바퀴를 고정시킨 다음 안전에 유의하여 바퀴가 지면에서 조금 뜨게 한다. 다) 러그의 너트를 완전히 풀어 주고 림 러그의 볼트를 빼낸다. 라) 바퀴를 약간 돌려 원판의 잘려진 부분으로 림 러그 홈이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마) 바퀴를 바깥쪽으로 잡아당긴 다음 다시 돌려 림 러그 홈과 원판의 연결 홈을 일치시킨다. 바)림 러그 볼트의 머리 부분이 바깥쪽으로 오게 하여 림의 연결 홈에 꽂고 너트를 죈다. 토오크 렌치를 사용하여 규정된 토오크(200파운드)로 죈다. 사) 잭을 내리고 다른 바퀴도 같은 방법으로 조정한다.
4) 토인의 점검
가) 트랙터의 주차브레이크를 걸고 앞바퀴가 지면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로 앞차축 밑에 받침목을 놓는다. 나) 앞바퀴의 타이어 중심에 분필로 표시한 다음 손으로 공회전 시키면서 스크라이버로 중심선을 긋는다. 다) 토인 게이지의 양쪽 포인트의 높이가 같게 고정한다. 라) 토인 게이지를 앞바퀴의 뒤에 놓고 게이지의 눈금을 "0"에 맞춘 다음 타이어의 중심선에 게이지 포인트를 일치시켜서 고정시킨다. 마) 토인 게이지를 그대로 앞바퀴의 앞으로 옮겨서 게이지 쪽의 포인트를 움직여 타이어의 중심선에 맞춘 다음 눈금을 읽는다. 바) 앞바퀴의 뒤쪽 폭에서 앞쪽 폭의 길이를 뺀 값이 토인이다. 이 값이 규정값(4~5mm)과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타이로드의 고정 너트를 풀고 가감 조정해야 한다. 조정한 다음에는 반드시 다시 토인을 확인, 측정하고 고정너트를 꼭 죈다.

토인 조정위치
5) 드래그 링크 엔드의 흔들림 측정
가) 드래그링크 엔드의 어느 한쪽을 떼어 낸다. 나) 드래그링크 엔드에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한다. 다) 드래그링크를 손으로 밀어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의 흔들림을 읽는다. 라) 사용 한도를 넘은 것은 드래그링크 엔드를 교환한다. 사용한도는 제작회사마다 다르나 일반적으로 0.3~0.5mm 정도이다.

드래그링크엔드 흔들림 측정
6) 조향핸들의 요축값 측정
가) 조향핸들 커버를 벗긴다. 나) 마그네틱 베이스에 부착한 다이얼 게이지를 조향핸들 축의 가운데에 장착한다.

다) 핸들을 축방향으로 움직여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 변화량을 읽는다. 라) 측정값을 기준값(0.2mm)과 비교해 보아 측정값이 크면 조향기어 하우징의 위쪽 커버에 있는 심의 매수를 줄인다. 이때 요축이 과도하게 크면 분해하여 베어링의 마멸이나 손상이 아닌가 확인해 보아야 한다.
7) 앞바퀴 타이어의 흔들림 측정
가) 엔진부를 잭으로 들어 올린다. 나)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 조정한다. 다) 타이어를 천천히 돌려서 흔들림을 측정한다. 라) 기준치는 일반적으로 타이어 외주로 5mm이내 이다. 마) 기준치를 넘은 것은 앞바퀴 허브 속의 베어링 및 타이어링을 점검한다.

타이어 흔들림 측정
카. 밸브간격 조정
1) 밸브간격

2) 밸브간격 점검
가) 엔진열이 없을 때 한다. 나) 필터게이지로 밸브엔드와 로커아암 사이를 점검(점검하고자 하는 밸브가 작동되지 않아야함) 3) 밸브간격 조정법 (3기통 엔진으로 폭발순서가 1, 2, 3 일 때)
가) 번피스톤(라디에터 쪽)을 압축상사점에 놓고
1. 1번 흡, 배기밸브를 점검 조정 (1, 2번) 2. 2번 배기밸브를 점검 조정 (4번) 3. 3번 흡입밸브를 점검 조정 (5번)
나) 플라이휠을 다시 1회전시켜 (1번 피스톤의 양 밸브가 오버랩 상태일 때)
1. 2번 흡입밸브(3번)와 3번 배기밸브(6번)을 점검 조정한다. 2. 조정나사를 우측으로 돌리면 간격이 좁아지고 3. 조정나사를 좌측으로 돌리면 간격이 넓어진다.
※ 소형은 플라이휠에 각 기통별의 타이밍 마크가 새겨져 있으므로 기통별 각각을 별도로 조정하여도 된다.

타. 디이젤 엔진의 압축 압력측정
1) 측정방법
가) 엔진의 온도가 정상온도가 되도록 열올리기 운전을 한다. 나) 압추공기를 사용하여 노즐부근의 먼지나 불순물을 제거한 뒤 모든 노즐을 뺀다. 다) 정지보턴을 뽑아 연료가 연료분사펌프에 공급되지 않게 한다. 라) 공기청정기를 떼어내고 압축 압력계를 부착한다. 마) 엔진을 크랭킹(10∼20초)하여 200∼300 R.P.M일 때 4∼6회 측정하여 최고값을 읽는다. 바) 압축 압력이 수정 한계값보다 낮을 때에는 노즐 호울더 구멍으로 한스푼 정도의 오일을 주입하고 다시 확인한다. 한계치는 기준압력의 85%이상이어야 한다.
2) 판정방법
가) 바)와 같은 방법으로 오일을 주입하여 크랭킹시 압력을 측정한 결과 압축압력이 올라가면 피스톤 링의 마모나 링의 교착이 있으므로 점검을 한다. 나) 바)와 같은 방법으로 오일을 주입하여도 압축압력이 올라가지 않으면 밸브관계 또는 실린더 헤드관계의 고장이라 볼수 있으므로 점검을 한다. 다) 다기통 엔진에서 실린더간의 압축압력 차가 10% 이상 있을때는 원인을 규명하여 수정을 한다. 라) 압축압력 측정은 만충전의 배터리 및 정상적인 밸브간격을 점검한 뒤 측정한다.
파. 분사시기 조정
1) 대형
가) 분사시기-상사점전(BTDC) 19° 나) 조정방법-그림에 표시된 몸체의 눈금과 엔진앞 댐판에 새겨진 "0"의 마크가 일직선이 되게 맞춘다.
1. 아래로 돌리면-분사시기가 빨라진다. 2. 위로 돌리면-분사시기가 늦어진다.
※ 분사시기가 맞지 않으면 엔진 내부에 녹킹음이 발생되거나 또는 엔진이 과열된다.

대형트랙터의 분사시기조정
2) 중, 소형
가) 분사시기-상사점전 25° 나) 조정방법-연료펌프 취부대 아래에 있는 조정시임으로 조정
1. 시임을 더 넣으면-분사시기가 늦어짐 2. 시임을 빼어 내면-분사시기가 빨라짐
다) 시임 1매의 증감에 따른 크랭크 각이 1.5°씩 변한다.

소형트랙터의 분사시기조정
하. 계기 및 배선점검
1) 계기 및 경고 장치의 점검
가) 주 스위치의 점검
1. 주 스위치가 시동 스위치를 겸하고 있는 기종은 주 스위치를 떼내어 다음과 같이 점검한다.
가. 키이를 꽂지 않고 B단자와 각 단자 사이에서 회로 시험기로 통전시험을 한다. 이때 P단자는 통전되고 그밖의 단자는 통전되지 않아야 정상이다. 나. 키이를 꽂고 오른쪽으로 1단 돌려 "ON"위치로 한 후 다시 B단자와 각 단자 사이의 통전 시험을 하여 IG 단자만 통전되고 나머지 단자는 통전되지 않아야 정상이다. 다. 키이를 오른쪽으로 1단 더 돌려 START위치로 한후 같은 방법으로 통전시험을 한다. 이때는 B단자와 IG, 시동단자인 ST단자는 통전되고 나머지는 통전되지 않아야 한고 키이에서 손을 놓으면 "ON"의 위치로 되돌아가야 정상이다. 라. 키이를 왼쪽으로 1단 돌려 'HEAT'위치로 한다. 이때는 B단자와 IG, 예열단자인 H단자만 통전되어야 한다. 마. 다시 왼쪽으로 1단 더돌려 'HEAT-START'위치로 한다. 이 때 B단자는 P단자를 제외한 IG, H, ST 단자와 모두 통전되어야 하고 키이를 놓으면 'OFF'스위치로 되돌아가야 한다.

시동키이의 위치 |

시동키이의 위치에 따른 단자의 접촉 |
2. 주 스위치는 분해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상이 발견되면 통째로 교체한다.
시동키이의 위치 시동키이의 위치에 따른 단자의 접촉
나) 유압경고등 점검
1. 유압경고등은 주 스위치를 "ON"위치로 하면 켜지고 시동이 되어 유압이 발생하면 꺼져야 정상이다. 2. "ON"위치로 하여도 경고등이 켜지지 않으면 배선이나 램프의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이 업으면 회로 시험기로 유압스위치의 몸체와 단자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 이때 저항이 거의 없어 통전되어야 정상이다. 3. 시동이 되어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먼저 시동을 끄고 다음 순서로 점검한다.

유압경고등
가. 엔진오일의 양을 점검하고 부족하면 규정량대로 채운다. 나. 유압경고등 전구와 유압 스위치 사이의 배선에서 접지된 곳이 없나 점검한다. 다. 오일의 양이나 회로상의 고장이 발견되지 않으면 유압계를 유압스위치 장착부에 설치하고 기관을 시동한 후 유압을 측정하여 규정압력(0.4㎏/㎠정도)보다 낮으면 엔진오일 여과기나 엔진오일 통로의 막힘, 엔진오일 펌프등을 점검한다. 라. 측정한 유압이 규정 압력보다 높게 나타나면 유압스위치의 단자 조정나사로 저정하거나 유압 스위치를 교체한다.
다) 충전 경고등의 점검
1. 충전 경고등도 주 스위치를 "ON"의 위치로 하면 켜지고 시동이 되어 충전이 되기 시작하면 꺼져야 정상이다. 2. 주 스위치를 "ON"의 위치로 하여도 경고등이 켜지지 않으면 배선이나 전구를 점검하고 이상이 없으면 교류 발전기 조정기를 점검한다. 3. 시동이 되어도 경고등이 꺼지지 않으면 경고등 배선이 접지된 곳이 없나 점검하고 이상이 없으면 발전기나 조정기를 점검한다.
라) 냉각 수온계의 점검
1. 온도계 감지부를 실린더에서 떼낸다. 2. 회로 시험기로 수온계 감지부의 저항을 측정한다. 이때 지침이 0Ω을 가리키면 단선이므로 수온계 감지부를 같은 것으로 교체한다. 3. 수온계 감지부와 온도계를 물속에 넣는다. 이때 감지부의 감지기는 수면에서 3㎜정도 올라오도록 한다. 4. 물을 천천히 가열하면서 정비 지침서의 기준 온도에 이르렀을 때 감지부의 저항을 측정한다. 측정값과 정비 지침서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교체한다. 이때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이 점차 줄어들므로 꼭 규정온도에서 측정해야 한다.

온도계 감지부의 점검
5. 감지부에 이상이 없는 데에도 수온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으면 배선을 점검하고 배선에도 이상이 없으면 수온계 지시부를 감지부와 같은 것으로 교체한다. 이때에는 라디에터나 수온 조절기의 상태를 미리 점검해서 이상이 없아야 한다.
온도계 감지부의 점검
마) 연료계의 점검
1. 연료계는 연료탱크에 연료가 규정량으로 채워져 있을 때에는 "F"나 "FULL" 구역을 가르키고 연료가 거의 소모되면 "E"나 "EMPTY"를 가르키면 정상이다. 2. 연료계가 잘 작동되지 않으면 연료계 감지부를 떼내서 저항을 측정하여 기준값과 비교한다. 3. 저항이 기준값과 차이가 있으면 감지부의 고장이고 기준값과 일치하면 지시부의 고장이다.
바) 기관 회전 속도계와 사용 시간계의 점검
1. 기관 회전 속도계와 사용 시간계가 작동하지 않으면 미터 케이블이 끊어지지 않았나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케이블을 교체한다. 2. 미터 케이블 내부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플렉시블 축이 있으므로 될수 있는대로 구불림 각도를 작게해서 설치해야 한다. 3. 미터 케이블에는 1년에 한번 정도 오일을 주유해야 한다. 4. 기관 회전 속도계나 사용 시간계는 함부로 분해하지 않는다.
2) 시동 회로의 점검
가) 배터리 테스터나 비중계 등을 사용하여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점검한다. 나) 배터리 단자가 이물질로 인해 접촉이 불량하지 않나 점검한다. 다) 시동전동기 단자의 접촉상태를 점검한다. 라) 회로도를 보고 시동회로의 배선이 잘못된 곳이 없나, 단선 또는 단락된 곳이 없나를 점검한다. 마) 회로 시험기로 안전 시동 스위치를 점검한다.
1. 클러치 페달과 연결된 것은 페달을 밟으면 통전되고 페달을 놓으면 통전되지 않는 것이 정상이다. 2. 부변속 레버와 연결된 것은 레버를 중립에 두면 통전되고 중립 이외의 단에 들어가 있으면 통전되지 않아야 정상이다.
바) 시동 스위치가 있는 것은 시동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에는 통전되고 손을 떼면 통전되지 않아야 정상이다. 사) 주 스위치를 점검한다. 배선을 풀어낸 후 시동 키이를 꽂고 돌렸을 때 각 단자의 연결상태를 테스터로 점검한다. 아) 시동회로의 배선에 이상이 없는 데에도 기관이 정상적으로 크랭킹되지 않으면 시동 전동기의 무부하 시험을 한다.

시동 회로도
1. 트랙터에서 배터리를 떼낸다. 2. 시동 전동기를 기체에서 떼낸다. 3. 시동 전동기를 가볍게 바이스에 고정한다. 이 때 시동 전동기 외부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좁촉부에 두꺼운 천 등을 끼워 고정한다. 4.시동 전동기의 외부와 단자를 깨끗이 청소한다. 5. 전류계의 쪽을 배터리의 단자로, 쪽을 시동 전동기의 B단자 쪽에 연결한다. 시동 전동기에는 큰 전류가 흐르므로 배선은 충분히 굵은 선을 사용한다. 또 연결부의 접촉이 불량하면 스파아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확실히 접촉되도록 해야 한다. 6. 배터리의 단자와 시동 전동기 몸체를 연결한다. 7. 시동전동기의 B단자와 몸체 사이에 전압계를 연결한다.

무부하 시험 결선

전동기 부분 시험 결선 방법
8. S단자와 B단자 사이에 스위치를 "OFF"상태로 연결한다. 9. 스위치를 "ON"위치로 한다. 10. 전동기가 회전하면 전류계와 전압계의 눈금을 읽고 회전계로 회전속도를 측정한다. 이때 전동기가 오랫동안 회전하면 배터리나 시동 전동기가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20초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11. 측정한 전압, 전류, 회전속도(45A-11V-600 R.P.M 소형기준)를 기준값과 비교한다. 12. 배선이 올바르게 되어있어도 시동 전동기가 회전하지 않으면 전동기 부분만 결선해 본다. 이때 회전하면 마그네틱 스위치의 이상이고 회전하지 않으면 전동기 부분의 고장이다.
무부하 시험 결선 전동기 부분 시험 결선 방법
3) 충전 회로의 점검
가) 발전기의 출력시험 (기관에 설치전 시험)
1. 가변 저항기가 설치된 전압, 전류계와 가변속 전동기를 준비한다.

충전회로도

교류 발전기 출력 시험배선
2. 전류계는 직렬 접속하고 전압계는 병렬로 접속한다. 3. 가변속 전동기로 발전기를 구동시킨 다음 스위치(S )를 넣는다. 4. 발전기의 속도를 저속에서부터 서서히 올려 전압계의 지시가 13.8~14.8V를 나타낼 때 발전기의 회전이 800~1000 R.P.M이면 양호한 것이다. 5. 스위치(S )를 넣고 전압계의 지시가 13.8~14.8V에 이르도록 가변저항을 저항해서 전류계의 지시가 25A일 때 발전기의 회전이 3000 R.P.M이면 양호하다.
충전 회로도 교류 발전기 출력 시험배선
나) 로터 코일, 슬립 링, 브러시 점검
1. 교류 발전기의 연결기를 떼어낸다. 2. 발전기의 F단자와 E단자 사이에 저항을 측정한다. 3. 규정값(기준치 6Ω, 한계치 10Ω)이 넘거나 부족하면 로터 코일, 슬립 링, 브러시의 이상으로 판단한다.

로터 코일, 슬립 링, 브러시의 점검

연결기 전압 점검
다) 연결기의 전압 점검
1. 발전기와 조정기 사이의 연결기를 뗀다. 2. 연결기의 F단자와 E단자 사이에 전압계를 설치한다. 3. 시동(메인) 스위치를 넣고(시동하지 않은 상태) 전압계가 기준값 12V 이상이면 양호하다. 전압이 나타나지 않으면 퓨우즈가 떨어졌거나 주 스위치 등의 회로에 단선이 생긴 것이다. 만일 배선에 이상이 없는 데에도 전압이 낮거나 나타나지 않으면 조정기를 점검한다.

절연 회로의 저항 시험

접지 회로의 저항 시험
라) 절연 회로의 저항시험
1. 배터리의 접지 케이블을 떼어낸다. 2. 기동 전동기 릴레이에서 발전기 배선을 떼어낸 다음 전류계의 한 선은 릴레이에 접속하고 다른 한선은 발전기의 배선에 연결한다. 3. 전압계의 한선은 발전기 출력단자(B단자)에 연결하고 다른 한선은 전류계에 연결한다. 4. 점퍼 와이어를 사용하여 조정기 커넥트의 A단자와 F단자를 연결한다. 5. 접지 케이블을 연결하고 기관을 가동한 다음 전류계가 20A를 가리킬 때까지 가속한다. 6. 절연 회로내의 과대한 저항은 충전 경고등이 있는 트랙터에는 0.3V, 전류계가 설치된 것은 0.7V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마) 접지회로의 저항시험
1. 전압계의 한 선은 발전기에 접지시키고 다른 한 선은 배터리(-)단자에 연결한다. 2. 이때 전압이 0.3V 초과해서는 안된다. 3. 회로 내에 과대한 저항이 발생될 때는 각부의 조임 및 연결상태를 단단하게 한다.
절연회로의 저항시험 접지회로의 저항시험
갸. 예열 장치 점검
1) 봉상형 예열 플러그
연소실이나 흡기를 전기로만 가열하는 예열장치는 멀티 미터에 를 연결하고 저항을 측정하여 기준값(1.6Ω, 22HP)과 비교해 보고 이상이 없으면 배터리와 연결하여 적열되나 확인한다.

봉상형 예열 플러그의 구조 예열 플러그의 회로

예열 플러그의 회로
2) 연료 분사형 예열 플러그
연료를 분사하여 흡기를 예열하는 형식은 먼저 가열 코일의 저항을 측정하고 이상이 없으면 적열 상태를 확인한 다음 시동 키이를 조작하여 크랭킹시킨다. 이때 예열장치에서 연료가 분출되고 분출된 연료가 가열 코일에 의해 점화되면 정상이다.

히이터 코일구조 |

히이터 코일 회로도 |
3) 연료 분사형 보올밸브의 누유점검

보올 밸브 압력시험
예열 플러그를 경유속에 담그고 연료 파이프 입구로 1.4㎏/㎠의 압축공기를 10초간 가하여 노즐 몸체연결부의 밸브스탬에서 공기가 새어 나오지 않으면 양호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