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중심 마을정책으로 곳곳 활기 넘치고 주민활동 늘어
- 마을공동체 594개로 전년비 141개 증가…자발적 공동체 급증
- 사업도 돌봄·교육·복지나눔·마을경제 등으로 다양화
- 교육공동체·분쟁해결센터·마을소통 공간조성 등도 성과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광주광역시 민선6기 시민중심 행정의 대표정책 중 하나인 마을공동체 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자발적인 마을주민 모임과 활동이 크게 늘었다.
마을 내 다양한 활동이 늘어나면서 이웃과 관계를 맺게 되고, 이를 통해 마을 일을 주민들 스스로 해결하는 마을자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이 마을의 독특한 문화로 이어져 진정한 의미의 마을공동체로 변신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통계적으로 볼 때 2014년에는 213개였던 마을공동체 수가 지난 9월 전수조사 결과 594개로 무려 180%가 늘었다. 작년과 비교해서도 141개가 더 늘어난 것으로 매년 마을공동체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형태별로도 기존에는 주민자치위원회,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 등 단체중심으로 활동이 이루어졌다면 작년부터는 주민중심의 공동체가 늘어나면서 올해는 594개 마을공동체 중 주민협의체, 동아리, 마을협동조합 등이 472개로 전체 마을공동체 수에 80%에 육박하고 있다.
사업 또한 과거 마을환경개선 중심의 단순 사업 형태에서 벗어나 주민들의 관계망 형성, 돌봄, 교육, 복지나눔, 마을경제, 마을비전계획 수립 등으로 마을사업이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민선6기 광주시의 마을정책과 맞닿아 있다. 민선6기 윤장현호가 출범하면서 행정에의 시민참여와 공동체 회복을 목표로 마을정책을 제로베이스에 놓고 시민, 활동가, 전문가, 행정이 모여 수차례의 워크숍과 시민토론회를 거쳐 시민이 설계한 마을정책으로 새판을 짰기 때문이다.
주목되는 부분은 마을에서 주민 스스로 마을활동을 할 수 있는 지원 그물망을 촘촘히 구축한데 있다. 현장에 직접 들어가 주민활동을 도와주고 컨설팅 해주는 마을코디네이터가 자치구별 2~3명씩 배치돼 마을현장을 누비고 다니며 지원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촘촘한 네트워크 구축과 협업시스템도 주목할 만하다.
마을활동가, 전문가, 행정이 참여해 마을정책을 함께 논의하는 ‘마을정책 민관워크숍’을 운영 중이고, 마을활동가들의 자발적 모임인 ‘광주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연계해 마을정책에 대한 피드백을 받고 있다
또한 행정내부 칸막이를 없애고 부서들간에 협업을 위해 마을사업을 하는 시의 13개 부서와 5개 자치구, 시교육청, 자원봉사센터 등 마을관련 5기관이 참여하는 ‘마을정책플랫폼 회의’를 2014년 12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올해만 해도 11차례 회의를 통해 2016년 마을계획 수립, 통합공모, 통합심사, 설명회 등을 진행했다.
마을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주민교육과 마을활동가 양성을 위해 마을학교를 운영하고 있는데 올해에만 1000여명이 이 마을학교를 거쳐 갔다.
주민들이 느끼는 가장 큰 변화는 마을공동체 지원 부분이다. 그동안 지적되어온 일회성 사업, 관주도, 벽화 등 단순한 프로젝트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소규모 마을모임 확산과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를 위해 형성단계(씨앗기-성장기-열매기)에 따라 지원을 체계화했다.
씨앗기는 ‘마을모임 형성지원사업’에서, 경험과 역량이 있는 공동체는 자치구 자유공모사업에서, 마을특성에 따라 인권마을, 복지마을, 여성친화마을 등에서 지원을 받아 350여개의 마을이 활동지원을 받았다. 이와 같이 마을특성, 경험과 역량, 사업규모 등에 맞게 마을사업을 지원하게 됨에 따라 사업내용도 다양해지고 내용도 풍부해졌다.
특히, 광주시와 시교육청이 협업으로 추진한 마을과 학교가 함께 하는‘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은 첫해부터 예상외의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올해 23개 마을교육공동체가 활동을 하고 있는데 남구 양림동 주민과 학강초등학교가 연계해 양림동 문화자원을 활용한 1학년부터 6학년까지 교과와 연계한 수업들과 광산구 행랑채와 정광고의 지역주민의 재능을 활용한 진로체험, 동아리 활동 등은 크게 주목을 받았다.
주민들이 모이고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는‘마을커뮤니티 공간조성 사업’또한 올해 처음으로 실시된 사업으로 7개 공동체에 4억여원을 지원했다.
광주서초등학교 내에 화정동1동 주민커뮤니티 공간 ‘잇다’가 조성됐고, 월산동 금호평생교육관 2층에는 마을청소년 카페 ‘친구네 집’이 만들어졌으며, 광산구 월곡동에 마을공동육아센터 ‘마을아이’가 조성돼 마을활동에 거점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더불어 마을내의 각종 분쟁도 마을 자체적으로 해결해 가면서 더 큰 갈등으로의 확대를 차단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마을분쟁해결센터가 있다.
개소 1년만에 150여건의 이웃간의 다양한 생활갈등을 해결해 마을 갈등해결사로 자리를 잡았다. 더욱이 올해부터는 센터까지 오지 않더라고 사는 곳에서 부담없이 찾을 수 있는 ‘마을소통방’4개소를 열어 갈등예방 뿐만 아니라 주민 갈등 중재의 한축을 맡게 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마을소통방은 현재 노대동 ‘콩깍지 송화마을’, 진월동 ‘이웃사촌마을’, 주월2동 ‘오카리나 문화마을’, 백운1동 ‘오순도순 까치마을’등 4곳에 개소했으며 이 곳에는 소정의 교육을 이수한 33명 주민이 주민화해지원인 자원봉사로 참여해 갈등을 중재하고 있다.
김재철 참여혁신단장은 “올 한해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행정지원을 위해 쉼없이 달려왔는데 마을 이곳저곳에서 들썩들썩하고 다양한 활동을 하는 모습을 볼 때 정말 뿌듯하고 보람을 느꼈다”면서 “앞으로도 더 많은 주민이 마을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민에 눈높이에 맞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