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태도: 인플레이션 억제, 경기 과열 방지
선호 정책: 금리 인상, 통화 긴축
신념: “물가가 안정돼야 경제가 산다”
비유 이미지: 매처럼 날카롭고 공격적, 경제에 칼을 드는 쪽
💬 예:
“요즘 미국 연준은 매파 성향이 강해지고 있어.”
“한국은행 총재가 매파적인 발언을 했대.”
━━━━━━━━━━━━━━━
📌 2. 비둘기파(Dove) – “경기 살리자!”
주요 태도: 경기 부양, 고용 안정 중시
선호 정책: 금리 인하, 통화 완화
신념: “경기가 살아야 물가도 잡힌다”
비유 이미지: 비둘기처럼 부드럽고 온화, 시장에 숨통을 트여주는 쪽
💬 예:
“비둘기파 위원이 많으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높아.”
“시장이 비둘기파 발언에 안도하고 있다.”
━━━━━━━━━━━━━━━
📌 쉽게 비교하면?
항목 🦅 매파 🕊️ 비둘기파
성향 | 긴축적 | 완화적 |
목표 | 물가 안정 우선 | 경기 부양 우선 |
선호 조치 | 금리 인상 📈 | 금리 인하 📉 |
표현 이미지 | 공격적, 강경 | 온화, 유화적 |
━━━━━━━━━━━━━━━
📌 비슷한 개념 ✨
💸 긴축 vs 완화
🧊 인플레 파이터(Inflation fighter) vs 🌱 고용 안정론자
🔺 긴축 발언(Hawkish talk) vs 🔻 완화 발언(Dovish talk)
━━━━━━━━━━━━━━━
📌 한 줄 요약
➡️ 매파 = 금리 올려 물가 잡자!
➡️ 비둘기파 = 금리 낮춰 경기 살리자!
━━━━━━━━━━━━━━━
둘 사이 균형이 중요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