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하반기에 홈페이지를 통해 책을 구입하였습니다. 현재 동영상도 보고 있습니다.
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1. p.42
'케이블의 굵기 및 심선(또는 쌍수)는 다음과 같이 기입하고 필요에 따라 전압을 기입한다.'
ex)
1.6mm 3심인 경우
0.5mm 100쌍인 경우
Q : 심/쌍이라는 것이 검색을 해보니깐. 영어로 Core, Pair라고 검색이 되더라구요.
1- 3심의 경우에는 전선이 중신에 3가닥 있다는 말인가요?
2- 100쌍이라고 하면 100Pair라는 말인데, 구리선 같이 100가닥 있다는 말인가요?
2. p.43
풀박스 및 접속상자
Q : 풀박스=접속상자 라고 이해하면 되나요?
풀박스 정의를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접속상자에 대한 개념은 없더라구요.
풀박스는 안이 완전 텅빈 상자고, 접속상자는 조그마한 부품이 들어있어서, 회로연결에 도움이 될것 같던데.
제가 알고 있는 것이 맞나요?
3. p.44
접지단자, 접지센터, 접지극
Q ; 이 세가지가 같다고 보면 되는건가요?
4. p.45
콘덴서 - '전동기의 적요를 준용한다.'
Q ; 전동기의 내용에 따라 적용한다 <-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
5. p.46
형광등 - (2) 벽붙이는 벽 옆을 칠한다.
가로붙이인 경우
세로붙이인 경우
Q ; 이렇게 가로, 세로 경우로 두가지로 나눌 수 있던데, 조금 이해가 잘 안되던데 과년도를 보면 예시가 나와있는 건가요?
6. p.46
형광등 - (4) 용량을 표시하는 경우는 램프의 크기(형)X램프의 수로 표시한다.
또, 용량 앞에 F를 붙인다.
[보기] F40-2, F40X2
Q : 위에 처럼 써져 있던데, F40-2와 F40X2랑 같은 건가요? X라고 표시한다고 했는데, 보기에 '-'로도 표시가 되어있길래 질문을 올립니다.
7.
Q : '방폭형'이라는 단어를 사전에 찾아보니 두 가지 뜻이 있더라구요.
1. 회로의 전압이 일청치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2. 전기전자회로를 주변 기체로부터 격리시키는 구조
이렇게 두가지로 표시되어 있던데, 전기기사에서 방폭형은 첫번째만 가리키는 말인가요?
8. p49
Q: 점멸기에서 오른쪽 밑에 2P라고 쓰면 2극이라고 하더군요.
그런데 밑에 보면 '플라스틱은 P를 표시한다.'이렇게 나와 있던데, 2극 플라스틱은 어떻게 표시하나요?
9. p53 & p57
Q : 53페이지에서 벨은 네모 모양에다가 원을 밑에 그려서 합친 그림이더라구요. 근데 뒤에 페이지를 넘겨서 보면(p57)은 '경보벨'이라고 B에다가 동그라미를 그려 표시를 했더군요.
p53쪽의 벨도 '경보, 호출, 표시장치'안에 들어가던데
비상경보설비에 속한 것(두번째 벨-p57)이랑은 아예 다른 종류인가요?
10.
마지막으로 이렇게 자세하게 볼 필요가 없나요? 찝어주신것 말고 다른 기호들은 안외우고 그냥 한번만 쭈욱 보고 있는데, 외울필요가 없겠죠? 앞에는 과정은 단어만 나오는데 뒤에는 ~경우, 이런 문장전체를 외우려고 하니 힘드네요.
질문이 많네요 ㅠㅠ죄송합니다.
수고하세요.
첫댓글 안녕하세요..답변드립니다.
1. 맞습니다.
2. 풀박스란, 전선관의 길이가 너무 길때, 전선을 한번에 넣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 풀박스를 중간에 만들어 전선을 넣기 쉽도록 하기 위한 전선 연결 박스입니다.
3. 접지 센터는 접지단자들을 모으는 부분입니다.
즉, 여러 접지선들을 접지 센터에 모아서 접지극으로 접지를 하는 것입니다.
4. 맞습니다.
5. 과년도에 예시가 나와있을수도 있으나, 문제가 출제된다면 예시가 없다고 생각하고 모양을 완전히 암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6. 같지만, 곱하기 표시로 암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7. 방폭형이란 폭발성 가스등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불꽃, 온도 상승등의 의해 폭발하지 않는 구조
8. 2P-P로 표시하면 됩니다.
9. 일반적인 벨과 비상경보 벨은 다릅니다.
10. 자세하게 보면 좋겠지만, 처음부터 이렇게 꼼꼼하게 보시면, 빠릴 지칠수가 있습니다.
뒷부분의 공부도 굉장히 많기 때문에, 이부분은 나중에 여유가 되면 더 깊이 암기를 해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