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샘의 해부학-노후관로 1백년 넘은 관 세척은
우리나라 매설관 최고령은 부산 대나무관 139살
주철관 뚝도정수장에서 4대문 공급 119살이 최고령
관로 교체, 갱생, 세척시 오래된 매설관 정밀 확인 필요
1 백년 넘은 영국산 주철관 뚝도에서 4대문 안으로 매설
우리나라의 관로도 1 백년이 넘은 관들이 매설되어 있다.
매설시기를 추적해(수도 1백년사) 가면 부산 보수천 대나무관(1886년)은 139살이지만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 아직도 땅 속 어디엔가 있을지 모르지만 일본의 동경 물 과학관에는 1백년 넘은 대나무관을 비롯하여 에도시대 (1603-1867년)의 물 도구 들이 전시되어 있다.(일본 유리카모메 선 ‘도쿄 빅사이트’ 역, 린카이 선 ‘고쿠사이텐지조’역)
보수천 대나무관이 민간인에 의해 개설된 관로라면 1906년(나이 119살) 뚝도 정수장에서 통수하기 위해 매설한 관은 정부가 관여한 최초의 관이다. 정부(경성부)와 민간기업(미국인 칼브란 기업이 특허권을 양도한 영국 조선수도회사)이 설계 및 시공한 서울 4대문 안과 용산일대의 주민 16만 5천명에게 공급하기 시작했다.(600mm관 1,233m, 500mm관 1,667m, 400mm관 1,208)
400mm에서 600mm관은 당시로도 매우 큰 구경의 관으로 영국산 수도관이 사용되었다.(우리나라는 과거를 마치 쓰레기를 버리듯 폐기하는 습성이 강해 이같은 흔적들을 찾아보기 어렵고 과거를 지워버리고 있다.)
인천,진주,목포,광주,공주,통영,포항,춘천,김천 백살 넘어
인천(송현배수지)은 노량진에서 인천으로 공급하는 500mm관이 30km가 매설되었고(1910년, 115살), 경남 진주 진주성 200mm관(1911년, 114살), 전남 목포1수원지 (1911년,114살), 전남 목포 2,3,4수원지(1912년, 113살), 대구 가창정수장, 대봉1호배수지(1918년, 107살), 전남 광주1수원지 동구 증심사일대, 강관사용(1920년, 105살), 충남 공주 중학정수장(1923년, 102살 ), 경남 통영(급수인구 2,600명), 포항 1수원지(1924년, 101살), 강원도 춘천 근화수원지, 경북 김천 직지천계통(1925년, 100살)등이 백세를 넘긴 관들이 어디에선가 땅 속에서 숨쉬고 있다.
1백년 넘은 관들이 현재까지 잘 활용되고 있는지는 제대로 확인되기 어렵다. 따라서 향후 세척, 관로갱생, 관로교체시 폐기되는 관로의 역사적, 노후도 검사등을 확인하고 일부 관들은 보전할 필요가 있다.
1백세 이상의 땅속 관로는 부산 보수천, 서울 뚝도, 인천(송현배수지), 경남 진주, 전남 목포, 대구 가창, 전남 광주, 충남 공주, 경남 통영, 경남 포항, 강원 춘천, 경북 김천등 13곳에 매설된 관들이다. 관로 매설연대를 보면 당시 우리나라 지역사회에서 이들 도시들이 일본인의 활동이 활발했고, 식량, 광물자원등 주요 거점 도시였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증명하고 있다.
80세 이상은 김제, 순천, 울산, 천안, 사천, 영천, 청주등
1백살을 내다보는 관로는 전북 김제 검산수원지(동진강 1932년, 93살), 전남 순천 옥천정수장(1933년,92살), 경남 울산읍(급수인구 5,500명), 충남 천안취수장, 수도산배수지(1935년,90살), 경남 사천정수장, 전북 김제 상수도공급 (1937년,88살), 경북 영천상수도공급, 충남 서천 장항정수장준공 (1938년,87살), 충북 청주 영운수원지 신설(1939년,86살), 강원도 동해 부곡수원지(1940년,85살), 대구 산격구정수장 준공(1940년,85살), 충북 제천 동현수원지, 경북 안동 급수(1941년,84살)등이다. 서울 구의정수장은 1936년 착공하여 1941년 준공하면서 수돗물을 공급하였으며 해방이후 46년부터 확장공사를 1957년 공사를 진행했다(1941년, 84살)
해방이후에는 전남 고흥 신금정수장 통수 봉래면 일대 공급(1945년, 80살)하여 80세 이상 고령의 수도관은 김제, 순천, 울산, 천안, 사천, 김제, 영천, 서천, 청주, 동해, 대구, 제천, 안동, 서울 구의, 고흥등이다.
50세 이상은 공주,북제주,문경,순천,태백,울릉,김제등
부산 회동댐 명장정수장(1946년, 79살), 대전 유동천계통 산성 정수장(1950년, 75살), 경기도 여주 상수도 신설(1953년), 부산 명장정수장 확장생산(1958년, 67살), 대구 가창정수장, 두류정수장 준공(1959년, 66살), 충남 공주 옥룡취,정수장준공, 북제주 애월읍 지하수 통수(1961년, 64살), 북제주 한림지역 상수도공급(1962년, 63살), 경북 문경 점촌 개인급수,전남 순천 와룡수원지 준공,,강원도 태백 상수도공급(1963년, 62살), 전남 목포 나주계통 상수도 공급, 대전 회덕정수장 1차준공(1964년, 61살), 경북 울릉 도동정수장 준공, 부산 명장정수장확장, 오륜정수장 준공 (1965년, 60살)등이 60년 이상을 넘기고 있다.
서울 보광동취수장 통수(1967년, 58살), 전북 김제 월미정수장(1968년, 57살),대전 금강계통 회덕정수장 상수도 확장준공(1969년, 56살), 제주도 어승생 수원지, 경기도 안양 상수도 급수, 충북 청주 지북정수장(1971년, 54살)이 통수되어 상수도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50년 넘은 관이 매설된 지역은 부산, 대전, 여주, 대구, 공주, 북제주, 문경, 순천, 태백, 목포, 대전, 울릉, 김제, 제주도 어승생, 안양, 청주등이다.
1970년대 이후에는 한강원수 공업용수, 수원-안양 공업용수 통수(1974년, 51살), 낙동강 광역상수도, 포항공업용수도, 거제 공업용수도(1980년, 47살), 전남 목포 대동댐계통 석현정수장, 수도권광역상수도 2단계, (1981년, 46살), 울산 공업용수도,(1982년, 45살), 낙동강 광역상수도 준공(1983년, 44살), 금강계통 광역상수도 준공(1984년, 43살), 서울 암사정수장 공급(1986년, 41살), 대전 송천정수장 확장(1987년, 40살), 광역상수도 3단계 확장, 충남 아산시 대청댐 광역상수도 통수 (1988년, 39살), 광주 덕남정수장 준공(1994년, 33살), 전남 나주 동지역 주암댐계통 광역상수도(1996년, 31살), 제주도 우도,추자도 담수화(1997년, 30살 ), 구미광역상수도 2단계 준공(1998년, 29살), 대청호 신탄진 정수장 준공(2000년, 25살), 원주권 광역상수도 준공 (2005년,20살)등이다.
해방 이전까지는 영국산 수도관을 시작으로 일본에서 생산된 수도관들을 매설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강관은 1920년대 광주 1수원지 준공시부터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수도계량기 설치는 1939년부터 일본의 청염제작소가 제작한 계량기를 설치했다.(청염제작소는 해방이후 마포산업이 인수했으며 마포산업은 금호전기, 금호미터텍, 이지트로 변천했다. 이지트는 옴니와 합병하여 DR(두레산업)이 운영하고 있다. 금호그룹이 분화되면서 계량기 사업도 손을 떼고 금호에서 종사한 인사들이 대명아이치, 신한매카트로닉, 경성제닉스등을 운영하고 있어 마포산업(금호전기) 출신들이 초창기 수도계량기의 제품 생산에 다수가 포진하고 있다.)
해방 후 1945년에는 한국에서도 수도관이 생산되기 시작했다는 기록은 있지만 어떤 기업이 생산했는지는 알 수 없다.
한국주철관공업은 1953년부터 생산, 부산철관공업(현 세아제강)은 1960년, 서광공업은 1964년, 동아금속산업(닥타일 주철관)은 1968년부터 생산했다.
1950년경에는 국산 펌프가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청동밸브는 1964년부터 연합밸브가 생산하기 시작했다.
수도1백년사를 편찬하면서 가장 난감했던 것은 1945년까지의 수도에 대한 수질, 관로, 정수처리등은 상세히 알 수 있었으나 해방 이후 1960년대까지의 기록물은 찾기가 힘들었고 자료도 남아 있지 않았다. 우리나라 정부나 지자체는 관련된 서류, 기록물등에 대해 5년 후면 자동 폐기한다는 조항에 의거 대부분 폐기하는 것이 관례처럼 되어 옛것의 기록물은 헌 책방에서조차 찾기가 어렵다.
특이점은 1964년 매설한 목포-나주간 상수도 관로 공사는 흄관으로 하였으며 ,60년대 중반 인천 지역 상수도관 확장공사시에도 흄관으로 설치했다는 증언도 있다.(60년대 내무부에 근무한 박중현 서울대 명예교수가 증언)
대도시가 아닌 목포, 진주, 공주, 고흥, 태백, 안동, 제주지역등에서도 오래된 관들이 매설되어 있다는 점에서 세척시 나름의 고민이 필요하다. 이번 기사는 다음호 수자원공사 이두진박사의 세척사업에 대한 기사와 연계된다.
우리나라의 상수도 매설관로의 나이(2025년 현재)
연도 | 매설지역 | 나이 | 연도 | 매설지역 | 나이 |
1886년 | 부산보수천(대나무) | 139살 | 1906년 | 뚝도정수장(4대문안) | 119살 |
1910년 | 인천송현배수지 | 115살 | 1911년 | 경남진주진주성 | 114살 |
1911년 | 전남목포제1수원지 | 114살 | 1912년 | 목포2,3,4수원지 | 113살 |
1918년 | 대구가창정수장 | 107살 | 1920년 | 전남광주 1수원지 | 105살 |
1923년 | 충남공주 중학정수장 | 102살 | 1924년 | 경남통영 | 101살 |
1924년 | 경남 포항1수원지 | 101살 | 1925년 | 강원춘천근화수원지 | 100살 |
1925년 | 경북김천 직지천계통 | 100살 |
|
|
|
1932년 | 전북김제 검산수원지 | 93살 | 1933년 | 전남순천옥천정수장 | 92살 |
1935년 | 경남울산읍 | 90살 | 1935년 | 충남천안취수장 | 90살 |
1937년 | 경북 사천정수장통수 | 88살 | 1937년 | 전북김제 상수도공급 | 88살 |
1938년 | 경북영천상수도공급 | 87살 | 1938년 | 충남서천장항정수장 | 87살 |
1939년 | 충북청주 영운수원지 | 86살 | 1940년 | 강원도동해부곡수원지 | 85살 |
1940년 | 대구 산격구정수장 | 85살 | 1941년 | 충북제천 동현수원지 | 84살 |
1941년 | 경북안동 급수 | 84살 | 1941년 | 서울구의정수장 1차준공 | 84살 |
1945년 | 전남고흥신금정수장 | 80살 | 1946년 | 부산회동명장정수장 | 79살 |
1950년 | 대전산성정수장 | 75살 | 1953년 | 경기도 여주상수도 | 72살 |
1958년 | 부산명장정수장확장 | 67살 | 1959년 | 대구가창정수장 | 66살 |
1959년 | 대구두류정수장 | 66살 | 1961년 | 충남공주 옥룡 취정수장 | 64살 |
1961년 | 북제주애월읍지하수통수 | 64살 | 1962년 | 북제주 한림읍 상수도 | 63살 |
1963년 | 경북문경점촌 | 62살 | 1963년 | 전남 순천와룡수원지 | 62살 |
1963년 | 강원도 태백 상수도 | 62살 | 1964년 | 전남목포나주 상수도(흄관) | 61살 |
1964년 | 대전금강계통회덕정수장 | 61살 | 1965년 | 경북울릉도동정수장준공 | 60살 |
1965년 | 부산오륜정수장준공 | 60살 | 1967년 | 서울 보광동취수장 통수 | 58살 |
1968년 | 전북김제 월미정수장 | 57살 | 1969년 | 대전 회덕정수장 상수도 | 56살 |
1971년 | 제주어승생수원지준공 | 54살 | 1971년 | 부산 2차 상수도확장 | 54살 |
1971년 | 경기도 안양 상수도준공 | 54살 | 1971년 | 충북 지북정수장신설 | 54살 |
1974년 | 한강원수 공업용수통수 | 51살 | 1974년 | 수원-얀양간 공업수도 | 51살 |
1980년 | 낙동강계통광역상수도 | 45살 | 1980년 | 포항공업용수도 | 45살 |
1980년 | 거제공업용수도1단계 | 45살 | 1981년 | 전남목포석현정수장 | 44살 |
1981년 | 수도권광역상수도 2단계 | 44살 | 1982년 | 울산공업용수도 | 43살 |
1983년 | 낙동강 광역상수도 | 42살 | 1984년 | 금강광역상수도 | 41살 |
1986년 | 서울암사정수장공급 | 39살 | 1987년 | 대전송천정수장확장 | 38살 |
1988년 | 광역상수도 3단계 | 37살 | 1988년 | 충남아산대청댐광역상수 | 37살 |
1994년 | 광주덕남정수장준공 | 31살 | 1996년 | 전남나주주암댐광역 | 29살 |
1997년 | 제주우도,추자도담수화 | 28살 | 1998년 | 경북구미광역 2단계 | 27살 |
2000년 | 대청호신탄진 정수장 | 25살 | 2005년 | 원주권광역상수도 | 20살 |
|
|
|
|
|
|
(환경경영신문www.ionestop.kr 김동환 환경국제전략연구소 소장, 환경경영학박사, 시인, 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