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面敎師라는 뜻은
다른 사람이나 사물의 부정적인 측면에서 교훈을 얻는 다는 의미로
1960년대 중국의 모택동주석이 문화대혁명기간에 처음 사용했다고 한다.
그는 당의 간부들을 모아놓고 공산혁명과업 수행에 방해가 되는 반동분자들 중에
중죄인을 제외한 나머지는 처형하지말고 일정한 공간에 고립시켜둔 채
인민들 정신교육의 反面敎師 자료로 삼으라고 지시를 했다.
가끔 달리기를 하기 싫을 때 나의 反面敎師는 누굴까 생각을 해본다.
그리곤 지체없이 58개띠 기록실로 들어가본다. 거기서 走를 멀리하고 酒를 가까이한
친구들을 찾아낸다. 예를들면 배 나온 아킬, 들개, 허무강등등.
走를 가까이 하지 않으면 나 역시 두달 정도면 저들과 최소한 같거나,
아니면 체질적인 문제로 더하면 더하지 덜하지는 않을 것이기에 나의 가슴속에 그들을 훌륭한
反面敎師로 모시고 있다.
그러면서 가장 우려하는 것은
저들이 혹시 숙취해소할 겸 사우나 갔다가 목욕탕에 걸려있는 거을보고
스스로 저를 학대한 끝에 마라톤계를 영원히 은퇴나 하지 않을까가 제일 걱정이 된다.
그들이 탈퇴를 하면 난 누구를 나의 反面敎師로 삼아 현재의 몸매를 유지할 수 있겠나?
나 역시 은퇴의 길로 가겠지.
하지만 다행히도 조물주는 이 땅에 反이 있으면 正이 있도록 만들어 두셨다.
정말 감사할 일이다. 反面敎師들이 마라톤 계에서 은퇴를 하면 난 反面敎師의 반대말인
正面敎師(정면교사)를 찾을 것이다.
부정적이 아니라 긍적정인 측면에서 교훈을 얻는 다는 正面敎師의 뜻에따라 똑같은 방법으로
기록실로 달려가거나 훈련일지를 찾아볼 것이다. 그리고 그들 중에서 나의 正面敎師를 찾아볼 것이다.
안산터줏대감, 안산숫개, 포니, 독사등등
멍들아 ! 正面敎師라는 단어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불행중 다행이냐?
오늘 이 글이 올라가면 반드시 열받은 들개, 아킬, 허무강은 카오스의 글을
他山之石(타산지석)로 삼을 것이다.
낮동안 일터에서도 마라톤만 생각하면서 切齒腐心(절치부심)할 것이고
퇴근후 추우나 더우나 주로에 달려가는 것은 불보 듯 明若觀火(명약관화)할 것이고
잠자리에서는 지들이 무슨 월왕 부차인줄 알고 웅담을 걸어놓고 臥薪嘗膽(와신상담)
왕년의 섭3 捲土重來(권토중래)를 꿈을꾸겠지.
후후후, 아서라 배불뚝이들아!
捲土重來를 꿈꾸던 항우장사의 말년이 어떠한 지 알지.
'무리는 부상을 부를 뿐이다'
아킬,들개,허무강 아래 주옥같은 경구부터부터 反面敎師로 삼기를 바란다. ㅋㅋㅋ
"무리는 부상을 부른다. 천천히 걸음마부터 연습하거라"
멍들아,
게으르거나 달리기가 싫증나면 여기 58에서 반면이던 정면이던 교사를 찾기를 바란다.
라이발 관계의 인물을 설정하면 더 좋겠지. 연말이지만 시간 날때마다 열심히 달리자.
아롱이도 열심히 달리지.
치매방지도 할 겸 사자성어나 공부하자는 것이니
한자로 쓴 것 양해해주라.
첫댓글 그래 난 카오스를 正面敎師 삼아 렬심히 운동 할련다...근데 정면교사라는 말 있긴 있어
없는 단어를 우찌 무능한 나가 만들겠어.
카오스 정면교사삼아 아침 댓바람부터 뛰 댕였다
달리기 세빠지게 하느라 얼굴이 반쪽이 되어 타의 모범이 된 거를 반면교사라 이르기도.
그것도 맞는말이고...헷깔리
언제 막걸리 한잔해야지. 아직도 바쁘신가.
고상한 티물 얼굴 한번 보여주라.
티물아, 09전주울트라 날짜 잡혔네. 동아에서 330 다시한번 하고, 밤눈도 어두운데 전주 밤티재 혼자 넘지 않으려면 올겨울 얼굴 반쪽 되게 달려야 쓰겄다, 잉?
..............^^*.............
입이 근질근질하지?? 그렇잖아도 요즘 초현대식 마라톤교실에 들어가 몸만들기 중이다.
이보게 자네가 초현대식에서 논다면 난 그 비싼 강남땅을 주 3회 합이 40km씩 뛴다네.ㅋ
거리. 횟수 따질 군번은 아니지....ㅋㅋ 차나 한잔 하세.
원래 나이먹으면 양기가 위로 즉 입으로 오는겨.ㅋㅋ
좌우지간 옆에 있어서 고맙다. 덕분에 진상 처리하고 야간 작업 간다.ㅋㅋ
영원한 비주류에 정신적인 지도자께서 주류에 전면에 서니 카선생을 반면교사로 삼았던 중생 교주는 떠나고 엄동 설한에 어찌할고 반쯔입고 남산 뛰던 무무를 정면교사 로 모셔야겠다
무무가..남산에서 훈련혀..연습할때는 내가 최고인디~ㅋ
무무가 드디어 운동시작했는가?
오늘 오스덕분에 공부많이 한다.고맙다 오스야...
하여간 다양한 재능이 있는 친구여....아롱이 다리아푼것은 좀 좋아졌는가?
98% 회복됐다고 하네
늘 좋은말 마이 듣고간다^^*
매번 수고로 머리가 좋아지는 느낌이다,,고맙다,

ㅎㅎㅎㅎ아까우리,,,개방서 짖어대는거이...,,,,
우공이산(愚公移山)은 '미련한듯 끈기 있는 사람이 산을 옮긴다'라는 고사인데 마라톤에 딱 어울리는 말이네. 한 삽, 한 소쿠리 뜨고 퍼날라 산을 옮기듯, 한 발 한 걸음 내딛지 않고는 마라톤도 완성할 수 없지. 도대체 요령이나 작업, 요리가 통하지 않으니 머리만 쓰고 다리는 놀리는 현대인들에겐 쉽지 않은 종목이지. 山이 있어 오르듯, 走路가 있어 달린다. 좌우간 말로는 썹3 이상인데.
좋은말을 다 나왔구나! 명심할란다 ........다음을기대한다
이왕 쓰는 김에 四字性語도 짬짬이 해주라 ...
돌수 버젼 끼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