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바사 메뉴얼에 있는 사용법입니다.
다음글과 결국은 같은 이야기이지만 좀 더 간단하게 설명하는 셈이 되겠습니다.

1단계 : 지도상에 나침반을 놓고 현재지(빨간 삼각형)와 목적지(빨간 동그라미) 두점간의 연결선상에 나침반의 좌측 엣지를 맞춥니다.진행방향 표시 화살표(나침반상 검은색 큰화살표)가 목적지 방향을 향하고 있도록 합니다.
2단계 : 나침반 봉입캡슐을 돌려서 눈금링의 N자가 지도상의 북쪽을 가르키도록 돌립니다.(지도상의 경선과 나침반 봉입캡슐 NS라인이 평행이 돼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3단계 : 일어선 상태에서 자신의 몸앞에 수평이 되도록 나침반을 위치 시키고 나침반을 앞쪽배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빨간바늘(N)이 눈금링의 N를 가르킬때까지(나침반 빨간바늘과 캡슐링 N자가 일치 될때까지) 몸을 회전시킵니다.이렇게 두 N극이 일치된 상태에서 진행방향표시 화살표가 가르키는 곳이 목적지 방향입니다.이 상태에서 눈을 들어 진행방향쪽의 중간 목표물을 확인한 후 곧장 진행합니다.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위의 동작를 반복하면 됩니다.
자침이 기르키는 자북과 지도상의 북쪽인 도북간의 오차가 자기편각(일명 도자각)인데 만약 동편(East Decline) 6도일 경우 이의 보정방법은
봉입캡슐의 눈금링의 N자 보다 자침 N이 우측시계방향으로 6도 회전한 위치에 있도록 몸을 돌린 상태에서 진행방향 표시화살표가 가르키는 방향(이 경우 보정전보다 반시계방향 6도)이 진짜 목적지의 방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