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길도 격자봉(430m)
위치 : 전남 완도군 보길면
산행일 : 2009년 3월 07일~08일 무박2일 (둘째주 일요일)
코스 : 애송리-큰길재-수리봉-격자봉-누룩바위-뽀래기재-망월봉-뽀래기재-부용동
산행거리 및 시간 : 산행시간 : 4시간 도상거리 : 최고등정표고차 :
보길도 격자봉 산행안내도
산소개 :
보길도 격자봉(赤紫峰 430.3m)
보길도는 고산 윤선도의 발자취가 곳곳에 남아있는 아름다운 섬이다.
섬의 남쪽을 차지한 적자봉은 바로 고산이 은거지로 삼아 살던 곳으로 산 전체를 상록수림이 온통 뒤덮고 있다.
보길도지에 의하면 원이름이 격자봉(格紫峰)으로 표기되고 있으나 국립지리원 발행 5만분의 1 지형도에는 적자봉(赤紫峰)으로 표기되어 있다.
보길도는 배를 타야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아직 그 호젓함을 다 잃지는 않고 있다.
완도나 해남 땅끝에서 오는 배를 타고 내리게 되는 청별포구에서 부용동을 향해 약 30분 정도 가면
고산이 '어부사시사'를 창작했다는 세연정(洗然亭)이 나온다. 개울을 막아 만든 연못인 세연지에는 1992년 복원한 정자가 있다.
세연정을 나와 보길초등학교를 지나 포장길을 따라 걷다보면 부용리사무소가 나타난다.
부근에는 민박집들이 즐비하다. 하룻밤 묵어가기에는 그만인 곳이다.
적자봉 아랫마을 부용동은 깊은 산중인 듯싶다. 이곳에서는 동천석실과 낙서재를 둘러보는 것이 좋다.
다리를 건너 오솔길을 따라 20분가량 오르면 동천석실이 나온다.
이곳에서는 부용동 마을의 풍경이 그림처럼 펼쳐지고 고산이 은거했던 낙서재의 터가 과연 명당으로 뚜렷하게 조망된다.
석실아래에는 옹달샘 '석담'이 있다. 동천석실을 내려와 부용동 마을 윗길을 따라 15분 정도 오르면 전나무 숲속으로 낙서재터가 나타난다.
부용리사무소 앞 다리를 건너면서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곡수당 터의 돌담을 지나 30분 정도 오르면 산신당재라고 부르는 큰길재에 도착한다.
옹기종기 모여 앉아 쉬기 좋은 잔디밭인 큰길재를 지나면 등산로는 활엽수림 속으로 이어진다.
활엽수림의 터널을 따라 산길을 오르다보면 동백꽃이 화려하게 자태를 뽐낸다.
오솔길 바닥에도 새빨간 동백의 봉우리들이 즐비하게 떨어져 있다.
동백의 향기를 맡으며 울창한 활엽수림의 터널을 따라 30분가량 오르면 예송리 해수욕장으로 이어지는 갈림길이 있는 406봉에 도착한다.
능선에는 나무가 울창하여 바다를 볼 수 없다.
다시 30분 정도를 걸으면 적자봉 정상보다 누룩바위가 먼저 반긴다.
이 바위에 올라서면 동쪽의 당사도와 복생도, 서쪽의 넙도, 군도, 남쪽으로는 추자도와 제주도, 북쪽으로는 노화도와 횡간도가 모두 보인다.
누룩바위에서 정상까지는 5분 거리. 적자봉 정상은 비슷한 높이의 암봉이 연이어 있어 착각하기 쉽다.
정상에서는 뽀래기재를 지나 보옥리로 내려가는 길과 바로 부용동으로 하산하는 길이 있다.
정상에서 부용동까지는 1시간 정도 걸린다.

봄이 오는 보길도 세연정에서 / @2008 사진사 : 양촌재(김진수)
오랫동안 기획하고 가고싶은 곳 보길도 우연히 신문을 보다가 보길대교가 완성되었다는 기사를 보고 보길도를 한번 가야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보길도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을 하고 기회를 보다 3월 셋째주로 확정을 한다 첫째 주가 금강산 산행이라 무박으로 가는 것이 조금은 부담이 되었지만 그래도 강행하기로 하고... 인원을 모집하니 당초 예상했던 두 대를 훨씬넘어 4대를 육박한다 . 4대면 어떻고 다섯대면 어쩌리...

2008.03.15일 23시 동사무소앞 미리 준비한 준비물을 싣고 땅끝마을을 향해서 출발을 한다 무박이라 피곤한점도 있겠지만 미지의 섬을 본다는 기대감에 피로함도 잠시... 어둠을 혜치며 달려온 버스는 새벽에 우리를 땅끝마을로 인도를 한다
노화도 들어가는 배가 07시 40분배라 여유가 있을 줄 알았는데... 선착장에서 연락이온다 첫배라고 ..... 06시40분 첫 배를 타고 가기로 결정을 하고 버스를 배에 선적하고 장보고함은 땅끝을 뒤로하고 노화도로 향하기를 30분... 선상에서 맞이하는 일출은 또다른 새로운 기분을 느끼게 하였고 새벽공기를 마시며 푸른 쪽빛을 가르며 하이얀 포멀을 일으키는 선미에서 기념사진도 찍고...
30여분을 달린 장보고호는 노화도에 도착을하고...


예송리 주차장에서 만난 동백꽃

노화도에 도착한 우리는 버스에 탑승을 하고 보길도를 향해서 ... 청별항에서 예송리로 향한지 15분여가 지나서 예송리 주차장에 도착을 한다. 여기서 출발을 하기로 하고 산행준비를 한다 조금더 가서 예송리 교회에서 출발을 하면 30분정도는 단축을 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여기서 출발을 한다 . 예송리를 출발하기전에 생전 처음으로 대하는 보길도에 대한 감회를 잠시 생각해본다


파랗게 자란 보리밭을 옆에끼고 동네를 돌아서 ....

A팀과 B팀을 나누어 산행을 시작했다.
B팀은 동천석실 주차장에서 출발했는데, 조금 오르니 고산 윤선도 선생의 유적지 보수공사가 한창이다.
곡수당과 낙서재 공사현장을 돌아서 격자봉을 향해 올라간다.


동백꽃 사이로 곡수당 유적지 정비공사 현장이 보인다




동백숯을 통해서 가니 바위가 나온다 바위에서 기념사진 한 컷하고 수리봉을 향해서 ... 수리봉을 향해서 올라가다 보니 마주치는 것이 동백숲이라 ...

수리봉에 도착을 하니 돌탑이 두개가 우리를 반갑게 맞이한다 수리봉을 뒤로하고 30분정도 올라가니 격자봉이 나온다 격자봉이라야 벤취두개에.... 이곳이 고산이 은거지로 삼고 살던 곳이라고한다 보길도지에 의하면 원이름이 격자봉(格紫峰)으로 표기되고 있으나 국립지리원 발행 5만분의 1 지형도에는 적자봉(赤紫峰)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제 격자봉을 지나 뽀래기재로 이동 중

이 곳 보길도에도 봄이 찾아왔음에 ... 등산로에는 춘란이 꽃을 품고 있었고, 나무에는 푸른 생명이 힘차게 뻗어 나가고 있었다.



저 멀리에는 뽀래기재(뽀쬭산) 정상이 황사에 의해 흐리게 보인다.



뽀래기재에 도착을하면 망월봉을 갔다오는데 한시간 정도 소요가 된다. 거기서 힘들면 바로 부용동 수원지쪽으로 하산을 하여 동천석실을 갔다가 세연정으로 오면 산행은 끝이 난다.


뽀래기재에서 점심을 간단하게 먹고는 저수지 방향으로 하산하여 고산 윤선도 선생의 자취가 남아있는 세연정을 찾아간다.

저수지를 돌아오니 봄나물을 캐는 봄처녀(봄 아줌씨)들이 들판을 가득채워 봄 나물을 뜯고있다.

봄볕이 따뜻한 양지녘에는 봄꽃의 대표격인 개불알꽃(이름이 좀 상스러워서 .. ㅎㅎ 다른이름은 봄까치 꽃)이 아름답게 들길에 가득 피여 길손의 발 길을 잡는다.












세연정을 관람한 후, 이 곳 보길도 섬에서 육지를 바라보는 망끝전망대에 잠시들러 육지쪽 땅끝을 하염없이 바라보았지만, 황사와 안개가 너무 짙어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다 ...




다시 배를타고 육지로 나오기 위해서 노화도로 포구로 향하는데, 이번에 개통된 보길대교가 버스 차창밖으로 보인다. (달리는 버스안에서 촬영하여 사진이 별로임다 ~)
저 보길대교를 건너가야 노화도에서 배를 탈 수 있다.


노화도에서 미리 준비하여 둔 산 문어와 횟감을 차에 싣고 있다. (노화도의 인심이 별로였어요 ... 몇십만원의 물건을 샀음에도 불구하고, 스치로품 박스의 가격을 별도로받았는데, 임심이 야박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음)


노화도 선착장에서 배가 버스를 싣고 우리 일행들은 모두 승선하였다.




다시 땅끝마을 선착장에 도착하니 새벽에 출발할 때 보다 바위섬의 소나무가 강인함을 나타내 준다.
얼마나 살았을까 ?
세찬 해풍에, 해 마다 불어오는 태풍에도 꾿꾿함을 나타내며, 바위속에 뿌리를 박고 의연하게 자라는 저 소나무는 우리민족의 기상을 보는듯 하다.


저 멀리 산 위에는 땅끝전망대가 희미하게 보여지고 ....





누굴 기다리는걸까 ?
저 멀리 보길도에 유배가신 고산 윤선도 선생님을 기다리는 여인은 아니겠지 ...



소나무 사이로 땅끝전망대가 보이고 .....




모노레일 타는 곳

모노레일 카 안에서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

땅끝전망대에 내려서 바라 본 풍경



한반도 최남단 땅끝전망대앞에서 ....


전망대에서 내려단 본 쪽빛바다


|